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양상
- 20세부터 50세 사이의 남자에 호발
- 매우 다양한 임상상을 보인다.
장기침범
- 혈액, 심혈관계, 피부, 신경계, 호흡기, 비장, 간, 안구, 소화기
- 전신증상(야간 발한, 식욕감소, 체중감소, 소양증, 발열)
- 호흡기 증상
- 호흡기의 침범은 약 40%의 환자들에서 관찰
- 흔한 호흡기 증상: 객담을 수반하지 않는 만성 기침, 흉막유출(pleural effusion)
진단
진단기준
Chusid’s original definition(1975) | ▶ | 2011년 revision |
|
Hypereosinophilia(HE): peripheral blood HE or tissue HE peripheral blood HE
tissue HE
|
해리슨 20판(2018)에서는 진단기준을 딱 제시한다기보다는 Chusid’s original definition(1975)에서 '6개월 기간'을 제외한 정도로 hypereosinophilic syndrome의 "heterogeneous group of disease entities"로서의 성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검사실 검사
- 호산구 증가증: 전체 백혈구 중 30~70%, 혈액 1 mm3당 10,000개 이상
영상의학 검사
흉부 X-선
- 폐침윤: 미만성(diffuse) 혹은 국소성의 음영증가(consolidation), 결절 및 결절주위의 간유리 음영
전산화 단층 촬영
- 반상의 음영증가(patchy consolidation) 혹은 주위에 윤륜(halo)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않는 결절, 폐부종과 유사한 미만성의 간유리 음영
조직검사
- 호산구 침윤(폐실질, 호중구 침윤(세동맥)
- 만성적인 경우: 섬유화
기관지 폐포세척
- 호산구 수 증가
감별진단
- 급성/만성 호산구성 폐렴
- eosinophilic leukemia
-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infestation)
치료
-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에 반응이 좋다.(50% 이상)
- 1달간 하루 60 mg의 prednisone을 투여하고 이후 격일로 60 mg 투여
-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
- hydroxyurea, azathioprine, cyclophosphamide, Imatinib
참고자료
- Weller PF, Bublet GJ.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Blood 83:2759-2779, 1994
- Choi DC. Eosinophilic lung diseases: diagnosis & treatment. Korean J Med 2009;76:274–81.
- Chusid MJ, Dale DC, West BC, Wolff SM.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Analysis of fourteen case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54:1-27, 1975
- Valent P, Klion AD, Horny HP, Roufosse F, Gotlib J, Weller PF, et al. Contemporary consensus proposal 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eosinophilic disorders and related syndromes. J Allergy Clin Immunol 2012; 130:607-12.e9.
- Curtis C, Ogbogu P. Hypereosinophilic Syndrome. Clin Rev Allergy Immunol 2016;50(2):240–51.
- Park CS, Lee SP. Recent advances in th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hypereosinophilia.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6):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