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 심전도는 심장의 수축 및 확장 활동(기계적 활동)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그 활동을 일으키는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이다.
- 심장의 전기 발생과 흐름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
명칭
- EKG(electrokardioGraphy)①
① 심전도를 발명한 사람이 아이트호벤, 독일사람 독일어로 표기된 EKG로 호칭됨
- ECG(electrocardioGraphy②
②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심장의학이 발달했기 때문에 미국식 표기인 ECG를 많이 사용함
심전도의 구성
- 상단: 12개의 표준유도
- 하단: rhythm strip(lead II) → 부정맥 발생여부를 더 잘 파악하기 위함. 여러가지 파형, 특히 P파의 파형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
EKG leads(표준 12유도 심전도)
- 3 표준 사지 유도
- 3 augmented limb leads
- 6 흉부 유도(precordial leads)
왜 12유도여야 했을까? 심장은 입체적이므로 한 단면으로는 심장의 전기적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움. → 심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두 단면에서의 관찰이 필요 → 심장의 전기적 흥분을 기록하는 심전도 역시 적어도 두 단면에서 기록해야 할 필요성 coronal(frontal) plane – limb leads horizontal(transverse) plane – chest leads |
사지 유도
- 여섯 개의 사지 유도는 촘촘하게 다른 각도에서 정면에서 심장 전기 흐름의 방향과 힘을 관찰한다.
3 표준 사지 유도: Bipolar limb leads(아인트호벤의 삼각형)
I: 오른팔(RA)(-) → 왼팔(LA)(+)
II: 오른팔(RA)(-) → 왼발(LL)(+)
III: 왼팔(LA)(-) → 왼발(LL)(+)
- 심장의 전기 흐름은 심방. 심실을 막론하고 우상에서 좌하를 향한다.
3 augmented limb leads: 사지 단극 유도(unipolar limb leads)
- 붙이는 전극을 +로 하자
- aVR유도 : 오른손
- aVL유도 : 왼손
- aVF유도 : 왼발
Lead I과 aVR에서 P와 QRS를 그려보자!
| Lead I | aVR |
P | 오른팔(-), 왼팔(+) 심방의 전기흐름(P파)는 Lead I에서 왼팔쪽, (+) 방향쪽으로 진행한다. | 오른팔(+), 심방의 전기흐름(P파)는 심방에서 (+) 방향에서 멀어지고 있다. |
QRS
| 심실의 전기흠도도 우상 → 좌하 방향. 심방처럼 lead I에서 왼팔쪽, (+) 방향쪽으로 진행한다. | 심실도 마찬가지 |
흉부유도
V1(빨강) : 제4갈비 사이 복장뼈오른모서리 V2(노랑) : 제4갈비 사이 복장뼈왼모서리 V3(초록) : V2와 V4의 사이 ※ 유도(leads)에는 만국 공통의 색이 붙어 있다. | V4(갈색) : 제5갈비 사이 빗장뼈 중앙선 위 V5(검정) : 제5갈비 사이 앞겨드랑선 위 V6(보라) : 제5갈비 사이 중간겨드랑선 위 |
심전도의 측정과 기록
기록지 눈금과 속도
- 기록지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앞 방향으로 송출된다.
- 기록지가 송출되는 속도: 보통 1초간에 2.5cm(25mm)(2.5cm=1초)
- 가로축: 작은 모눈금: 0.04초, 큰 모눈금: 0.2초
- 세로축: 세로 축의 10mm = 1mV → 큰 박스 = 0.5mV
- 심박수는=300/n
- n=RR 사이의 큰 모눈금 수
ECG 종이
- ECG 출력화면에서의 유도(lead)의 배열
- No mans land, inferior, lateral, anterior, sep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