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은 치료를 요하는 부정맥 중 가장 흔하고 위험할 수 있는 부정맥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심방세동과 심방조동은 기전, 병태생리, 치료가 유사하므로 비교하며 공부하도록 한다. 빈맥의 EKG reading에서 다루었던 내용에서 심방세동(AF)/심방조동(AFL)과 관련해서 다시 한번봅시다.
심방세동(AF): Irregular narrow QRS f wave
심방세동(AF)에 대해서 중요한 개념을 반드시 이해하자.
심전도를 보고 심방세동을 판단하는 경로는 다음 세 가지 경우가 있다.
|
심방세동이란?
- 심방세동은 P파가 없는 불규칙하게 불규칙한(irregularly irregular)율동이다.
- 심방세동은 RR간격이 불규칙적으로 불규칙(irregularly irregular)하면서 실질적인 P파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 진단한다.
F파와 f파를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F파는 심방조동에서 볼 수 있는 조동파이다.
심방세동의 심전도 소견
- 심방의 흥분이 높은 빈도를 보이기 때문에 방실결절이 불응기로 들어가 모든 흥분을 심실로 전달하는 것은 아니다. 불응기의 틈을 빠져 나가 심실을 수축시키는 흥분은 비정기적이 되므로, 맥은 일정하지 않게 된다.
P파, 심방속도 |
|
↓심실반응: 다양한 정도의 AV 전도① | |
심실속도 |
|
①만약에 심실반응이 1:1 전도라면, 그 결과는 참담할 것이다. 운이 좋게도 방실결절은 심방의 작은 파동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쏟아지는 자극들에 대해 1:1전도로 반응할 수 없다.
각각의 작은 탈분극 파동들은 방실결절을 장악하기 위해 치열히 경쟁해야 한다.
한 시점에서 동시에 방실결절을 때리는 탈분극 파동의 개수는 아무 숫자나 가능하다. 이 작은 피동들이 방실결절에 도착하면 조직의 작은 부분만 탈분극시키고 각자의 작은 불응기 영역을 만들 것이다. 결국 하나의 작은 파동만 장애물을 헤치고 나가 방실결절의 중심 부위에 도달하게 된다. 단지 이 이후에만 비로서 방실결절이 탈분극하여 심실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변화무쌍하며 최종적으로 방실결절의 중심부에 도달하는 파동은 전적으로 무작위적이다. 이런 무작위성으로 인해 심실 반응 또한 완전히 무질서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심실반응(ventricular response)
- 심방의 수많은 전기신호가 모두 심실로 넘어가면 심실 또한 제대로 수축하지 못한다.
- 방실결절이 어느 정도의 빈도로 심실로 자극을 전달하는지(이것을 심실반응< ventricular response) 이라고 한다)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데 Ventricular response는 AV node 불응기 및 전도율에 따라 달라진다.
Rapid ventricular response
- 심실마저 빠르게 수축하면 효율적인 심실수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임상적으로 위험하다. Rate-control을 통해 반드시 교정하도록 한다.

Slow ventricular response
- 이 경우에는 rate-control drug를 쓰면 안 된다.
Complete AV block
- 심방의 빠르고 불규칙한 신호와 상관 없이 심실에서는 Junctional or Ventricular escape rhythm를 형성하며 JER or VER의 경우 30-60회/분의 regular slow rate를 보인다.(escape rhythm 부분참고)
이해가 안가는 경우 QRS가 빈맥을 보이지 않더라도 심방세동(AF)일 수 있다는 것만 알아두고 slow response, complete AV block이 있는 경우의 AF 심전도도 AF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감별진단
atrial flutter(AFL) DDx. : RR간격이 불규칙한가?(AF) 규칙적인가?(AFL)
- 규칙적인 톱날모양이 보이는가?(AFL)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심방세동(AF)으로 본다.
PSVT DDx.
- 2:1 or 4:1 전도를 보이는 경우 AFL이라 판단할 수 있지만 1:1전도(P파 한번에 QRS한번씩)를 보이는 경우 PSVT와 AFL은 감별이 어렵다. HR가 AFL이 좀더 빠른 경향을 가지며(250회/분 이상), P모양을 가지고 감별을 하고 Vagal stimulation 혹은 AV nodal blocking drug를 써보면 PSVT는 빠르게 해결이 되는 반면 AFL은 atrial tachycardia가 해결되지 않는다.
단순하게 보자면 1:1로 전도되는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는 PSVT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비록 RR간격이 불규칙적으로 불규칙하나 구분이 가능한 서로 다른 모양의 P파가 세 개 이상 관찰된다면 이는 다소성심방빈맥(multifocal atrial tachycardia)이라고 일컫는다. 이 때 이러한 소견이 관찰되면서 박동수가 100회 이하라면 유주심방조율(wandering atrial pacemaker)이라고 명명해야 한다.
주의사항
|
참고: 심방세동이 왜 위험할 수 있을까?
|
참고: 심방이 정지상태인데 어떻게 혈압이 유지되나요?
|
참고자료
- Joung B. Mechanism of Atrial Fibrillation.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1(4):4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