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슨 20/e에서는 2017년 1년 공식 개정발표된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의 내용을 반영하였습니다.
폐암 검진
- 국립암센터(NCC) 7대 암검진 권고안(2015년): 폐암발생 고위험군에서 저선량 가슴 CT로 폐암검진을 매년 시행하도록 권고
- 국가암검진 프로그램(NCSP): 2019년 7월부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2년마다 저선량 가슴 CT로 국가폐암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변경 시행
검진 대상 |
|
검진주기 |
|
검진방법 |
|
갑년이란? 평생 흡연력을 표시하는 단위로 하루에 피우는 담뱃갑 수와 흡연한 기간을 곱하여 계산 예) 1갑씩 30년간 흡연한 경우, 1갑 ⅹ 30년간 = 30갑년 2갑씩 15년간 흡연한 경우, 2갑 ⅹ 15년간 = 30갑년 “□갑씩 ⅹ □년간= □갑년” |
폐암의 임상 소견
- 대부분 진단 당시 몇 가지 증상 또는 신체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인다.[일부에서는 아무 증상 없이 신체검사 혹은 가슴 X선의 이상으로 발견(5∼15%)]
- 폐암 증상 발생 → 진행된 상태 의미. 대부분 절제 어려움
- 폐암의 임상 소견은 크게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발현(ⅹ4가지)
- 국소 증상: 원발성 종양 자체에 의한 주변 구조의 침범 및 폐쇄에 따른 증상
- 주위 조직 침범에 의한 증상: 종격동 등 흉곽 내 주위 조직 침범에 따른 증상
- 원격 전이에 의한 증상
- 전이에 의하지 않은 전신 및 내분비 증상(paraneoplastic syndrome)
원발 종양 자체에 의한 증상
중심형 폐암 | 말초형 폐암 |
|
|
종격동 등 흉곽 내 주위조직으로의 전이에 의한 증상
기관 폐쇄 | → | 호흡곤란 |
식도압박 | → | 연하곤란 |
반회후두신경 (recurrent laryngeal nerve)의 마비 | → | 쉰 목소리 |
횡격신경마비 | → | 횡격막상승 |
교감신경마비 | → | 호너증후군(Hornor syndrome)①
|
상고랑종양(superior sulcus tumor) | → | 판코스트 증후군(Pancoast syndrome)② |
혈관 폐쇄 | → |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
심낭과 심장 침범 | → | 압전(tamponade), 부정맥 또는 심부전 |
림프관 폐쇄 | → | 흉막 유출 |
림프관성 전이 | → | 저산소혈증 및 호흡곤란 |
① 안구함몰, 안검하수, 축동, 동측발한소실)
② 폐첨부의 종양이 제 8 경추신경, 제 1, 2 흉추신경을 침범하여 팔의 척골부위로 방사하는 어깨의 통증을 유발하며 흔히 방사선학적으로 제 1, 2 늑골의 파괴를 동반함
원격전이에 의한 증상
- 폐암은 거의 모든 장기로 전이가 가능하며, 전이된 장기에 따라 증상이 나타난다.
뇌전이 | 신경증상 |
골전이 | 통증과 골절 |
골수침범 | 혈구감소증, 백적아구증(leukoerythroblastosis) |
간전이 | 간기능검사이상, 담도폐쇄, 통증 |
경막 또는 골전이 | 척수압박 |
부신으로의 전이 | 부신기능부전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종양에서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부종양성 증후군
- 최초의 증상인 경우도 있고 종양을 성공적으로 치료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
- 가끔 전이성 질환과 유사한 소견을 보임
- 종양에 의하여 호르몬이 분비되는 경우에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알 수 있으나 기전이 알려지지 않은 증상들도 많다. 특히 식욕부진, 악액질(cachexia), 체중감소, 발열 같은 전신증상은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내분비증후군(폐암의 12%) |
|
골격-결합조직증후군(skeletal-connective tissue syndrome)① |
|
신경-근병증 증후군(neurologicmyopathic syndrome) |
|
혈액학적 이상 |
|
기타 |
|
① 대부분 선암에서 발현
신체검사
- 상대 정맥증후군 소견:안면, 목, 상지의 부종과 혈관확장, 앞가슴부위의 측부혈관(collateral vessel)
- 곤봉지(손가락, 발가락)
- 쇄골상림프절 촉진
- 가슴 진찰:1) 천명음:기도협착; 2) 호흡음 감소:기도폐쇄; 3) 탁음 증가:흉막삼출
진단 검사
- 가슴 X선, 가슴 CT, 가래세포검사(객담세포진), 기관지내시경검사, 경피적 미세침흡인세포검사(세침생검술) 등
영상 검사
가슴 X선
- 폐병변 크기가 적어도 5 mm 이상은 되어야 가슴X선에서 관찰됨
![]() | ![]() |
Rt. Lower lobe solitary pulmonary nodule → adenocarcinoma confirmed | Right upper lobe atelectasis → small cell lung carcinoma confirmed |
가슴 CT
- 병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폐암 병기 평가)
- 폐병변(부위/크기), 주변조직 침범 확인, 림프절 침범 상태 등
가래세포검사
기관지내시경검사
조직학적 진단(tissue diagnosis)
비교적 비침습적인 검사(예: 내시경 검사)가 좀 더 침습적인 검사(예, VATS, mediastinoscopy)보다 tissue diagnosis로 선호됩니다.
- 경피적 미세침흡인세포검사(percutaneous needle biopsy)
- CT guided, fluoroscopy guided, USG-guided
- 주로 peripheral lesion의 biopsy에 사용
- endobronchial ultrasound (EBUS)-directed biopsy
- central primary tumors의 조직학적 진단
- 종격동 LN(mediastinal L/N 평가 및 biopsy)
- mediastinoscopic biopsy
- VATS
- open lung resection
병기 판정을 위한 추가 검사
- 전신 뼈 스캔
-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 종격동 내시경검사(mediastinoscopy)
- 초음파 기관지내시경검사(endobronchial US)
병기설정
- 조직학적으로 폐암이 진단되면 치료와 예후 확인을 위해 병기를 설정한다.
- 폐암의 병기는 2가지 부분으로 구성
해부학적 병기 | 생리학적 병기 |
|
|
키포인트: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환자와 수술이 불가능하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으로 혜택을 받을 환자를 구분
해부학적 병기(anatomical staging)
- 해부학적 병기 설정을 위한 검사
- CT, PET, CT-PET: 모든 NSCLC에서 시행할 것
- 뇌전이에 대한 평가: MRI가 가장 효과적
비소세포암(NSCLC)
T(Primary Tumor)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7th Edition)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 |
T0 | 원발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 - |
TIS | 상피내암종(carcinoma in situ) | - |
TX | 원발종양에 대해 평가할 수 없거나, 객담 또는 기관지내시경 세척검사에서 악성종양 세포를 증명하였지만 영상검사나 기관지내시경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 | - |
T1 | size≤3cm + Surrounded by visceral pleura and not in main bronchus | |
T1a | size≤2cm | size≤1cm |
T1b | 2cm | 1 cm |
T1C | N/A | 2 cm |
T2 |
|
|
T2a | 3cm | 3cm |
T2b | 5cm | 4cm |
T3 |
|
|
T4 |
|
|
N 병기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7th Edition)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 |
NX | 국소림프절을 평가할 수 없는 경우 | 동일 |
N0 | 국소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no regional node metastasis) | 동일 |
N1 | 원발종양의 직접침범에 의해 같은 쪽 기관지주위, 폐문부, 또는 폐내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metastasis in ipsilateral pulmonary or hilar nodes) | 동일 |
N2 | 원발종양과 같은쪽 종격동 또는 기관분기부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metastasis in ipsilateral mediastinal/subcarinal nodes) | 동일 |
N3 | 원발종양과 반대쪽 종격동, 폐문부 림프절 전이, 같은쪽 또는 반대쪽의 목갈비근 림프절이나 쇄골상 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metastasis in contralateral mediastinal/hilar, or supraclavicular nodes) | 동일 |
M 병기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7th Edition)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 |
M0 | 원위부 전이가 없는 경우 | 동일 |
M1 | 원위부 전이가 있는 경우 | 동일 |
M1a | 원발종양과 반대편 폐엽(contralateral lobe)의 종양결절(들)이 있거나 종양과 관련이 있는 늑막 결절들이 있거나 악성흉수 또는 악성심낭액이 있는 경우① | 동일 |
M1b |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 Single metastasis in a single organ |
M1c | N/A | multiple metastases in a single organ or in several organs |
① 폐암과 동반된 대부분의 흉막삼출은 종양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여러 차례 검사에서 혈성이 아니고, 삼출액이 아니며 세포병리학적으로 음성이 나온 경우는 종양과 관련이 없는 것이며 이 경우 병기판정에서 M0으로 분류한다.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7th Edition)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 | ||||||
병기 | Tumor(T) | Nodes(N) | Metastasis(M) | 병기 | Tumor(T) | Nodes(N) | Metastasis(M) |
IA | T1a-T1b | N0 | M0 | IA1 | T1a | N0 | M0 |
- | - | - | IA2 | T1b | N0 | M0 | |
- | - | - | IA3 | T1c | N0 | M0 | |
IB | T2a | N0 | M0 | IB | T2a | N0 | M0 |
IIA | T1a, T1b, T2a | N1 | M0 | IIA | T2b | N0 | M0 |
T2b | N0 | M0 | - | - | - | ||
IIB | T2a | N1 | M0 | IIB | T1a-T2b | N1 | M0 |
T3 | N0 | M0 | T3 | N0 | M0 | ||
IIIA | T1a, T1b, T2a, T2b | N2 | M0 | IIIA
| T1-2b | N2 | M0 |
T3 | N1, N2 | M0 | T3 | N1 | M0 | ||
T4 | N0, N1 | M0 | T4 | N0, N1 | M0 | ||
IIIB | T4 | N2 | M0 | IIIB | T1-2b | N3 | M0 |
Any T | N3 | M0 | T3, T4 | N0, N1 | M0 | ||
- | - | - | IIIC | T3, T4 | N3 | M0 | |
IV | Any T | Any N | M1a or M1b | IVA | Any T | Any N | M1a, M1b |
- | - | - | IVB | Any T | Any N | M1c |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7th Edition)
TNM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8th Edition)
소세포암(SCLC)
병기분류 | 분류기준 | TNM |
제한병기① | 질환의 범위가 방사선치료 조사야 내에 포함되는 경우 |
|
확장병기 | 질환의 범위가 방사선치료조사야를 벗어나는 경우 |
|
① 영상 유도 채취가 불가능할 정도로 흉수의 양이 너무 적거나 흉수의 세포병리학적 검사를 3회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악성세포가 확인되지 않고, 흉수가 혈성도 아니면서 삼출액도 아니고, 임상적으로도 암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한병기로 간주한다.
생리학적 병기(physiologic staging)
평가 항목 |
| 금기인 경우 |
Performance status(ECOG) | - |
|
심혈관 위험도 평가 |
|
|
폐기능검사 |
|
|
ABGA | - |
|
심폐운동검사 |
|
|
① 가슴 방사선 검사상 간질성폐질환의 증거가 있을 경우에는 FEV 1이 적절하더라도 노력성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 DLCO 측정이 필요하다. FEV1 또는 DLCO가 80% 미만인 경우 추가적 생리학적 검사를 하여야 한다.
② 수술 전에 측정한 FEV1, DLCO가 비정상적인 환자에서는 절제 후 폐기능(predicted postoperative-ppo-lung function; %ppo)을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나이는 폐암 수술이 불가능한 이유는 아닙니다.
해부학적 병기에 따른 금기 | 생리학적 병기에 따른 금기 |
|
|
- Paraneoplastic syndrome이 수술의 비적응증은 아니다.
- 영상 소견이 치료법을 다르게 하는 경우에는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환자에게 기회를 박탈하지 않도록 반드시 조직 확인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 해리슨 19/e(2015). 107장. p510-515
- 해리슨 20/e(2018). 74장
- 대한폐암학회. 폐암 진료지침. 2010
- Detterbeck FC, Boffa DJ, Kim AW, Tanoue LT. The Eighth Edition Lung Cancer Stage Classification. Chest 2017;151(1):19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