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파: 증가
- 우심방의 수축을 방해하는 요소를 크게 저항 증가와 리듬 이상으로 나눠볼 수 있다.
저항 증가 | 리듬 이상 |
|
|
x 파
x하강 증가①
- X하강 증가는 우심방의 이완이 뚜렷할 때 나타나고 과도한 우심실 수축이 선행한다.
- 우심실의 수축력은 정상이지만 이완에 문제가 있어 보상적으로 빠른 수축을 하는 constrictive pericarditis, restrictive cardiomyopathy, 초기 cardiac tamponade②에서 관찰된다.
①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x하강 증가는 우심실의 이완 능력이 상실된 것을 우심방이 보상하려다 뚜렷해 진다고 생각하고 외우면 쉽다.
② Cardiac tamponade는 증상이 심해지면 심실 외에도 심방 이완에 문제가 생겨 x하강 증가가 소실된다.
x하강 감소
- X하강 감소는 다음과 같이 나눈다.
a파가 감소한 경우 | → |
|
v파가 과도하게 증가한 경우 | → |
|
① 정상적인 심장에선 심실수축기에 TV가 닫혀있지만 TR이 있으면 혈액이 역류해 이완중인 심방의 압력(v파)을 높인다. TR의 증상이 심해져서 v파(이완 압력)가 a파(수축 압력) 보다 높아지면 v파 직전의 x하강을 잡아먹는 양상을 보인다. 즉 x하강 감소는 아주 심한 v파 증가의 결과로 이해하면 된다. (TR의 정도에 따른 경정맥압파 변화: x하강을 잡아먹은 진격의 v파)
v파 증가
- v파는 심방이 이완을 하다 혈액이 채워지면서 나타난다. 따라서 v파의 높이는 심방으로 들어오는 혈액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 정상적으로 v파는 a파 보다 높지 않은데 이는 v파는 수동적으로 혈액이 채워져서 올라가지만 a파는 능동적으로 혈액을 짜면서 올라가기 때문이다.
v파 증가
| V파가 증가하는 경우 | v파가 뚜렷하게 특징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
원인 |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정맥체류가 많은 상황(경정맥압이 높은 경우:거의 모든 우심장 질환)에서 발생 → 대부분 a파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아지는 수준으로 증가 | 중증 TR에서만 발생 |
기전 | 수동적으로 채워지는 혈액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 | TR의 경우 심방에 수동적으로 채워지는 혈액에 더해 심실이 능동적으로 역류시키는 혈액이 많기 때문 |
y하강
y하강 증가
- y하강은 우심실의 이완 정도를 반영하고 우심실이 이완해 TV가 열렸을 때 심방 혈액이 심실로 빠르게 이동할수록 뚜렷해진다. 따라서 v파가 높은 경우에 압력 차이가 크기 때문에 y파가 뚜렷해진다.
y하강이 증가하는 경우 | 특징 |
TR |
|
중증 RVF |
|
constrictive pericarditis①, restrictive cardiomyopathy |
|
① 우심실이 이완할 수 있는 부피가 제한되어 있어 적게 채워진 혈액을 빨리 보내고 빨리 채우기 위해서 큰 압력 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큰 압력차 때문에 y하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pericardial knock
|
y하강 감소
- TV에 문제가 생겨 심방 혈액이 심실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 원인: TS, 우심방 종양, cardiac tamponade
- cardiac tamponade: constrictive pericarditis처럼 심실이 이완하는 부피를 제한해 적은 혈액을 빨리 보내기 위해 y하강 증가가 나타날 것 같지만 이완을 제한하는 기전이 달라 y하강의 증감 차이가 있다.
- constrictive pericarditis: 이완 초기에 확장력은 정상이어서 급하게 확장하다 육아조직에 걸려 y하강 증가 후 pericardial knock이 나타난다.
- cardiac tamponade: 심낭압이 이완 초기부터 심실을 방해하기 때문에 y하강이 뚜렷하지 않고 감소한다.
소견 | Constrictive Pericarditis | Cardiac Tamponade | Restrictive Cardiomyopathy |
동맥 | |||
기이맥(pulsus paradoxus) | 드묾 | 있음 | 드묾 |
정맥 | |||
Y하강 증가 | 있음 | 없음 | 대체로 있음 |
X하강 증가 | 대체로 있음 | 있음 | 있음 |
Kussmaul’s sign | 있음 | 없음 | 드묾 |
Pericardial knock | 있음 | 없음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