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의 치료방법
약물요법
- 뒤에서 따로 다루었습니다.
비약물요법
위험요소 제거
- 환자 교육
- 금연
육체적 활동/호흡재활 치료(pulmonary rehabilitation)
- 호흡재활 치료의 효과
- 운동능력 향상, 호흡곤란 감소,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
- 병원 입원 횟수와 입원기간 감소, COPD와 관련된 불안과 우울증 감소
- 상지근력과 지구력 훈련으로 상지기능 호전, 재활치료의 효과가 치료 후에도 지속
- 생존율 증가
-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운동훈련, 금연, 영양상담, 교육
- 호흡훈련(breathing exercise): slow deep breathing, pursed lip breathing, diaphragm breathing
Pursed lip breathing
- 호흡곤란이 있는 COPD환자들이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호흡률 감소, 1회 호흡량(TV) 증가
- 강한 호기(expiration)은 호흡곤란을 증가시킬 수 있음
- 가능하다면 횡격막호흡법과 함께 적용
diaphragm breathing
- 폐활량 증가, 기침능력 향상, 발성 시 호흡능력 보조, 기능적 움직임 향상
- 횡격막호흡법은 일상호흡(normal breathing)이 아님
- COPD환자 중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음
- 진행 : 누운 자세 → 앉은 자세 → 선 자세 → 걷기 → 계단
산소요법과 비침습적 양압환기
- 안정상태에서 중증 저산소혈증을 동반한 만성호흡부전: 장기간 산소투여(하루 15시간 이상) 시행 → 생존율 증진
- 산소요법
- 안정상태에서 중증 저산소혈증을 동반한 만성호흡부전 환자에게 장기간 산소투여(하루 15시간 이상)는 생존율 향상
- 장기산소요법의 적응증
- 고탄산혈증 여부와 관계없이 동맥혈산소분압(PaO2)이 최소 55 mmHg 이하이거나 산소포화도(SaO2)가 88% 이하; 혹은
- 동맥혈산소분압이 55 mmHg와 60 mmHg 사이거나 산소포화도가 89%이면서 폐고혈압, 울혈성심부전을 암시하는 말초부종, 혹은 적혈구증가증(적혈구용적률>55%)이 보이는 경우
- 비침습적 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ventilation)
- COPD 급성악화로 입원한 환자에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표준 치료
- 비침습적 양압환기의 적응증
- 급성 악화 시
- 장기산소요법을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상, 고탄산혈증 및 야간 저환기가 있고, 이로 인해 입원이 잦은 경우
수술
| 폐용적축소술(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LVRS) | 기관지내시경 폐용적축소술(bronchoscopic lung volume reduction, BLVR) | 폐이식(lung transplantation) |
개요 |
|
|
|
적응증 |
※ 제외 대상: 약물치료에 비해 폐용적축소술 후 사망률↑: FEV1(예측치) < 20%, DLCO(예측치) < 20%, HRCT에서 균일한 폐기종(diffuse emphysema)
|
※ 균일한 폐기종을 보이는 경우 수술을 통한 폐용적축소술은 고려되지 않으나 기관지내시경 폐용적축소술은 가능
|
|
COPD의 치료 전략
안정 COPD의 치료목적

COPD의 치료방침의 변화
GOLD 가이드라인 | 국내 가이드라인(2018년 가이드라인) |
~2010
2011년~2016년
2017년 GOLD update
|
|
치료방침의 변화에서는 "[보충]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치료방침의 변화"에서 좀 더 자세히 다뤘습니다.
GOLD 가이드라인(2019)
D군에서 LAMA, ICS/LABA, LAMA/LABA를 모두 1차 치료로 선택할 수 있도록 권고
cf. 2017년: 대폭 개정돼 악화 위험도가 높은 D군에서 LAMA/LABA를 1차 치료선택으로 권고
(1) COPD 환자 진료 시 천식처럼 환자상태를 평가, 고찰하고 치료 계획을 조정하는 과정 삽입
당연한 내용처럼 보이긴 하지만 진료 시 간과되기 쉬우므로 명문화해서 강조하는 의미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Management cycle

최초 선택한 약제가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약물 치료를 무조건 추가하기 보다는
|
(2) D군에서 LAMA/LABA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던 데서 LAMA, LAMA/LABA, ICS/LABA를 동일한 1차 선택으로 변경
- ICS/LABA: 혈장 호산구 수가 300 이상인 경우 선택
- LAMA/LABA: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 선택
초치료의 선택

이는 LAMA/LABA가 뛰어난 폐기능 향상 효과와 증상 개선 효과에도 불구하고 LAMA나 ICS/LABA에 비해 우월한 악화 예방 효과를 일관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약물치료가 COPD의 경과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비용효과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초치료 약제 투여 후 증상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두 가지 표현형으로 분류하여 치료 단계 올림(escalation) 시행
초치료 약제 투여 후 증상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 |
▼ | |
악화 위험도는 낮고 호흡곤란이 심한 형(dyspnea) | 악화가 잦은 형(exacerbation) |
최초 선택이 ICS/LABA인 경우 외에는 약물 치료에서 ICS는 배제하도록 했고 LAMA/LABA를 최우선 약물치료로 고려하도록 함 | LABA 혹은 LAMA 투여 중 악화 발생
|
▼약물 치료 follow-up | |
| |
eos = blood eosinophil count(cells/µL) * Consider if eos ≥ 300 or eos ≥ 100 AND ≥ 2 moderate exacerbations / 1 hospitalization ** Consider de-escalation of ICS or switch if pneumonia, inappropriate original indication or lack of response to ICS |
국내 가이드라인(2018)
- 2018년 국내 가이드라인(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이 개정발표되었다. 2014년 국내가이드라인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없어 보인다.
- COPD의 종합평가 시에 폐기능, 호흡곤란정도 및 악화력을 평가하여 COPD 한자를 분류한다. 2017년 GOLD update 이전에는 GOLD에서도 COPD 평가시에 폐기능을 포함시켰으나 2017년 GOLD update에서는 FEV1은 배제한 채 급성악화병력, 환자의 증상(mMRC, CAT)만을 고려하자는 (파격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개정된 2018 국내가이드라인은 2017년 GOLD update의 내용은 반영하지 않았다.
- 2014년 국내 가이드라인과 동일하게 COPD 환자 분류 시 가, 나, 다 3군으로 분류한다.(GOLD 가이드라인에서는 ABCD 4군으로 분류한다.)
- 2018 국내 가이드라인 각군별 처방예시를 제시해보았다.(2014년 가이드라인과 달라진 점은 없다.)
참고. 악화(=급성악화)는 약제를 추가해야 할 정도로 호흡기증상이 나빠진 급성상태를 의미한다. |
안정 시 COPD의 약물 단계치료 * AE COPD: Acute exacerbation of COPD. † Asthma overlap or high blood eosinophil ‡급성악화 병력이 있고 만성기관지염을 수반한 COPD: 1) FEV1<50% 정상예측치 또는 흡입지속성베타-2작용제나 흡입지속성항콜린제 등의 지속 투여에도 연 2회 이상 급성악화가 발생한 경우 SABA: Short-Acting Beta2-Agonists, LABA: Long-Acting Beta2-Agonists, LAMA: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
참고자료
- GOLD. GOLD Pocket Guide to COPD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updated 2010)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goldcopd.org/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0) [Internet]. Available from: www.goldcopd.com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1) [Internet]. Available from: www.goldcopd.com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6).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7).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9).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COPD 진료지침. 2014 개정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COPD 진료지침 2018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