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생충 감염 시에 말초혈액이나 폐실질내 호산구의 증가를 동반하는 폐침윤이 발생할 수 있다.
호산구폐질환을 유발하는 기생충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
- 유병율과 발생 빈도가 많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종종 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정의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과 유사종들(예: 아프리카폐흡충 P. africans)에 의한 감염
역학
발생지역
- 북미와 유럽을 제외한 세계 여러 곳에서 유행하고 있다.
- 유행지역: 서 아프리카, 중남미 및 아시아에서 특히 높다
감염경로
- 자연계 보유숙주: 고양이과에 속하는 야생동물이나 가축
- 인체 감염: 덜 익힌 민물 가재나 민물 게(freshwater crab)의 내장이나 근육에 있는 피낭유충을 섭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폐침입 단계
침윤성 단계, 소결절단계, 섬유화, 석회화 단계
침윤성 단계 |
|
▼ | |
소결절 단계 |
|
▼ | |
섬유화 단계 |
|
▼ | |
석회화 단계 |
|
임상양상
- 성충이 폐조직에 정착하는 경우 → 충낭 형성
- 충낭: 직경 약 1~2cm, 충체 1~2 마리 존재
- 폐흡충증이 급성으로 진행하는 경우: 폐렴 (pneumonia), 기관지염 (bronchitis),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섬유화
- 전형적인 임상양상: 밤색 또는 피가 섞인 가래, 잦은 기침 + 말초혈액의 호산구 증가
진단
- 객담이나 대변에서 충란을 검출하여 진단 가능
영상의학 검사
- HRCT: 직경 5~15 mm의 액체나 가스를 함유한 낭종
- 가슴 X선: 반성 밀도(patchy density), 공동 형성 (cavity), 흉막 삼출, 윤상 음영 (ring shadow)
혈청학적 검사
- 충란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뇌의 폐흡충증 등의 경우 도움이 된다.
항체 검사
- 효소면역진단법(ELISA)에 의한 특이적 IgG항체 측정법
- 가장 특이도와 예민도가 높다.
- 치료하면 약 6개월에서 1년에 걸쳐 서서히 음전된다.
치료
- Praziquantel
- 내과적 및 외과적 처치가 폐 또는 뇌 병변의 경우 필요할 때가 있다.
참고자료
- Dong Chull Choi. Eosinophilic lung diseases: diagnosis & treatment.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6(3):274–81.
- Allen JN, Davis WB. Eosinophilic lung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50:1423-1438, 1994
- 해리슨 20/e(2018). 229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