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알레르기: 진단


목차
  • 병력청취가 가장 중요하다.

 



약물 알레르기 진단의 접근의 단계

1 단계: 임상자료수집

  • 약물반응의 병력
  • 아토피 여부
  • 동시에 들어간 약물의 시작시간, 중지한 시간 용량의 변화
  • 약물반응과 관련이 있을 증후, 증상, 유용한 비특이적인 검사소견 (ESR, 호산구수, tryptase, proteinuria 등)의 시간별로 기록

 

 2 단계:

  • 가능한 약물의 범위를 좁혀 나간다.
    • 약물의 시작과 중단시점, 증상 발현과의 관계
    • 반응이 심해지는 단계의 약제

 

3 단계

  • 가능성 있는 약제의 다른 약리역학적인 연구결과 들을 기초로 한 순위부여

 

4 단계

  • 가장 가능성 있는 약제를 중단하고 반응의 변화를 관찰

 

5 단계

  • IgE 반응여부 판단하기 위한 피부반응시험실시.
  • 단, 아나필락틱쇼크 후 14일 이내이거나 haptenic 약제의 경우에는 음성결과를 무시 한다.

 

6 단계

  • 원인으로 가능성 있는 약제의 재 투여

 



IgE 매개성 즉시형 반응의 시험 및 검사

피부반응 시험

  • 높은 예민도로 약물 알레르기 진단의 가장 중요한 검사.
  • Beta lactams(BLs)계 약물과 penicillin에 대한 진단에 가치가 잘 확립되어 있다.
  • 이외에도 cephalosporins, 국소 마취제, 헤파린 등에 유용하다.
  • 그러나, aspirin, NSAIDs, radiocontrast media 등과 같이 비면역학적인 기전에 의한 알레르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In vitro 시험

  • 특이 IgE를 측정
  • 두 가지 주요 검사방법.

 

Immunochemical assays 방법

  • 피부반응에서 음성으로 나오고 혈청 특이 IgE는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으므로 피부반응시험과 혈청 특이 IgE를 같이 검사하는 것이 약물 알레르기의 진단에 예민도를 높일 수 있다.

 

Cellular tests

  • hapten에 의한 호염기구의 활성화기전을 기본으로 히스타민이나 루코트리엔과 같은 화학매체를 측정하는 것과 호염기구활성화 지표를 검사
  • Beta lactams계에 대한 알레르기반응을 진단하는 데에 중요한 검사로 부각
  • immunoassays가 유용하지 못한 cephalosporins의 경우 중요한 진단법

 

약물유발시험(Drug provocationtests; DPT)

  • 확진검사
  • 나타나는 반응의 중증의 정도에 따라 시작하는 약물의 농도를 조정하면서 시행
  • Beta lactams계 사이의 교차항원성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 유용

 

교차항원성의 판단 

  • penicillin에 약물 알레르기반응이 있을 때 cephalosporins을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 penicillin-알레르기 환자에게 대체하여 사용 할 수 있는Beta lactams계열로 cephalosporin, carbapenem, aztrenam 등에 대한 피부반응시험을 꼭 시행하여 음성인 경우 사용할 항생제를 용량을 서서히 올려가며 사용

 

 

 

T cell 매개성 반응: 비즉시형 반응의 진단방법

약물유발시험

  • 유일한 진단법은 약물유발시험 
  • AGEP DRESS,Stevens- Johnson syndrome, toxic TEN, 혈액학적이상과 같은 중증에는 절대 시행해서는 안됨. 

 

피부반응 시험과 in vitro tests

  • 유용하지 않다. 

 

교차반응의 평가

  • penicillins과 cephalosporins 사이에는 비즉시형반응에서의 교차반응은 매우 드물다

 

 

 

감별 질환

  • viral exanthema, collagen vascular disease, neoplasia, bacterial infection, psoriasis, autoimmune blistering disease
  •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eg, syphilis), Generalized eczema, Connective tissue disease, Cutaneous lymphoma, Graft-versus host disease, Skin toxicity (eg, chemotherapy), Cytokine dysbalance (eg, tumor necrosis factor blockers), Superantigen stimulations (Kawasaki syndrome, staphylococcal scaled skin syndrome)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