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염(Myocarditis)


목차

개요

심근염(myocarditis)이란?

  • 감염성 및 비감염성 원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심근의 염증성 질환

 

원인

감염성 원인

비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가장 중요한 원인): Adenovirus, enterovirus, parvovirus B19
  • 전신 질환
  • 약물 과민반응(Drug hypersensitivity)
  • 독소

 



진단

증상

  • 심근염에 특징적인 임상 증상은 없음
  •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 무증상~ 급속도로 진행하는 치명적인 상태
  • 발열, 전신쇠약, 관절통, 상기도 감염증상 등이 선행되어 나타날 수 있음
  • 가장 흔한 증상: 피로, 운동시 호흡곤란, 부정맥, 두근거림, 휴식시 흉통 등
  • 심근염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급성 혹은 아급성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 발생, 또는 이로 인한 심인성 쇽이 발생하는 경우
    •  관상동맥질환 없이 발생한 심근 손상의 증거가 있는 경우 

 

신체검사

  • 대부분 정상
  • 일부 환자에서 청진시 S1 감소, S3, MR murmur, pericardial friction rub

 

진단 검사

검사실 검사

  • 일반혈액검사(CBC): 백혈구증가증, 적혈구침강속도(ESR) 상승, 호산구증가증 등
  • 심장 생물표지자 : CK-MB, troponin I, troponin T, BNP 등

 

심전도 검사

  • 심실 혹은 심실상부 부정맥, 방실차단, 비특이 ST절/T파 이상 등 다양한 심전도 이상소견

 

영상검사

심초음파
  • 심근염이 의심되는 경우 초기검사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것

 

MRI
  • 심근 염증과 심근세포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검사법
  • MRI 유도 심내막심근생검 목적으로도 활용 가능

 

Indium-111 antimyosin antibody scan
  • 심근세포 괴사 범위 확인 가능

 

Gallium-67 scan
  • 심근 염증 범위 확인 가능

 

심내막심근생검

  • 적응증: 다음과 같은 경우 심내막심근생검을 고려할 수 있음
    •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새로 발생한 심부전증이 2주 이내의 기간 동안 급속도로 악화되며 약물 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점차 진행하는 전도장애(심실 부정맥, Mobitz type II 2-3도 방실차단)로 2주-3개월 동안 새로 발생한 심부전증이 1-2주간의 통상적인 치료에도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 민감도: 10-20% 정도
  • 생검 조직을 이용하여 원인 바이러스 확인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고려 가능, 원인 바이러스 확인을 위해 심내막심근생검을 시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음

 

진단기준

  • 현재 정확히 제시된 진단 기준은 없으며, 다음의 4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진단 가능
    1. 심근염을 의심할 만한 임상 증상
    2. 관상동맥의 문제없이 새롭게 혹은 최근에 발생한 심근손상의 증거
    3. 심근 부종과 염증을 시사하는 심혈관 MRI 촬영 결과
    4. 심내막심근생검상 심근 염증의 증거

 

 

 

치료

  • 대부분 후유증 없이 자연 치유됨(supportive care).
  • 주된 치료는 심부전증의 증상과 정도에 따라 심박출량과 혈압을 유지하기 위한 혈역동학적 표준 치료를 따름
  • 경험적 항생제/항바이러스제: 통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않음
  • 면역억제제/면역글로불린
    • 통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않음
    • 전신적인 자가면역질환(예, 전신홍반루푸스, 피부경화증, 다발근육염 등)으로 인한 심근염 환자에서는 면역억제제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음
    • 특발성 거대세포 심근염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면역억제제 사용 고려
    • 소아에서의 가와사키병과 같은 면역매개 질환에서는 면역글로불린 사용을 고려할 수 있음

참고자료

  •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The Korean Society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1;43(2):12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