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및 감별진단
- 부종(edema)이란?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간질에 수분이 축적된 상태
- 부종의 원인
전신 부종 | 국소 부종 |
몸 전체가 다 붓는 경우 → 주로 전신질환이 원인 | 특정 부위만 붓는 경우→ 주로 혈관계 이상이 원인 |
|
|
부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전신부종
| 발생기전 | 임상양상 |
간경변증에 의한 부종 |
|
|
심장질환에 의한 부종 |
| 심장 질환 중 부종을 유발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
|
신장질환에 의한 부종 | Increased plasma volume; decreased plasma oncotic pressure from protein loss
|
|
약물에 의한 부종 |
|
|
부종을 유발하는 약물 및 관련기전
병태생리 | 관련 약물 |
나트륨 과잉: 세동맥 확장 -> RAA & sympathetic system 활성화 → 나트륨 저류 | 혈관확장제: minoxidil, hydralazine |
나트륨 과잉: 약물자체가 나트륨 retention 촉진 | Estrogen |
나트륨 재흡수 촉진 | 경구혈당강하제: pioglitazone, rosiglitazone; aldosterone |
신장 내 혈관수축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사이클로스포린 |
혈관이완 | 스테로이드 |
혈관투과도 증가 | Calcium channel blockers IL-2 치료: GM-CSF, G-CSF |
부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국소부종
| 정의 | 발생기전 | 임상양상 |
정맥 부전증 |
|
|
|
갑상샘기능저하증 |
|
|
|
림프 부종① |
|
|
|
지방부종(lipedema) |
|
|
|
월경 전 부종 |
|
|
|
① 선진국과 달리 후진국은 90% 이상 사상충증으로 인해 발생. 사상충은 림프관이나 혈관 속에 기생하여 림프관의 국소 종창, 다리의 부종, 상피병, 혈뇨 등의 증상발생
진단적 접근
기본검사 |
| ||||||||||||
▼ (의심되는 질환에 따른 추가 검사) | |||||||||||||
심장 질환 의심 |
| ||||||||||||
간 질환/신장 질환 의심 |
| ||||||||||||
갑상선 질환 의심 |
| ||||||||||||
국소 부종 의심 |
|
치료
- 부종의 치료: 원인 치료 ± 증상 치료
- 원인 치료는 부종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것
- 원인 치료가 실패한 경우에 대증 치료 시행
참고자료
- Trayes KP, Studdiford JS, Pickle S, Tully AS. Edema: diagnosis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2013;88(2):102–10.
- Jeong DW, LEE SY. Edema. Korean J Fam Med. 2010;31:829-836
- Yang GH, Shim JY.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ymphedema. J Korean Med Assoc 2013; 56(12): 1115-1122
- Simon EB. Leg edema assessment and management. Medsurg Nurs 2014;23(1):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