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 감염이란?
- 결핵균에 감염되어 체내 소수 살아있는 균 존재
- 외부로 균이 배출되지 않음
-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음
- 증상이 없음
- 항산균 검사와 흉부 X선검사에서 정상
| 잠복결핵감염(LTBI) | 활동성 결핵 |
증상 | (-) and | (+) or |
병원체 검사 | (-) and | (+) or |
가슴 X선 | (-) and | (+) and/or |
PPD test or 인터페론감마분비검사(interferon-gamma releasing assay, IGRA | (+) | (+) |
진단
잠복결핵감염 검사의 적응증
- LTBI 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
- 전염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
- 결핵 발병의 위험이 높은 군
- 결핵균 감염의 위험성이 높고, 결핵발병시 환자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의료인
- 결핵 발병 위험이 낮은 군에서는 권고하지 않는다.
- 과거에 활동성 결핵 혹은 LTBI로 치료한 환자 혹은 LTBI 검사 양성으로 확인되었던 자에서 LTBI 검사는 유용하지 않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잠복결핵감염 진단방법
- LTBI는 활동성 결핵을 배제한 후 LTBI 검사로 진단한다.(면역학적 방법)
- 투베르쿨린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 인터페론감마분비검사(interferon-gamma releasing assay, IGRA)
- 활동성 결핵을 배제하기 위해 병력 청취, 진찰, 흉부 X선을 촬영하며, 결핵이 의심되는 증상 및 흉부 X선 소견이 있으면 세균학적 검사 등 추가 검사를 시행한다.
정상면역인 | 면역저하자 |
|
|
|
- 결핵 발병 위험군에서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LTBI 검사 없이 LTBI로 진단한다.
정상면역 성인에서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성인 면역저하자에서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치료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 전염성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 다르게 취급한다.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한 경우가 아닌 경우 | 전염성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 |
▼ | ▼ |
LTBI 감염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황에 따라서 치료를 고려한다. | 전염성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활동성 결핵 발생 가능성을 높게 보기 때문에 LTBI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아울러 LTBI로 확인된 경우에는 거의 치료한다고 보면 된다. |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가 아닌 경우 |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진 대상자인 경우 |
|
|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 LTBI 치료를 결정하기 전에 반드시 활동성 결핵의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한다.
- LTBI 치료방법: ① 표준치료: 이소니아지드[(5 mg/kg/일, 최대 300 mg/일) 9개월 요법(9H)] ② 리팜핀 4개월 요법(4R, IIB), 3개월 이소니아지드/리팜핀 요법(3HR, IIB), 간헐적 12회 이소니아지드/리파펜틴(3H1P1) 요법도 선택적으로 고려가능
간독성 위험임자 유무에 따른 접근 | |
간독성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 간독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
▼ | ▼ |
|
|
- 최근 전염성결핵 환자의 접촉자인 경우 약제 선택시 전염원(index case)의 약제감수성검사 결과를 참고한다.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 의료기관 종사자는 일반적 지침에 더해 추가적인 지침을 적용한다.
-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LTBI가 진단된 경우는 의료기관 결핵관리 안내의 2016년 2차 개정판의 지침에 따른다. 즉, 다음과 같은 경우 치료한다.
- 주기적 TST 또는 IGRA 검사에서 양전이 확인된 경우
- 최근 2년내 결핵환자와 접촉력이 있으면서 LTBI 검사가 양성인 경우
- 1, 2군 대상자에서 LTBI 양성인 경우
- 의료기관 종사자에서 LTBI가 진단된 경우는 의료기관 결핵관리 안내의 2016년 2차 개정판의 지침에 따른다. 즉, 다음과 같은 경우 치료한다.
1군 | 결핵환자를 검진·치료·진단하는 의료인 및 의료기사 등(호흡기결핵환자와 접촉가능성이 높은 종사자) | 호흡기내과 외래 병동, 기관지내시경실, 결핵균검사실, 폐기능검사실 등 감염내과외래 병동, 내과중환자실, 응급실 등 소아호흡기알레르기 클리닉 등 흉부영상 촬영 부서 |
2군 | 면역이 약하여 결핵발병시 중증결핵 위험이 높은 환자와 접촉하는 종사자 | 신생아실, 신생아중환자실 등 1, 2차 분만의료기관, 조산원 등 장기이식병동, 혈액암병동, 투석실, HIV 관련 부서 등 |
3군 | 그 밖에 호흡기 감염이 우려되는 의료기관 종사자(호흡기결핵환자와 접촉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종사자) | 1군 또는 2군에 해당하지 않는 임상과 의료인 및 의원급 의료기관 등 |
4군 | 기타 의료기관 종사자(그 밖의 결핵감염 위험도가 낮은 종사자) | 환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낮은 사무직 종사자 등 |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TNF 길항제 사용 전 | |
진단 |
|
치료 |
|
TNF 길항제 사용 중 F/U | |
결핵검사 |
|
치료 |
|
참고자료
- 결핵진료지침 개정위원회. 결핵 진료지침 3판(2017)
- 질병관리본부. 의료기관 결핵관리 안내. 2016년 8월 (2차 개정판)
- Choi JC.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J Korean Med Assoc 2014 January; 57(1): 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