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원인 및 감별진단
심혈관
호흡기
근골격계
소화기
신경/정신
기타
근골격계 흉벽통증(Musculoskeletal Chest Wall Pain)
소화기 원인(Gastroenterologic Causes)
정신적 원인(Psychogenic Chest Pain)
진단적 접근
CAD 평가 전략: 검사 전 확률(pretest probabilites, pretest-likelihood of CAD) 전략
CAD 평가 전략: Clinical Decision Rule
개요
-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
|
|
원인 및 감별진단
- 근골격질환(m/c)
- 그 외 위장관질환, 심혈관질환, 폐 질환 등이 대부분의 원인을 차지한다.
심혈관
- 심장: 관상동맥질환(안정형협심증, acute coronary syndrome), 대동맥협착증, 급성심낭염, 승모판탈출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혈관: 대동맥류, 폐동맥색전증, 폐동맥 고혈압
호흡기
- 폐렴, 기흉, 늑막염, 기관지염
근골격계
- 근육손상, 늑골 골절, 어깨/흉부 관절질환, 경추추간판탈출증, subacromial bursitis
소화기
-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GERD): erosive (ERD) or non-erosive (NERD)
- 식도경련, Barrett’s esophagus,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diffuse esophageal spasm, hypercontractile esophagus, achalasia), Hypersensitive esophagus, Schatzki’s ring, webs, Eosinophile esophagitis, Mallory-Weiss syndrome, Boerhaave syndrome, Drug-induced esophageal ulcer, Infection (viral, thrush, esophagitis)
- 소화성 궤양, 과민대장증후군
- Pancreatitis, biliary colic, cholangitis
신경/정신
- 심장신경증, 불안장애(공황장애), 우울증
기타
- 대상포진, 유방질환
근골격계 흉벽통증(Musculoskeletal Chest Wall Pain)
근골격계 흉벽통증이란?
|
근골격계 원인에 의한 흉통(musculoskeletal chest pain)의 종류
|
소화기 원인(Gastroenterologic Causes)
- 비심인성 흉통(NCCP)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위장관계 원인으로는 GERD가 가장 흔하고 중요
- 경고 증상/징후가 있을 경우 위내시경 시행을 고려한다.
위장관에서 기원한 비심인성 흉통(NCCP)환자에서 내시경을 필요로 하는 경고증상
|
정신적 원인(Psychogenic Chest Pain)
- 정신적 원인에 의한 흉통은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위치가 분명하고 주로 심첨부 내지 좌측 유방 하부에서 느껴진다.
- 수 초(1~2초) 내지 1분 미만이거나 수 시간 내지 수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주로 감정적인 원인에 의해 유발되며, 호흡곤란, 심계항진, 무력감, 어지러움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 2가지 원인이 중요: 공황장애, 우울증
진단적 접근
1단계 |
|
↓ |
|
2단계 |
|
- CAD를 포함,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원인(Life threatening causes)을 우선 배제한다.
- 전형적인 협심증 양상의 통증인 경우뿐만 아니라 비심인성 흉통이라 할지라도 우선 CAD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CAD 평가 전략: 검사 전 확률(pretest probabilites, pretest-likelihood of CAD) 전략
- CAD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데 있어 검사 전 확률에 따른 접근 전략이 권장된다.
- 성별, 나이, 통증양상이 검사 전 확률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인자이다. 이런 인자를 종합해서 검사 시행 전단계에서 CAD 가능성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달리 시행한다.
- 통증에 대한 양상은 3가지 양상의 개수에 따라 전형적 협심증 흉통(typical anginal pain), 비전형적 협심증 흉통(atypical anginal pain), 비협심증 흉통(non-anginal pain)으로 나눌 수 있다.
CAD의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중요한 양상
|
- 3가지 주요 임상 양상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 | All(+) 전형적 협심증 흉통(typical anginal pain) |
→ | 2(+) 비전형적 협심증 흉통(atypical anginal pain) | |
→ | ≤1 비협심증 흉통(non-anginal pain) |
CAD 평가 전략: Clinical Decision Rule
- CAD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Rouan decision rule, The Marburg Heart Score criteria 등의 Clinical Decision Rule을 활용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