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의 기준 | 이전의 심근경색증 |
|
|
① 심근허혈과 연관되는 증상을 보이면서 사망한 경우, ECG에서 심근허혈에 의한 변화 혹은 새로운 LBBB 발생하였지만 심장 생체표지자 검사를 시행하기 전 혹은 표지자 수치가 상승하기 전에 사망한 경우 Q-파는 인접유도에서 나타날 때 진단의 특이도가 높고, 비병적인 작은 Q-파는 동일한 유도에서 T-파의 음전이 있어야 prior MI의 가능성이 높다.
속발성 심근경색증(Recurrent MI)
- 최초 심근경색증(incident MI): 평생 처음 경험하는 심근경색증
- 속발성 심근경색증(recurrent MI): 최초 심근경색증 발병 28일 이후에 새로운 심근경색증이 발병하는 경우
재발성 심근경색증(Reinfarction)
- 최초 심근경색증이나 속발성 심근경색증 발병 후 28일 이내에 나타나는 심근경색증
- 재발성 심근경색증은 역학적으로 새로운 심근경색증의 발병으로 인정하지 않음(처음과 같은 부위의 심근경색증이 재발한 것으로 보기 때문)
무증상 심근경색증(Silent MI)
- 증상은 없으나 심전도의 Q-파와 영상검사에서 심근경색증의 증거가 있는 경우
- 이 질환의 빈도가 9-37%로 높을 뿐만 아니라 사망률도 높아 면밀한 추적 필요
분류
-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혈전성 폐색이 주된 발병 원인이지만 관상동맥의 다른 이상으로도 발생. 시술, 수술 관련 심근괴사도 2000년 심근경색증(peri-procedural MI)으로 분류하였고, 2007년 2차 개정과 2012년의 3차 개정된 전문가 합의서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의 한 형태로 정착되었음
분류 | 특징 |
자발성심근경색증(type 1) |
|
심근허혈의 불균형(ischemic imbal-ance)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증(type 2) |
|
심근효소의 증가가 확인되지 않은 채 사망하여 심근괴사의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심근경색증(type 3) |
|
PCI-관련 심근경색증(type 4a) |
|
stent 내 혈전에 의한 심근경색증(type 4b) |
|
CABG와 관련된 심근경색증(type 5) |
|
병태생리
- Atherosclerotic plaque의 rupture에 의한 thrombus형성
→ Acute, complete obstruction of coronary blood flow
→ Transmural infarction에 의한 ST-elevation
Cf. UA/NSTEMI의 경우 partial Occlusion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269장
- Thygesen K, Alpert JS, Jaffe AS, et al,; Joint ESC/ACCF/AHA/WHF task force for universal 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Third universal 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2012;60:1581-1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