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경)정맥압(Jugular Venous Pressure)
- 목정맥압력은 병상에서 환자의 용적상태(volume status)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목정맥압을 통해 우측심장이나 폐순환의 문제를 유추할 수 있다.
측정방법
- 우선 침상을 조정하여 환자의 상체를 30° 들어올린 다음, 목정맥박동이 느껴지는 부위의 가장 상부에서부터 복장뼈각(sternal inflection point)까지의 거리를 잰다.
- 흉골각(sternal angle)에서부터 오른쪽 속목정맥 박동의 최고지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①
- 측정값은 중심정맥압(CVP, 정상 3~5 cmH2O)이 되고 여기에 5를 더하면 우심방압이 된다②.
① Sternal angle을 suprasternal notch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② 복장뼈패임[혹은 흉골각(sternal angle)]에서 약 5cm 아랫부분에 우심방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복장뼈패임에서 속목정맥을 추적할 수 있는 부위까지의 높이에서 5(cmH2O)를 더하면 현재의 중심정맥압을 추정할 수 있다.

오른쪽 속목정맥을 측정하는 이유
|
경정맥압 측정
- 이 거리가 >4.5 cm이면 비정상소견이다.
즉, 목정맥박동이 느껴지는 부위가 목 위로 올라갈수록 환자의 용적과부하(volume overload)를 시사한다.
경정맥압 이상소견
| Abdominojugular (hepatojugular) reflex① | Kussmaul’s sign |
개요 |
|
|
정상인에서의 반응 |
|
|
원인질환/발생원리 |
|
Cardiac tamponade(심장눌림증)에서는 보통 나타나지 않는다. |
① 심부전환자에서 양성이면 폐동맥쐐기압(PCWP)이 15 mmHg를 초과한다고 예측할 수 있다. 목정맥압력이 상승했다는 것은 증상이 있는 심부전 환자(symptomatic heart failure)나 증상이 없는 좌심실기능이상 환자(asymptomatic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에서 안 좋은 예후를 시사한다.
정상에서는 흡기 시 흉강내압(intrathoracic pressure)이 하강하며, 심장으로 향하는 정맥환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목정맥의 확장은 감소하게 되고 반대의 기전으로 호기 시에는 목정맥이 확장됩니다.
Kussmaul sign은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흡기 시 목정맥이 확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RA의 확장기능상실이 원인입니다. 우심방의 확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흡기 시 증가하는 정맥환류를 우심방이 충분히 받아낼 수 없기 때문에 정맥환류가 저해되는 상황으로 이에 목정맥이 확장되는 것입니다.
Constrictive pericarditis가 대표적인 경우죠. RA가 딱딱한 심막에 둘러 쌓여 있기 때문에 RA가 적절하게 늘어날 수 없는 것입니다. restrictive cardiomyopathy도 비슷한 기전으로, backward pressure에 의해 RV 압력이 증가하는 right ventricular infarction도 Kussmaul’s sign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cardiac tamponade(심장눌림증)에서는 어떨까요? 심막이 딱딱한게 아니라 pericardial space에 물이 차 있는 cardiac tamponade에서는 심막이 딱딱해진 Constrictive pericarditis에 비교할 때 RA가 충분히 늘어날 수 있어 흡기 시 증가하는 정맥 환류를 대부분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Kussmaul’s sign은 보통 나타나지 않습니다.
경정맥파 (Jugular Venous Pressure Pulse)
정맥파(venous waveform)는 국시문제의 지문에 자주 등장하니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합니다. 특히 질환과 연계하여 기억해두세요.
- 경정맥파는 경정맥압의 연속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 경정맥압은 우심방압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우심방/우심실의 운동에 따른 변화가 파형에 반영된다.
- 정상적인 경정맥파 곡선은 3개의 양성파와 2개의 음성파로 구성되어 있다.
경정맥파
|
우심방이 이완을 하는데 왜 압력이 낮아졌다 올라갈까요?
정맥파의 a, c, x, v는 제1심음과 제2심음, 즉 심장이 ‘두근’하는 짧은 시간 안에 모두 이뤄진다는 사실을 기억합시다. 우심실은 수축하고 있으므로 그 동안의 심방압력 변화를 슬로우비디오처럼 생각하면서 파형의 변화를 이해하면 한결 수월합니다.
| 발생원리 | 증가하는 경우 | 감소하는 경우 |
a 파 |
|
|
|
c 파 |
| - | - |
x 하강 |
|
|
|
v 파 |
|
| - |
y 하강 |
|
|
|
삼첨판 역류 | Constrictive pericarditis | 삼첨판 폐쇄(tricuspid stenosis) |
![]() | ||
Atrial septal defect | 심방세동 | Complete AV block |
| ![]() | |
1도 방실 차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