유방암 검진
- 유암방 검진은 1999년 부터 국가암검진사업의 일환으로 도입, 시행
유방암 검진 권고안
기존 | 한국유방임학획 연령별 조21검진 권고안
| |||||||||||||||||||
▼ 검진의 질, 효과, 과진단 등에 대한 논란이 국내외적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된 상태 | ||||||||||||||||||||
개정안(2015) | 임상에서의 고려사항 본 권고안은 무증상의 평균적인 위험을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증상이 있거나 고위험군 여성은 임상의의 판단에 따라 임상유방진찰, 유방초음파검사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
증상
유방증상
유방 내 만져지는 통증이 없는 멍울(painless lump)(m/c, 90%) → 유방암의 가장 흔한 첫 소견
- 암의 멍울은 양성인 것과 감촉이 다르다.
양성인 경우 | 악성인 경우 |
|
|
- 유방 종괴의 가장 흔한 원인 3가지: 섬유샘종(fibroadenoma), 섬유낭종(fibrocystic change), 유방암
유방통
- 대부분은 정상적인 생리현상
유방통은 유방암과 연관되는 경우가 흔치는 않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발생했고 지속적이며 통증의 위치가 유방의 한 부분에 잘 국한되어 있는 경우는 유방암의 가능 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유방의 피부 변화
- 피부 함몰(skin retraction, dimpling): Cooper's ligament가 당겨져서 발생하는 증상
- 피부 궤양(skin ulcer)
- 피부 결절(skin nodule)
- 피부 부종(skin edema): orange peel(peau d'orange) appearance(d/t 암세포에 의한 dermal lymphatic channel의 폐쇄)
- 피부 염증 소견(skin inflammation) → 염증성 유방암(inflammatory breast cancer)
멍울은 잘 만져지지 않으면서 피부가 빨갛게 붓고 통증이나 열감이 있어서 염증이 생긴 것처럼 보이는 경우 inflammatory breast cancer 시사
유두 증상
- 유두 분비(nipple discharge)
- 대부분 관내 유두종 등 양성 질환으로 인한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유방암의 한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양측 유두에서 유두 분비가 있을 경우는 양성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훨씬 많다.
- 유두함몰: 유방암에 의해 유두가 아래쪽으로 끌려가면서 생기는 증상
- 유두의 습진 모양 병변
※파제트병(Paget's disease): bloody nipple discharge, 유두부의 잘 낫지 않는 습진 (eruption of areola or nipple)
기타
- 촉지되는 림프절: axillary L/N, supraclavicular L/N
- 드물게는 유방에서 혹이 만져지기 전에 뼈, 간 폐 등의 전이 소견, 즉 뼈의 통증, 황달 또는 마른기침 혹은 각혈 증상이 먼저 나타나기도 한다.(유방암은 국소질환이 아닌 전신적 질환이다.)
- 유방암의 전이빈도: 뼈, 폐, 간, 뇌, 난소
자가 진단자가진단(breast self-examination, BSE)
![]() |
진단 검사 (→ [리뷰] 주요 증상: 유방 덩어리 참조할 것)
- 영상검사: 유방촬영술(mammography, tomosynthesis), 초음파, 컴퓨터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자기공명사진(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PET-CT, breast specific gamma image(BSGI)
- 종양표지자: CEA, CA 15-3
- 병리학적 진단: 세침세포검사(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조직검사(core-needle biopsy), excisional biopsy, incisional biopsy, needle localization biopsy
신체검사
경험 많은 의사는 촉진만으로도 70% 정도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시진
- 대칭성
- 크기 및 형태
- 피부 : 색깔, 함몰, 염증, 부종
- 정맥울혈
- 유두 : excoriation, inversion, discharge, edema, redness
- 촉진
- 종괴 : 가동성, 압통
- 림프절 : 액와부(axillary L/N), 쇄골상부(supraclavicular L/N)
유방촬영술(Mammography)
개요
- 유방암에서 선별검사로 사용되는 유일한 영상검사
- 장단점
장점 | vs. | 단점 |
|
|
cf. Tomosynthesis ( 3D picture of the breast using x-rays): X-ray 조사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얻어진 영상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
우리나라의 경우 40세 이상 여성에서 2년마다 유방촬영술을 선별검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흔한 치밀유방에서는 위음성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방초음파에 비해 유방촬영술의 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긴 하지만 그래도 선별검사로는 유방초음파가 아닌 유방촬영술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 석회화를 관찰하는 데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사(치밀유방에서 위음성 : 10~15%)
BI-RADS(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주요 소견
Breast composition: A, B, C, D
BI-RADS 4th | G1(<25%) | G2(25-50%) | G3(50-75%) | G4(>75%) |
▼ | ||||
Bi-RADS 5th | A | B | C | D |
Almost entirely fatty | Scattered fibroglandular | Heterogeneously dense, which may obscure masses | Extremely dense, which lowers sensitivity | |
![]() | ||||
민감도 | 98% | 84% | 64% | 48% |
Calcification (morphology, distribution)
※ 조기 유방암에서 가장 중요한 소견: 미세 석회화 & 종괴
Morphology | ▶ | Typically Benign | Suspicious Morphology/BiRads |
Skin Vascular Coarse or Popcorn-like Round / punctate Rim-calcification Dystrophic Milk of calcium Suture | Amorphous 4B Coarse heterogenous 4B Fine pleomorphic 4B Fine linear or 4C Fine linear branching 4C | ||
Distribution | ▶ | Benign(Diffuse – regional) | Suspicious(grouped – linear – segmental) |
Amorphous calcification: 무정형 석회화 | Coarse Heterogeneous |
|
|
![]() |
|
Fine Pleomorphic: 미세 다형태성 | Fine linear and branching calcification |
- 악성 가능성: 25-40% ![]() |
- 악성 가능성: BI-RADS 5 (≥ 95%) ![]() |
Mass in MMG | Benign | Malignant |
Shape | Oval-round | Irregular |
Margin | Circumscribed- obscured(US need) | Microlobulated-indistinct-speculated |
density | Fat-Low-equal | High |
Size | Same as palpable mass | Smaller than palpable mass |
Surrounding tissue | Displaced, not infiltrated | Infiltrated, retracted |
Calcification | Benign calcification | Malignant calcification |
Secondary(asymmetries, associated) | None | Frequently present |
BI-RADS(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Final assessment category
- BI-RADS 범주 0 : (치밀유방으로 인해) 병변을 알기 어려워 초음파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
BI-RADS 범주 2 : 전형적인 양성소견으로, 1년마다 정기적인 유방촬영술 필요
BI-RADS 범주 4 : 악성소견으로, 조직생검 필요
Category 4 이상에서는 조직생검이 꼭 필요하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MMG(Mammography): BI-RADS 5th(2013)
Breast composition |
| ||||||
Mass |
| ||||||
Asymmetry | asymmetry - global - focal - developing |
Architectural distortion | distorted parenchyma with no visible mass | ||||
Calcifications |
| ||||
Associated features | skin retraction - nipple retraction skin thickening -trabecular thickening - axillary adenopathy- architectural distortion - calcifications |
유방자기공명영상(MRI) : 선별검사는 아니다.
- 유방 촬영술이나 초음파와 같은 다른 영상 법으로 감별이 어려운 병변을 진단할 때 유용
- 수술 전 병소의 정확한 크기와 범위를 파악하고, 유방암 병기 결정에 이용
- 영상 대조도가 뛰어나고 해부학적 평가 용이
- 양측성 유방암이나 다발성 병변 평가에 좋음
| Benign features | Malignant features |
병변의 형태학 |
|
|
역동적 조영증강의 유형 |
|
|
Final Assessment Categories
Category | Management | Likelihood cancer | |
0 | 불완전한 평가 | 추가적인 검사가 요구됨 | n/a |
1 | 음성 | Routine screening : 1년마다 정기적인 유방촬영술 | Essentially 0% |
2 | 양성소견 | Routine screening: 1년마다 정기적인 유방촬영술 | Essentially 0% |
3 | 양성의 가능성이 높음 | Short interval-follow-up(6 month) or continued 단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6개월). 생검은 추천되지 않음
| > 0% but ≤ 2% |
4 | Suspicious(이상소견이 존재함) | 조직생검 필요(Tissue diagnosis) | 4a. Low suspicion for malignancy(> 2% to ≤ 50%) 4b. Moderated suspicion for malignancy(> 10% to ≤ 50%) 4c. High suspicion for malignancy (> 50% to < 95%) |
5 | Highly suggestive of malignancy(악성을 강하게 시사함) | 조직생검 필요(Tissue diagnosis) | ≥ 95% |
6 | 생검으로 확진된 악성 | 유방암에 대한 치료 | n/a |
병기설정: 해부학적 병기: TNM classification
- AJCC Staging 8판(2016)
종괴의 크기(T) | |||
Tis: 상피내암 T0: 종양의 크기가 불분명할 때 T1: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 T2: 종양의 크기가 2cm~5cm T3: 종양의 크기가 5cm 초과 T4: 종양이 흉벽, 피부를 침범하거나 염증성 유방암일 때 | |||
림프절 전이(N) | |||
N0: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을 때 N1: 겨드랑이 림프절이 3개 이하 N1mi: 림프절에 전이된 암조직의 크기가 2mm 이하의 미세전이 N2: 겨드랑이 림프절이 4~9개 N3: 겨드랑이 림프절이 10개 이상, 또는 쇄골상부 림프절 전이가 있을 때 | |||
다른 장기 침범 여부(M) | |||
M0: 다른 장기에 전이가 없을 때 M1: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을 때 | |||
병기 | 종괴의 크기(T) | 림프절 전이(N) | 타장기 침범(M) |
0기 | Tis | NO | M0 |
1A기 | T1 | NO | M0 |
1B기 | T0 | N1mi | M0 |
T1 | N1mi | M0 | |
2A기 | T0 | N1 | N1 |
T1 | N1 | M0 | |
T2 | N0 | M0 | |
2B기 | T2 | N1 | M0 |
T3 | N0 | M0 | |
3A기 | T0 | N2 | M0 |
T1 | N2 | M0 | |
T2 | N2 | M0 | |
T3 | N1 | M0 | |
T3 | N2 | M0 | |
3B기 | T4 | N0 | M0 |
T4 | N1 | M0 | |
T4 | N2 | M0 | |
3C기 | Any T | N3 | M0 |
4기 | Any T | Any N | M1 |
AJCC 8판에서는 생체지표 및 유전자 검사를 널리 사용하는 일부 국가(미국 및 캐나다 등)에서는, 이를 통합한 예후 병기분류(Prognostic Stage groups)사용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검사가 여의치 않은 경우 기존의 해부학적 병기 분류 사용을 지속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유방암 병기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병기 | 임상적 양상 |
0기 | 비침윤성 유방암(상피내암) |
1기 | 종양 크기가 2cm 이하이면서 림프절 등으로 전이가 없는 경우 |
2기 | 종양 크기가 2~5cm이면서 심하지 않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림프절 전이는 없지만 종양 크기가 5cm 초과인 경우 |
3기 | 종양 크기가 5cm 이하이지만 림프절 전이가 심한 경우 종양 크기가 5cm 초과로 크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4기 | 폐, 뼈,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경우 |
참고자료
- Lee EH, Park B, Kim NS, Seo HJ, Ko KL, Min JW, et al. The Korean guidelin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J Korean Med Assoc 2015;58:408-419
- Paik NS. Current Status of Breast Cancer in Korea. Ewha Med J 2014;37(2):69-74
- AJCC Staging Manual, 8th ed, 2016
- 유방영상학 Breast Imaging, 대한유방영상기술학회, 군자출판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