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양상
크게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구분
3가지 형태의 양상이 겹쳐서 나타날 수 있다.
급성 과민 폐렴
- 가장 흔한 형태
- 독감 유사 증상: 발열, 호흡곤란, 마른 기침, 근육통
- 항원 노출 후 4-8시간 내 증상발열 → 12-24시간에 증상 최고조 → 항원노출 회피 48시간 이내에 자연소실
- 항원 노출이 반복되면 증상재현(더 높은 강도)
아급성 과민 폐렴
- 급성보다 적은 용량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생
- 운동 시 호흡곤란, 피로, 마른기침
- 항원 노출 회피 시 치료없이 24시간 이내에 호전
만성 과민 폐렴
- 폐 섬유화 동반
- 항원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발생
과민 폐렴의 임상양상별 비교★
특징 | 급성 | 아급성 | 만성 |
증상발현 | 4-48시간 | 수 주~4개월 | 4개월~수 년 |
발열/오한 | + | + | - |
호흡곤란 |
|
|
|
신체검사(악설음) | Bibasilar | Diffuse | Diffuse |
단순흉부촬영 | 망상결절 침윤(Reticulo-nodular infiltration)(반점형 혹은 미만성) | 망상결절 침윤(반점형 혹은 미만성) | 망상형, 섬유화(미만성) |
HRCT | 결절, 젖빛 유리음영(GGO) | 결절, 젖빛 유리음영(GGO), air trapping | 결절, 젖빛 유리음영(GGO), 섬유화, 공기포착(air trapping), 폐공기증(emphysema) |
PFT | 제한성(Restrictive) | 제한성 혹은 혼합성(Restrictive or mixed) | 제한성 혹은 혼합성(Restrictive or mixed) |
폐확산능(Diffusing capacity) | 감소 | 감소 | 감소 |
예후 | 양호 | 양호 | 불량 |
진단
- 항원 노출에 대한 환경요인, 직업력, 진단에 대한 의심이 중요하다.
- 한 가지 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 없어 직업력, 환경적인 요인 등의 임상적인 병력, 방사선 소견, 검사실 소견, 병리 소견을 조합하여 진단을 내린다.
진단 기준
- 여러 진단 기준이 제안되었지만 타당성이 입증된 것은 없다.
International HP study group
- 6가지 예측인자
- 알려진 항원에 노출 (m/i)
- 예측항원에 대한 항체 양성
- 증상의 재발
- 흡입 시 마찰음(inspiratory crackle)
- 노출 4~8시간에 발생된 증상
- 체중감소
- 후향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여러 코호트에서 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 이러한 진단적 접근은 침습적 검사 없이도 높은 예측률을 보인다.
- 6가지 모두 있을 경우 98%의 진단율을 보인다.
- 가장 중요한 인자는 항원 노출
Significant Predictors of HP in the HP Study
Variables | OR | 95% CI |
Exposure to a known offending antigen | 38.8 | 11.6-129.6 |
Positive precipitating antibodies | 5.3 | 2.7-10.4 |
Recurrent episodes of symptoms | 3.3 | 1.5-7.5 |
Inspiratory crackles | 4.5 | 1.8-11.7 |
Symptoms 4-8 h after exposure | 7.2 | 1.8-28.6 |
Weight loss | 2.0 | 1.8-28.6 |
영상검사
가슴 X선
- 비특이적이고 다양한 소견으로 나타난다.
급성/아급성 | 만성형 |
|
|
![]() |
HRCT
- 과민 폐렴의 필수적인 검사방법
급성 |
| |
아급성 |
| ![]() |
만성 |
| ![]() |
혈청 침강항체
- 혈청 침강항체(IgG)
- 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확진(-)
기관지폐포세척액 검사(bronchoalveolar lavage)
- 진단에 도움이 된다.
- 대부분 CD4/CD8 1 이하 → 사르코이드증, 특발폐섬유증과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폐생검/병리검사
- 과민 폐렴의 진단에 조직검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님
-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실 소견이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시행가능
참고자료
- Park MS.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J Korean Med Assoc 2009;52(1):49-58
- Lacasse Y, Girard M, Cormier Y. Recent advances in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Chest 2012;142(1):208–17.
- Lacasse Y, Selman M, Costabel U, et al HP Study Group. Clinical diagnosis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8(8):952-958.
- 해리슨 20/e(2018). 28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