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부그림증 (피부묘기증, Dermographism)
압력 두드러기 (Pressure urticaria)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운동관련 아나필락시스 (Exercise-induced anaphylaxis)
냉 두드러기 (cold urticaria)
햇볕 두드러기 (solar urticaria)
진동 두드러기 (vibratory urticaria)
희소한 물리적 알레르기
자발성 두드러기(spontaneous urticaria)
급성 자발성 두드러기(Acute spontaneous urticaria)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물리적 두드러기(Physical urticaria)
한랭 두드러기(Cold contact urticaria)
지연형 압박 두드러기(Delayed pressure urticaria)
열 두드러기(Heat contact urticaria)
일광 두드러기(Solar urticaria)
피부 묘기증 (Dermatographic urticaria)
진동성 두드러기/혈관부종 (Vibratory urticaria/angioedema)
기타 두드러기
수성 두드러기 (Aquagenic urticaria)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접촉성 두드러기 (Contact urticaria)
운동유발성 아나필락시스/두드러기 (Exercise induced anaphylaxis/urticaria)
피부그림증 (피부묘기증, Dermographism)
- 인구의 1-4%에서 발생, 단단한 물체로 피부를 살짝 긁었을 때 선상의 팽진이 생기며 유발원인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 10-20대에 절정, 아토피 체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통 5년 내에 사라진다.
- IgE-mediated reaction이며 skin test에서 위양성이 나오게 한다.
- 증상이 심한 경우에 antihistamine으로 대증적 치료 시행
압력 두드러기 (Pressure urticaria)
-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와 동반
- 어깨에 매는 띠나 벨트, 달리 때(발바닥), 혹은 손으로 일할 때 등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발생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 1-2mm로 작고 가려운 팽진이 뚜렷하고 주위에 커다란 홍반이 둘러싼다.
- 발열, 뜨거운 물, 샤워, 운동 등으로 악화되며 체내 온도 상승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 진단은 운동유발검사(더 예민), methacholine intradermal test를 이용
- 치료 : hydroxyzine(H1 antihistamine)
운동관련 아나필락시스 (Exercise-induced anaphylaxis)
- 운동만으로 유발되기도 하고 운동 전 섭취한 음식과 관련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 홍조, 홍반, 가벼운 두드러기로 시작 → 혈관부종 (안면, 구강, 인후, 성대, 장 등) → 혈관 허탈
- 콜린성 두드러기와 다른점 : 일반적 크기의 팽진으로 나타남, 발열이나 뜨거운 물에 의해 유발되지 않음.
냉 두드러기 (cold urticaria)
- 국소적으로 얼음에 노출되거나 차가운 온도에 노출된 자리에 uricaria와 angioedema 발생
- 수영과 같이 찬물에 몸을 담그면 혈관허탈로 진행하여 저혈압까지 발생
- 진단 : ice cube test(피부에 ice cube를 5분간 대었다 떼면 팽진 발생)
- 치료 및 예방 : cyproheptadine (H1 antihistamine), 겨울엔 외출 자제
햇볕 두드러기 (solar urticaria)
-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의해 유발된다. 특정 빛의 파장에 따라 6개로 나눌 수 있다.
진동 두드러기 (vibratory urticaria)
- 직업적으로 수년동안 진동에 노출되어 발생, 혹은 특발성으로 발생
- 때로는 콜린성 두드러기와 함께 동반
희소한 물리적 알레르기
- 국소 열 두드러기(local heat urticaria) : 특정물질 자극에 의해서 발생
- 수성 두드러기 (aquagenic urticaria) : 온도와 상관없이 물과 접촉시 발생
- 접촉성 두드러기 (contact urticaria) : 특정 화학물질과의 직접적인 첩촉으로 발생
자발성 두드러기(spontaneous urticaria)
급성 자발성 두드러기(Acute spontaneous urticaria)
- 자발성으로 나타나는 팽진이 6주 이내로 유지되는 경우, 혈관부종이 동반될 수도 있고,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음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 자발성으로 나타나는 팽진이 6주 넘게 유지되는 경우, 혈관부종이 동반 될 수도 있고,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음
물리적 두드러기(Physical urticaria)
한랭 두드러기(Cold contact urticaria)
- 차가운 물체, 물, 공기, 바람에 의해 유발됨
지연형 압박 두드러기(Delayed pressure urticaria)
- 수직적인 압력이 가해진 후 3-12시간 뒤에 발생
열 두드러기(Heat contact urticaria)
- 국소적인 열에 의해 발생
일광 두드러기(Solar urticaria)
-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의해 유발됨
피부 묘기증 (Dermatographic urticaria)
- 물리적인 전단력 (mechanical shearing force)을 가한 후 1~5분 뒤 팽진 발생
진동성 두드러기/혈관부종 (Vibratory urticaria/angioedema)
- 진동에 의해 유발됨 (예:pneumatic hammer)
기타 두드러기
수성 두드러기 (Aquagenic urticaria)
- 물에 의해 유발됨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 신체활동이나 매운 음식에 의해 몸의 중심체온(core temperature)이 상승되어 유발됨
접촉성 두드러기 (Contact urticaria)
- 두드러기 유발성 물질에 접촉한 후 유발됨
운동유발성 아나필락시스/두드러기 (Exercise induced anaphylaxis/urticaria)
- 운동에 의해 유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