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항생제가 폐조직을 투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워 사망률이 15%에서 20%에 달한다.
- 항생제 및 중재학적 시술이 발달함에 따라 적절한 배농이 조기에 이루어져 폐농양과 관련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주요 치료방법
|
항생제 요법
- 폐농양은 항생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 추정되거나 확인된 원인균에 따라 치료결정
- 혐기성 세균이 폐농양의 주 병인이므로 혐기성 균을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의 선택(경험적 요법)
- Clindamycin : 600mg IV tid → (발열해소, 임상증상호전) → 300mg PO qid
- ß-lactam/ß-lactamase 억제제 병합요법: IV제제 → (안정화된 후) → amoxicillin-clavulanate
- moxifloxacin(400mg/d, PO): ampicillin-sulbactam만큼 효과적이라는 보고존재
Cf. metronidazole: 단일 제제로 투여 시 효과적이지 않다. 혐기성에는 효과적이지만 microaerophilic streptococci에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
- 초기에는 주사치료로 시작하여 열이 내리고 임상적인 증상이 호전되면 경구치료로 바꿀 수 있다.
치료기간
- 영상검사에서 폐농양이 사라지거나 작은 흉터로 바뀐 것이 입증될 때까지 투여, 보통 3-4주~ 14주
- 많은 전문가들은 영상소견이 소실되거나 소량만 남아서 변화가 없을 때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1차 폐농양 | 2차 폐농양 |
|
|
기타 치료
- 충분히 항생제를 사용했음에도 치료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치료 시행
- CT-guided percutaneous drainage
- 수술
- 직경 >6~8cm인 농양은 추가적인 치료 없이 항생제 치료만으로 호전되기 힘들다.
체위 배액(postural drainage)
- 예전에는 많이 실시한 치료인데 해리슨 19판부터는 체위배액에 대한 언급은 없다.
예후
예후가 나쁜 경우
- 2차 폐농양인 경우
- 나이>60세
- 호기성 균이 존재하는 경우
- 발현 당시 패혈증을 보이는 경우
- 증상>8주
- 농양 크기>6cm
참고자료
- Hirshberg B, Sklair-Levi M, Nir-Paz R, Ben-Sira L, Krivoruk V, Kramer MR. Factors predicting mortality of patients with lung abscess. Chest 1999;115:746-50.
- Lee, Ji-Yeon, So My Koo, Kyong Ah Park, Yu Ri Seo, Se Hun Kim, Yang-Ki Kim, Ki-Up Kim, Jung Hwa Hwang와/과Soo-Taek Uh. “Analysis of Lung Parenchymal Sequelae Following Treatment for Lung Absces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71, 호 6 (2011년): 438. doi:10.4046/trd.2011.71.6.438.
- 해리슨 20/e(2018). 122장
- Yu H. Management of Pleural Effusion, Empyema, and Lung Abscess. Semin Intervent Radiol 2011;28(1):7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