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관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이란?①
① Non ST 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NSTE-ACS)은 acute coronary syndrome 중 UA와 NSTEMI를 말한다.
UA (Unstable Angina): 진단은 주로 임상 양상에 의존
- 흉부불쾌감이 다음 세 가지 중 한 가지 이상의 양상으로 나타남
안정 시 협심증(Rest angina)
- 휴식 시 협심증 증상이 발생하며 대개 20분 이상 지속됨
새로 발생한 협심증(New-onset angina)
- 2개월 이내 새로 생긴 CCS Class III 이상의 협심증
심해지는 협심증(Increasing angina)
- 기존의 협심증의 정도가 더 자주, 더 오래 지속되며 심해진 경우(CCS Class III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CCSC: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 classification
NSTEMI (non-ST-elevation MI)
- UA의 임상양상 + 심근괴사의 증거(cardiac marker↑)
- UA의 임상적 양상과 더불어서 심근괴사의 증거로 혈액검사에서 심장 생체표지자(cardiac biomarker)가 상승된 경우
STEMI (ST-elevation MI)
- 혈류의 complete occlusion에 의해 angina 보다 심한 pain, cardiac marker 상승, EKG 상 ST-elevation이 나타남
병태생리: 다음 4가지 pathophysiologic processes 중 한 가지 이상이 관여
- Plaque rupture나 erosion에 의해 발생한 nonocclusive thrombus (M/C cause)
- Dynamic spasm (예. coronary spasm, as in Prinzmetal’s variant angina)
- Progressive mechanical obstruction (예. rapidly advancing coronary atherosclerosis or restenosis after PCI)
- Secondary UA related to increased myocardial oxygen demand and/or decreased supply (예. tachycardia, anemia)
진단적 접근/위험도 계층화
|
CAD로 인한 가능성(likehood) 평가
Likelihood That Signs and Symptoms Represent an ACS Secondary to CAD
| High likelihood | Intermediate likelihood | Low likelihood |
|
|
|
|
History |
|
|
|
Physical Exam |
|
|
|
ECG |
|
|
|
Cardiac markers |
|
|
|
위험도 계층화
불안정형 협심증 및 ST분절 상승이 없는 급성 심근경색증을 다음과 같이 분류
| → |
|
Short-Term Risk of Death or Nonfatal MI in Patients With UA/NSTEMI
임상양상 | 고위험군: 다음 중 1개 이상 해당 | 중등도 위험군: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소견이 없으면서 다음 중 1개 이상 해당 | 저위험군: 고위험군 또는 중등도 위험군에 해당하는 소견이 없지만 다음과 같은 소견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다. |
병력 |
|
|
|
통증의 특징 |
|
|
|
진찰소견을 포함한 임상소견 |
|
|
|
심전도 |
|
|
|
심장 표지자 |
|
|
|
TIMI score
- 입원 당시의 7개 변수: 변수 1개당 1점 부여
- 연령 ≥65세
-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 3개 이상
- prior coronary stenosis ≥50%
- ST deviation on ECG
- ≥2 anginal events in prior 24 h
- use of aspirin in prior 7 d
- elevated cardiac biomarkers
TIMI Risk Score | All-Cause Mortality, New or Recurrent MI, or Severe Recurrent Ischemia Requiring Urgent Revascularization Through 14 d After Randomization, % |
0-1 | 4.7 |
2 | 8.3 |
3 | 13.2 |
4 | 19.9 |
5 | 26.2 |
6-7 | 40.9 |
진단 검사
심전도
- ST-segment depression, transient ST-segment elevation, and/or T-wave inversion (30-50%)
- 0.05 mV (0.5 mm) 정도의 작은 ST-segment deviation이라도 새롭게 발생한 경우 예후가 나빠짐
심장 생화학지표(Cardiac biomarkers)
- CK-MB, troponin → 상승 시 MI
(참조) " cardiac enzyme"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268장
- Anderson JL, Adams CD, Antman EM, et al. 2012 ACCF/AHA focused update incorporated into the ACCF/AHA 2007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non-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13;61(23):e179–347.
- Amsterdam EA, Wenger NK, Brindis RG, et al. 2014 AHA/ACC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Non-ST-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14;64(24):e139–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