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GOLD 가이드라인의 변화
|
과거 GOLD 가이드라인
- 2010년 GOLD가이드라인까지는 COPD를 폐기능 검사(post-bronchodilater FEV1)를 기준으로 중한 정도에 따라 '경증'·'중등증'·'중증'·'매우 중증'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 따라 다른 치료를 제시하고 있다.
- 경증 COPD: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를 필요시 사용
- 중등증 COPD: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를 정기적으로 사용
- 중증 COPD: 반복적인 급성 악화가 있는 경우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
- 매우 중증 COPD: 만성적인 호흡부전이 있는 경우 장기간 산소요법 시행. 수술 요법 고려
- 단점: 치료에 있어서 전반적인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폐기능의 지표인 FEV1만을 이용해 환자를 평가
Spirometric classification of COPD severity based on post-bronchodilator FEV1
단계 | 특징 |
Stage 1: mild |
|
Stage 2: moderate |
|
Stage 3: severe |
|
Stage 4: very severe |
|
respiratory failure: PaO2<60mmHg with or without PaCO2>50mmHg while breathing air at sea level.
COPD 각 단계별 치료방침

GOLD 가이드라인(2011년 이후)
핵심: 환자를 네 군으로 분류 후 약물 치료 권고 |
- 2011년 개정된 GOLD 가이드라인은 그동안의 지침에서 권유된 FEV1을 근간으로 하는 staging system을 사용하지 않고 grade system을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 FEV1으로 대변되는 폐기능, 환자의 증상, 급성 악화의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 '저위험 저증상 환자군'(A군)
- '저위험 고증상 환자군'(B군)
- '고위험 저증상 환자군'(C군)
- '고위험 고증상 환자군'(D군)
- 폐기능과 급성 악화 중 하나라도 고위험군에 속하면 고위험군으로 분류한다.
- 그룹별 권고되는 약물치료는 아래에서 언급하였다.
분류 | 1차약물 | 2차약물 | 대안 |
환자 A군 | 속효성 항콜린제(SAMA) 또는 속효성 β2항진제(SABA) | 지속성 항콜린제(LAMA) 또는 지속성 β2항진제(LABA) 또는 SABA + SAMA | - |
환자 B군 | LAMA 또는 LABA | LAMA + LABA | SABA and/or SAMA |
환자 C군 | ICS(흡입스테로이드제)+LABA 또는 LAMA | LAMA + LABA 혹은 LAMA + PDE4 억제제 혹은 LABA + PDE4 억제제 | SABA and/or SAMA
|
환자 D군 | ICS+LABA and/or LAMA | ICS + LAMA + LAMA 혹은 ICS+LABA + PDE4 억제제 혹은 LAMA + LABA 혹은 LAMA + PDE4 억제제 | Carbocysteine N-acetylcysteine SABA and/or SAMA |
- Theophylline는 환자 A∼D군 모두에서 대안요법으로 사용가능
기류제한 중증도 분류(post-bronchodilator FEV1기반)
단계 | 특징 |
GOLD 1: mild |
|
GOLD 2: moderate |
|
GOLD 3: severe |
|
GOLD 4: very severe |
|

Patient | Characteristic | Spirometric Classification | Exacerbation per year | mMRC | CAT |
A | Low Risk Less Symptoms | GOLD 1-2 | ≤1 | 0-1 | <10 |
B | Low Risk More Symptoms | GOLD 1-2 | ≤1 | ≥2 | ≥10 |
C | High Risk Less Symptoms | GOLD 3-4 | ≥2 | 0-1 | <10 |
D | High Risk More Symptoms | GOLD 3-4 | ≥2 | ≥2 | ≥10 |

2017년 GOLD update
- A, B, C, D 분류에 FEV1이 배제되었다.
- FEV1은 배제한 채 악화병력, 환자의 증상(mMRC, CAT)만으로 네 그룹(A, B, C, D)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 치료방침을 달리하고 있다.
- Grade 와 Group 각각 표기(예; GOLD Grade 4, Group B)
Grade | Group |
|
|
2017 GOLD update에서 변화된 치료지침
|
COPD 중증도 분류(ABCD) 및 치료방침
중증도 분류 | ![]() |
치료방침 |
![]()
![]()
![]()
![]() |
Cf.
분류 | 2016년① | 2017년 | ||
1차약물 | 대체약물 | 기타 치료 | ||
환자 A군 | SAMA(prn) 혹은 SABA(prn) | LAMA 혹은 LABA 혹은 SABA+SAMA |
| 기관지확장제 (속효성 혹은 지속성) |
환자 B군 | LAMA 혹은 LABA | LAMA + LABA | SABA and/or SAMA | 지속성 기관지확장제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병합요법 고려) → (증상지속 시) 기관지확장제 병합요법 |
환자 C군 | ICS(흡입스테로이드제)+LABA 또는 LAMA | LAMA + LABA 혹은 LAMA + PDE4 억제제 혹은 LABA + PDE4 억제제 | SABA and/or SAMA | 지속성 기관지확장제(LAMA) → (잦은 급성악화) 기관지확장제 병합요법(1st: LAMA+LABA, 2nd: LAMA+ICS) |
환자 D군 | ICS+LABA and/or LAMA | ICS + LAMA + LAMA 혹은 ICS+LABA + PDE4 억제제 혹은 LAMA + LABA 혹은 LAMA + PDE4 억제제 |
| LAMA+LABA (대안: LAMA + ICS②) → (잦은 급성악화) LAMA+LABA+ICS → (잦은 급성악화) 1) roflumilast; 2) macrolide |
① Theophylline는 환자 A∼D군 모두에서 대안요법으로 사용가능
② Asthma-COPD overlap이 의심되거나 혈중 호산구수치가 높은 경우 적용가능
2019년 GOLD update
"[리뷰]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치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