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폐외 결핵
- 결핵은 인체의 모든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 폐결핵: 대부분의 결핵이 폐에서 발생
- 폐외 결핵: 폐 이외의 장기에서 결핵이 발생한 것을 폐외 결핵(extra-pulmonary tuberculosis) 또는 비호흡기 결핵(non-respiratory tuberculosis)이라고 부른다.
기관지 결핵은 폐결핵의 한 형태이지만 임상양상이 다른 폐결핵과 다른 부분이 많으므로 폐외결핵에서 논하겠습니다.
- 폐외 결핵의 호발 장기(발생 빈도순): 흉막, 림프절, 복부, 골 및 관절, 중추신경계, 비뇨생식기, 기도, 심낭
진단
- 임상양상: 전신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보다 국소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전신증상 | 국소 증상 |
|
|
- 배양 양성인 경우 약제 감수성검사 필요
- 폐외 결핵에서 약제 감수성검사가 중요한이유
-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결핵균 검사를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
-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 폐결핵과 달리 역설적 반응이 20-30%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 → 약제 감수성검사는 역설적 반응과 내성 결핵에 의한 치료실패를 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 폐외 결핵에서 약제 감수성검사가 중요한이유
치료
- 치료원칙은 폐결핵과 동일
결핵성 흉막염
개요 |
|
진단 |
|
치료 |
|
기관지 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림프절 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결핵성 수막염
개요 |
|
진단 |
|
치료 |
|
복부 결핵(결핵성 복막염/장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속립성 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골 및 관절 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비뇨생식기 결핵
개요 |
|
진단 |
|
치료 |
|
결핵성 심낭염
개요 |
|
진단 |
|
치료 |
|
참고자료
- 결핵진료지침 개정위원회. 결핵 진료지침(개정판). 2014
- 결핵진료지침 개정위원회. 결핵 진료지침 3판(2017)
- Kim SH. Diagnosis and treatment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J Korean Med Assoc 2014 January; 57(1): 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