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장애: 과환기


목차

정의

  • CO2  생성에 비해 환기가 많이 이루어져 PaCO2 가 정상 범위(37~43 mmHg)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

※ 참고로 Hyperpnea는 PaCO2에 관계 없이 단순히 분당 호흡량이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원인

  • 다양하다.

Hypoxemia

High altitude, 폐질환, cardiac shunt

폐질환        

폐렴, 간질성폐질환, 폐색전증 및 기타 혈관질환, 천식, 기흉, Chest wall의 이상

심혈관계 질환 

Heart failure, 저혈압

대사성 질환

Acidosis(diabetic, renal,        lactic), Liver failure

신경학적/정신과적 질환 

Psychogenis or anxiety hyperventilation,        CNS 감염, 종양

약물 

Salicylate, Methylxantine, β-agonist, Progesterone

기타

열, 패혈증, 통증, 임신(정상적)

 



병태생리

만성 과환기 환자의 생리는 정 확하게 규명이 안 되었다.

 

해리슨 17판에서는 생리학적 기전으로 여러 증상을 설명했지만 이번 18판부터 내용이 빠졌습니다 대신 18, 19판에서는 과호흡을 유발하는 요인(initiating factor)와 지속시키는 요인(sustaining factors)으로 접근이 이루어 지고 있다는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어떤 event에 의해 폐포 환기가 증가되어 PaCO2가 20 mmHg까지 떨어지게 되면 chest pain, breathlessness, paresthesia, 의식변화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고, 원인을 밝히려는 시도들이 오히려 환자의 불안 및 공포감을 증가시켜 과호흡을 더 악화시킬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임상양상

  • 전형적인 증상이 없고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호흡 곤란, 감각이상, 테타니(tetany), 두통,  어지러움, 시각장애, 비전형 흉통 

 

 

 

진단

  • 대부분 병력청취, 신체검사, 동반질환 검사로 원인을 알 수 있다.
  • 급성 과환기와 관련된 호흡기 증상: 당뇨병 케톤산증과 같은 전신 질환의 초기소견일 수 있다. 
  • 만성 과환기의 진단
    • 급성 과환기의 원인들에 대한 배제 필요
    • ABGA: 보상성 호흡 알칼리증, pH 거의 정상,  낮은 PaCO2,  계산상의 중탄산염 농도↓
    • 경한 천식과 같은 호흡 알칼리증의 다른 원인들에 대 해 진단과 치료가 만성 과환기 를 생각하기 전에 필요
  • 일단 만성 과환기가 확립이 되면 지속적인 10 %의 폐포 환기 증가는 저탄산혈증을 계속 유 지하게 한다. 이러한 증가는 경한 호흡 양상의 변화인 가끔 한숨을 쉬거나 분당 2~3회의 하품으로도 가능하다.

 



치료

  • 시작 인자를 확인, 다른 진단을 배제, 환자의 우려나 공포에 대한 논의
  • 종종 안심시커거나 과환기에 대한 솔직한 대화로도 완화가 된다.
  • 저탄산혈증을 지속시키는 습관인 잦은 하품이 나 한숨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저탄산혈증을 지속시키는 습관인 잦은 하품이 나 한숨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호흡 운동, 횡경막의 재훈련
  • 약물요법(베타 차단제): 교감신경 매개 증상인 두근거림, 떨림을 가진 환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종이봉지(paper bag) 등을 이용하여 CO₂ 재호흡을 시행하는 것은 저산소증(hypoxia)의 위험성 때문에 1990년대 이래로 더 이상 추천되지 않습니다. 해리슨 18, 19판에서도 치료에 paper bag rebreathing은 언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290장
  • Gardner WN. The pathophysiology of hyperventilation disorders. Chest 1996;109(2):516–34.
  • Callaham M. Hypoxic hazards of traditional paper bag rebreathing in hyperventilating patients. Ann Emerg Med 1989;18(6):622–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