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흉수란?
흉막삼출을 이해하기 위한 해부, 생리
흉막의 구조
흉막의 기능
흉막공간(pleural surface)
흉막압력
병태생리
흉막삼출의 발생
누출액(여출액, Transudates) vs. 삼출액(Exudates)
누출액(Transudates)
삼출액(Exudates)
정의
흉수란?
- 흉막 표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누출(transudate) 혹은 삼출(exudate)되어 흉강내에 액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흉막삼출을 이해하기 위한 해부, 생리
흉막의 구조
- 호흡할 때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역할을 하는 폐를 싸고 있는 두 층의 막
- 장측흉막(visceral pleura): 폐실질을 덮고 있다.
- 벽측흉막(parietal pleura): 흉벽과 횡경막을 덮고 있다.
- 장측흉막과 벽측흉막의 표면적은 비슷
흉막의 기능
- 흉벽에 폐의 운동이 쉽도록 하여준다.
- 장측흉막은 폐의 모양을 유지하여 과팽창을 줄이고 기흉을 방지한다.
흉막공간(pleural surface)
- 두 흉막 사이 공간을 의미한다.
- 평상시 소량의 흉막액(pleural fluid)이 있으나 흉수(pleural effusion)는 비정상적으로 체액이 축적되는 것이다.
- 흉막 공간은 폐포부종을 예방하는 안전구역 역할을 한다.
- 흉막유출은 전신 순환으로부터 정상 체액과 단백질이 들어와서 벽측흉막 림프관(lymphatics)을 따라 제거된다.
흉막압력
- 흉막 압력은 음압으로 이루어져 폐의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 흉막 압력(pleural pressure)의 정도는?
- 기능성 잔기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인 경우: 5 cm H2O
-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인 경우: -30cm H2O
- 비록 흉막 공간압은 음압이지만 가스 축적은 되지 않는다.
병태생리
흉막삼출의 발생
- 흉수는 들어오는 속도와 나가는 속도의 균형이 맞지 않을 때 나타난다.
- 임상에서 대부분 흉수는 유입과 유출 속도 모두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다.
흉수의 유입이 증가하는 경우 | ± | 흉수의 유출이 감소하는 경우 |
|
| |
↘ |
| ↙ |
흉수 발생 |
누출액(여출액, Transudates) vs. 삼출액(Exudates)
누출액은 늑막 자체의 질환이라기보다는 전신질환의 영향으로 수압(hydrostatic pressures)의 증가나 삼투압(osmotic pressures)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흉수이고, 삼출액은 늑막 자체의 병변으로 인해 흉수가 생기는 것으로 대략 감을 잡으시면 됩니다.
누출액(Transudates)
- 수압(hydrostatic pressures)의 증가나 삼투압(osmotic pressures)의 감소에 따라 발생한다.
- 누출액은 손상 받지 않은 모세혈관총(capillary beds)에서 생성된다.
- 누출액의 발생은 배출 속도의 감소와 연관이 있다.
- 원인 및 발생기전
원인 | 발생기전 |
울혈심부전(가장 흔한 원인) | 정상적 모세혈관에서 폐간질을 지나 벽측흉막을 지나 흉막공간으로 누출발생 |
콩팥증후군/폐허탈과 연관된 흉수 | 흉막 모세관의 변화된 압력으로 발생 |
간경화나 복막투석으로 인한 유출 | 복막에서 압력이 낮은 횡경막의 구멍(macroscopic holes)을 통하여 발생 |
삼출액(Exudates)
- 증가된 투과력을 가진 모세혈관 벽을 지나는 액체와 단백질로 형성된다.
- 삼출액은 손상받은 모세혈관에서 생기며 폐 흉막, 주위 장기에서 생긴다.
- 원인 및 발생기전
원인 | 발생기전 |
폐렴/폐혈전증 | 폐염증에 의해 발생한 고농도의 폐부종이 가슴막내로 누출된다. |
식도파열, chylothorax | 식도파열 등에 의해 종격동에 삼출성 액체가 발생한다. |
복수 | 복부에 발생한 발생한 복수가 음압 상태인 흉막 내로 움직인다. |
림프관 폐쇄 | 림프관이 폐쇄되어 흉수의 유출이 감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