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환기의 지표: PaCO2
호흡의 조절
중추성 조절
화학 수용체(Chemoreceptor)
말초 화학 수용체(Peripheral chemoreceptors)
Central(medullary) chemoreceptors
환기의 지표: PaCO2
- PaCO2 : 37-43mmHg(at sea level)로 유지된다. 대략 35-40mmHg를 정상으로 본다.
- 환기 장애에서는 비정상적인 PaCO2 값을 보인다.
- 정상적인 경우 생성되는 CO2의 일정 양이 호흡으로 배출 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된다.
PaCO2=(k)(CO2)/A=(k)(CO2)/x(1-Vd/Vt)
(k=상수, CO2 = CO2 production, A= fresh gas alveolar ventilation, Vd/Vt= dead space fraction.호흡 시 실제로 환기가 일어나지 않는 부분)
- 즉, PaCO2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로는 대사의 항진/저하에 의한 CO2 생성의 변화, 분당 환기(minute ventilation), 사강이 차지하는 비율(dead space fraction)이 있다.
- 패혈증, 화상 등의 급성 질환의 경우에는 CO2의 변화가 일어나고, 환기 장애의 경우는 부적절환 분당 환기 또는 사강 분율이 증가되어 발생하는 장애들이다.
호흡의 조절
중추성 조절
- 호흡 중추
- 뇌간(Brainstem)에 존재
- 특히 중요한 신경세포[연수(medulla)에 위치]: DRG(Dorsal respiratory group), VRC(ventral respiratory column)
- neuron들은 여러 위치로 projection되어 횡격막, 상기도 근육, 보조 호흡근의 운동에 관여한다.
DRG | VRC |
|
|
- 그 외 상부 뇌센터(higher brain center)나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등에 의해 억제 혹은 증가될 수 있다.
- 정상적으로 수면 중에는 고탄산혈증(hypercapnia)이나 저산소혈증(hypoxemia)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어 밤중에 저환기가 발생한다.
화학 수용체(Chemoreceptor)
말초 화학 수용체(Peripheral chemoreceptors)
- Stimulants: PaO2에 가장 민감(hypoxemia), hypercapnia, H+ (metabolic acidosis)
- Located site: Carotid bodies, Aortic body
Central(medullary) chemoreceptors
- Stimulants: CSF내의 H+에 반응하며 PaCO2는 H+를 증가시켜 자극한다.
- 혈액과는 달리 CSF는 buffer 작용이 덜하기 때문에 PaCO2 변화에 따라 pH가 민감히 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