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급성악화란?
- ‘COPD 환자의 기본적인 호흡기증상이 매일-매일의 변동범위를 넘어서 치료약제의 변경이 필요할 정도로 급격히 악화된 상태
의미와 중요성
- 급성악화는 COPD 자연경과에 다음과 같은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급성악화의 병태생리

급성 악화의 중증도 평가
- 증상, 동맥혈가스(ABGA), 가슴X선의 중증도 평가
- 산소 투여, 연속적인 ABGA측정, pulse oximetry 측정
- 2017 GOLD update에서는 다음과 같이 중증도를 분류하고 있다.
경증(mild) | 속효성 기관지확장제(SABD)만으로 치료가능한 경우 |
중등도(moderate) | SABD + 항생제 and/or 경구스테로이드로 치료된 경우 |
중증(severe) | 입원 혹은 응급실 방문을 필요로 하는 경우. Acute respiratory failure를 보이는 경우 |
치료원칙
기관지확장제 |
|
기타 약물치료 |
|
비침습적 기계환기(NIV) |
|
기타 |
|
입원 적응증 | 중환자실 치료 적응증 |
|
|
↓ | |
퇴원기준① | |
|
① 2017 GOLD update, 2018 국내 가이드라인에서는 퇴원기준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호흡보조요법
산소요법
- COPD 악화 시 치료의 핵심적인 요소
- 목표: 산소포화도 88~92%
- 일단 산소요법이 시작되면 30~60분 후에 동맥혈가스검사를 하여 이산화탄소의 축적없이 적절한 산소농도에 도달했는지 점검한다.
- 고농도 산소 투여 시 이산화탄소 축적이 발생할 수 있음 → 산소농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주의할 것
- 벤튜리 마스크: nasal prong보다 더 정확하게 산소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치. nasal prong에 비해 좀 더 불편
참고로 산소투여 시 이산화탄소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농도의 산소(nasal prong 1~2 L/min, FiO₂: 0.24~0.28)부터 투여하기 시작한다. Nasal prong으로 산소 주입 시 산소농도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이 계산은 환자가 안정적으로 호흡을 했을 때를 가정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Nasal prong
|
환기 보조
- 급성악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계환기는 비침습적(코 또는 안면 마스크를 이용) 또는 침습적(구강기도관 또는 기관절개술을 이용) 환기법이 있다.
비침습적 기계 환기 및 침습적 기계환기의 적응증
비침습적 기계환기 | 침습적 기계환기 |
다음 중 한 가지에 해당될 때
|
|
참고자료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COPD 진료지침. 2014 개정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 COPD 진료지침 2018 개정.
- Wedzicha JA, Seemungal TAR. COPD exacerbations: defining their cause and prevention. Lancet 2007;370(9589):786–96.
-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updated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