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전도의 기본 파형 분석
각각의 파형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P파
- 심방의 흥분 정도를 의미
- 동결절에서 전기적 자극(흥분)이 일어나고 그것이 심방 내로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QRS
- 동결절의 전기적 자극이 심방 내를 통과한 후, 방실결절을 통하여 심실 상부에 있는 His속을 거쳐서 심실 전제로 퍼져나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심실중격과 좌우심실근의 흥분과정을 나타낸다.
- Q파: 심실중격(ventricular septum)의 흥분과정(탈분극)을 의미
- R파: 심실근의 흥분과정을 의미
- S파: 전극의 위치와 반대측(즉, 전극이 좌심실 쪽에 있으면 우심실)의 심실근의 흥분과정을 의미
T파
- 심실 내의 전기적 회복과정을 의미
심전도의 간격과 분절(interval & segment)
심전도의 구성요소 | 의미 | 실제 심전도 |
PR(PQ)간격(PR or PQ interval)① |
| |
PR분절(PR segment) |
| |
QT간격(QT interval) |
| |
ST분절(ST segment) |
| |
RR간격(RR interval) |
|
|
① PR interval
Atrial depolarization + Delay in AV junction(AV node/Bundle of His) |
정상 심전도
Rule 1 | Rule 2 |
PR 간격: 0.12-0.20ms, 작은 박스 3-5개 | QRS 간격: <110ms(<작은박스 3개) |
Rule 3 | Rule 4 |
QRS complex는 I, II유도에서 upright 우세할 것 | QRS와 T파는 사지유도에서는 일반적으로 같은 방향을 향한다. |
Rule 5 | Rule 6 |
aVR유도에서는 모든 파가 negative | R파는 V1에서 최소 V4까지는 점차 파형이 증가 S파는 V1에서 최소 V3까지는 점차 파형이 증가하다가 V6에서는 사라진다. |
Rule 7 | Rule 8 |
ST분절은 isoelectric하게 출발 V1, V2는 예외 | P파는 I, II, V2-V6에서는 상향 |
Rule 9 | Rule 10 |
Q파는 없거나 I, II, V2-V6에서는 0.04s 미만의 작은 q파만 존재가능 | T파는 I, II, V2-V6에서는 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