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태생리(pathophysiology)
- 기침은 왜 생기는가?
- 인후, 후두, 기관지, 흉막, 고막, 부비동, 횡격막, 위, 식도 등에 분포하는 감각수용체(sensory receptor)가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인식하고 미주신경을 통해 뇌간으로 자극을 전달한다.
- 물리적(mechanical) 자극은 점액 과분비, 점액섬모운동 이상을 통해 또 다른 자극을 뇌간으로 전달하고 흥분된 뇌간의 신경 요소는 호흡근육에 분포하는 척수신경세포들의 흥분을 통해 기침을 유발한다.
기침반사(Cough reflex)
|
↓ |
|
↓ |
|
↓ |
|
만성 기침의 발생기전
기침을 유발하는 원인과 기침반사경로, 기도염증과의 연관성

- 만성기침의 발생에 중요한 요인
- 항진된 기침반사(enhanced cough reflex)
- 상기도 점막의 염증/조직리모델링
- 기침의 원인/기침 자체 → 상기도 점막염증/조직리모델링 초래
- 기침반사를 변화시킨다 → 기침의 만성화 초래
- 일단 기침반사가 항진되면 유발인자들(triggers)에 의해 지속적으로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기침의 분류
- 기침은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및 만성기침으로 분류한다.
- 급성기침 (<3주)
- 아급성기침 (3~8주)
- 만성기침 (>8주)
- 지속기간에 따른 기침의 분류는 원인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가슴X선 소견이 정상인 환자에서 고려해야 할 감별 질환
급성기침 (<3주) | 아급성기침 (3~8주) | 만성기침 (>8주) |
|
|
|
참고자료
- 김철우. 만성기침을 일으키는 흔한 기도질환. 대한내과학회지 2010;78(6):665-9.
- Chung KF, Pavord ID. Prevalence, pathogenesis, and causes of chronic cough. Lancet 2008;371(9621):1364-74.
- 기침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4
- Irwin RS, French CL, Chang AB, Altman KW, CHEST Expert Cough Panel*. Classification of Cough as a Symptom in Adults and Management Algorithms: 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Chest 2018;153(1):196–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