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만성기침의 원인
흡연에 의한 기침
ACEi 유발성 기침
상기도기침증후군
개요
증상
진단
치료
호산구 기도 질환(Eosinophilic airway disease)
기침형 천식
개요
증상
진단
치료
호산구 기관지염(또는 비천식성 호산구 기관지염, non-asthmatic eosinophilic bronchitis, NAEB)
개요
증상
진단
치료
위식도 역류질환
개요
증상
진단
치료
만성기침의 원인
- 국내연구(지영구 외. 천식 및 알레르기, 1998): 105명의 환자에서 전향적으로 조사한 만성기침의 원인
- 후비루증후군: 39.7%
- 기관지천식: 32.3%
- 위식도역류: 14.1%
- 만성기관지염: 5.0%
- 기타 원인들: 4.1% (ACEi에 의한 기침 2예, 세기관지염 1예, 기관지결핵 1예, 폐암 1예)
- 원인미상: 5%
- 원인이 한 가지 질환이었던 경우: 84.8%, 두 가지 질환에 의한 경우: 15.2%
- 호산구성기관지염은 전문가에게 의뢰되는 만성기침의 10~30%로 비교적 흔하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의뢰된 환자들이 진단검사 전에 이미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가 많아 정확한 빈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만성기침을 가진 환자에 대한 접근법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원인 질환 또는 인자들에 대한 증상, 진단 또는 치료법을 알 필요가 있다.
4가지 주요 원인
|
흡연에 의한 기침
- 흡연으로 인해 기침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병원을 찾는 경우는 많지 않다.
-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의 경우 약 반수에서 만성기침 발생 가능
- 금연의 효과
- 거의 항상 효과적이다.
- 약 4주 정도 금연하면 호전된다.
- 흡연을 중단할 경우 기침반사(cough reflex)가 증가되어 일시적으로 호흡기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ACEi 유발성 기침
- 주로 마른 기침이고 목을 자극하거나, 간질간질하게 하고, 긁고 싶은 느낌이 들도록 한다.
- 약물복용 후 기침이 발생하는 기간
-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 약물복용 수시간 만에 발생하기도 하고 수주 혹은 수개월이 지나서 발생하기도 한다.
- 약물 중단 후 기침이 사라지는 시점
- 수일 내지 2주 이내에 해소
- 평균 기간: 26일
- 일부 환자에서는 증상이 사라지는데 수개월이 걸리거나 호전된 이후에 약하게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도기침증후군
개요
- 코, 인후 및 부비동을 포함한 상기도의 다양한 질환(기도의 자극, 염증 등)이 원인이 되어 기침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군
- 아급성 혹은 만성기침의 흔한 원인
- UACS vs. PNDS
과거: 후비루 증후군(postnasal drip syndrome) | ↔ | 현재: 상기도 기침 증후군(Upper airway cough syndrome) |
|
|
- 알레르기 및 비알레르기 비염, 비부비동염, 인후염 등의 다양한 원인질환이 단독 혹은 복합되어 발생할 수 있다.
증상
- 기침(m/c), 분비물이 넘어가는 느낌, 코막힘, 수양성이나 화농성의 콧물, 인두부의 가려움증,인후부 이물감 등
- 기침이 시작된 시기에 상기도감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
- 신체검사: 인두 뒤쪽으로 점액성 분비물이 흘러 내리거나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인두 후면에 붙어있는 소견, 인두 점막의 조약돌 모양 (cobbled stone appearance) 변화
진단
- 증상, 신체검사 소견, 방사선 검사 및 경험적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 다양한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결과(대개 비특이적) → 환자의 증상, 신체검진 소견, 방사선 검사결과를 종합하여 가능성이 높은 원인질환을 감별하여 진단할 것(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질환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
- 진단적 검사: 확진 검사는 없다.
- 전비경(anterior rhinoscopy), 코 내시경검사, 부비동 단순촬영, 알레르기 피부시험 등
후비루의 규명
- 다음과 같은 증상과 진찰소견 존재시 후비루 의심
- 증상: 분비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이나 인후부의 이물감, 후비루, 코를 입으로 빨아들여 내뱉는다.
- 진찰소견: 인후에 분비물이 있거나 자갈 모양의 점막(cobblestone appearance)
- 주의: 후비루가 있는 모든 환자에서 기침이 나는 것은 아니며, 비부비동염이 있는 환자에서 후비루에 대한 주관적인 증상 없이도 기침이 일어날 수 있다. → 후비루가 있다고 기침의 원인이라고 단정해서는 안 되며, 후비루에 대한 치료 반응을 확인하여야 한다.
후비루를 일으키는 원인 질환의 진단
- 후비루가 확인되면 후비루를 일으키는 원인 질환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요 원인질환
- 알레르기 비염, 비알레르기 비염(nonallergic rhinitis)
- 호산구증가를 동반하는 비알레르기 비염(nonallergic rhinitis with eosinophilia syndrome, NARES), 특발성 비염(idiopathic rhinitis, vasomotor rhinitis), 비부비동염(rhinosinusitis)
알레르기 비염 |
|
비알레르기 비염 |
|
비부비동염 |
|
- 후비루의 원인이 밝혀지면 각각의 질환에 맞는 치료를 하고, 치료에 의하여 기침이 호전되면 상기도 기침 증후군에 의한 만성기침으로 확진할 수 있다.
치료
- 원인 상기도질환이 확인되는 경우 →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 시행
- 원인 상기도질환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제거제를 경험적으로 투여
- 기침의 호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비강분무 스테로이드제 사용을 고려한다.
- 경구 항히스타민제 사용을 권장한다.
- 비충혈제거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 비강분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고려한다.
-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
통년성 비염 |
|
알레르기 비염 |
|
특발성 비염 또는 혈관운동성 비염 |
|
비부비동염 |
|
호산구 기도 질환(Eosinophilic airway disease)
- 호산구 기도 질환은 고전적인 천식(classical asthma), 기침이형성 천식(cough variant asthma, CVA), 호산구 기관지염(non-asthmatic eosinophilic bronchitis, NAEB), 아토피 기침(atopic cough)을 포함한다.
- 기침이 밤중에 심한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잠을 깨는 경우가 많다.
기침형 천식
개요
- 기침형 천식: 기침을 주로 하고, 기도과민성이 있으며, 천식 치료 후 기침이 소실되는 경우
- 천식의 특징적인 증상인 호흡곤란과 천명음 없이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한다.
- 기침 수용체의 민감도 증가가 주요 병인기전이며, 기도 내 호산구와 다양한 염증 매개물질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D2, E2 및 류코트리엔 C4, D4, E4)이 증가된다.
- 여성에게 흔하며, 약 30%의 환자에서 천명이 발생하고, 전형적인 천식으로 이행되기도 한다.
증상
- 천식에서 기침이 나타나는 양상: 크게 세 가지 형태
- 호흡곤란이나 천명음과 같은 전형적인 천식 증상이 없으면서 기침만이 유일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기침이형 천식(cough variant asthma)
- 호흡곤란이나 천명음이 있으나 기침이 주된 증상인 천식(cough-predominant asthma)
-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와 기관지확장제 등과 같은 천식 치료에 의하여 다른 증상은 없어지나 기침은 계속되는 경우
- 기침의 양상
- 마른기침이 대부분이고 발작적이며 대개 밤이나 새벽에 발생
- 악화인자: 상기도감염 및 알레르겐, 담배연기, 자극적인 냄새, 운동, 찬 공기 노출
진단
- 만성기침이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 확장제를 흡입하여 기도가역성을 증명하거나 메타콜린 또는 만니톨 기관지유발검사로 기도과민성을 확인하여 진단
- 감염후기침에서도 바이러스에 의한 기도과민성으로 기관지유발검사가 일시적으로 양성 소견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
- 주된 치료제는 천식과 동일하게 흡입스테로이드 및 흡입기관지확장제이다.
- 기침의 호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항류코트리엔제 사용을 고려한다 (근거수준: 낮음, 권고수준: 약함).
- 흡입스테로이드제 사용을 권장한다 (근거수준: 전문가의견, 권고수준: 강함).
호산구 기관지염(또는 비천식성 호산구 기관지염, non-asthmatic eosinophilic bronchitis, NAEB)
개요
-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하며, 기침 외에 다른 천식의 증상이 없고, 가역적인 기도폐쇄 및 기도과민성이 없으면서 기도의 호산구성 염증 소견을 보이는 경우
- 유도 객담검사가 활발해지면서 천식과 유사하게 객담에서 호산구가 증가되나 천식의 특징인 기관지과민성이 없는 질환이 새로 확인되어 호산구 기관지염으로 명명되었다.
- 천식과의 감별점: 비만세포가 기관지 표면의 상피세포에 침윤(cf. 천식: 비만세포가 기도평활근에 주로 침윤)
- 비만세포 활성화 → 히스타민과 프로스타글란딘 D2 등을 기관지에 분비하여 객담 내에서 농도 증가(천식과 감별되는 특징)
- 비만세포가 상피세포에 주로 집중: 기도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지 않는다. → 폐기능검사상 가역적인 기도폐쇄 및 기도과민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 아토피 환자뿐만 아니라 아토피가 아닌 경우에도 나타나며 화학물질 노출에 의하여 직업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 호산구 기관지염 환자의 약 10% 정도는 전형적인 천식으로 발전하거나, 만성적인 기도 폐쇄가 나타난다.
증상
- 만성기침 환자에서 기침 외에 다른 증상이 없이, 가역적인 기도폐쇄가 없고, 기도과민성이 없지만, 객담에서 호산구증가증이 있으면 호산구 기관지염을 진단할 수 있다.
- 만성기침은 두 가지 이상의 원인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한가지 원인이 진단되더라도 항상 호산구 기관지염의 동반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기침의 경우에도 호산구 기관지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진단
- 만성기침의 다른 원인들을 배제한 후에 하기도의 호산구성 염증을 증명
- 가슴 X선이 정상이고, 기관지유발검사에서 기도과민성이 없고, 폐기능검사에서 가역적인 기도폐쇄가 없는 경우, 호산구성기관지염을 의심할 수 있다.
- 기도의 염증의 증명: 유도객담 검사나 기관지 내시경 검사 시 기관지 세척을 통해 평가
- 유도객담검사: 코와 입을 세척한 후 고장성 식염수를 연무기를 이용하여 5분간 흡입한 후 뱉어낸 가래의 세포 분획을 분석하는 것으로, 호산구가 3% 이상일 경우 호산구성 염증이 있는 것으로 진단한다.
치료
- 천식 치료와 유사
- 원인으로 생각되는 흡입 항원이 있을 경우 회피요법을 병행
-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제를 이용한 항염증 치료가 주된 치료
- 기침의 호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항류코트리엔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 흡입스테로이드제 사용을 권장한다.
위식도 역류질환
개요
- 무증상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 증상이 전혀 없이 기침만을 증상으로 하는 경우; 위식도 역류질환의 50~75%에 해당
- 기침발생기전
- 위식도의 내용물이 후두, 기관으로 미세하게 흡인되는 기전
- 원위부 식도가 위산에 노출되고 미주신경을 통하여 직접적인 식도-기도기관지 기침 반사(esophageal-tracheobronchial cough reflex)를 발생시키는 기전
- 인후부 역류(laryngopharyngeal reflux, LPR)에 따른 기침 수용체 자극기전
증상
위식도역류성 기침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적 상황
- 만성기침
- 기침을 유발할 만한 자극제 (담배연기, 공해물질, 독성물질 등)에 노출력이 없다.
- 현재 흡연자가 아니다.
- 흉부 방사선이 정상이거나 이전과 변함이 없다.
- 천식이 배제되었다 (천식 치료에도 기침 호전이 없거나, 기관지유발검사가 음성이다).
- 상기도기침증후군이 배제되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 기침 호전이 없고 무증상 비부비동염이 배제되었다).
- 호산구성기관지염이 배제되었다 (적절하게 시행한 유도객담 검사가 음성이거나 흡입 혹은 전신스테로이드에 기침 호전이 없다).
진단
- 위식도 역류질환에 의한 기침의 진단은 역류 치료에 의해 기침이 호전되어야 가능하다.
- 위식도내시경검사
- 비후두경검사법(rhinolaryngoscopy)
- 24시간 식도산도검사
치료
- 위식도역류질환에 의한 기침이 의심되면, 경험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 위식도역류질환에 의한 기침의 치료에는 식이요법, 생활습관 개선, 최소 4~8주간의 약물요법이 있다.
- 기침의 호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PPI 사용을 고려한다.
- 위장운동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
자세한 내용은 소화기 part “위식도 역류질환(GERD)” 편 참고
참고자료
- Pratter MR. Overview of common causes of chronic cough: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06;129(1 Suppl):59S–62S.
- 조상헌. 기침. 대한내과학회지 2009;76(3):252–9.
- 고영일. 만성기침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용한 접근법. 대한내과학회지 2010;78(6):674–81.
- Pratter MR, Brightling CE, Boulet LP, Irwin RS. An empiric integrativ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ough: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06;129(1 Suppl):222S–231S.
- Dicpinigaitis PV. Cough reflex sensitivity in cigarette smokers. Chest 2003;123(3):685–8.
- 기침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4
- Do NY, Park JH. Differential Diagnosis of Chronic Coug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 2016;17(2): 8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