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 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STEMI): 개요


목차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의 기준

 이전의 심근경색증

  • 임상적 상황에서 심근허혈에 의한 심근괴사의 증거가 있고, 다음 중 어느 하나만 있으면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정의
  • 심근특이 효소의 증가와 감소가 있으면서 다음 중 최소 하나 충족
    • 허혈성 증상
    • ECG: ST-T 변화, 새로운 LBBB
    • ECG: 병적 Q파(pathologic Q waves) 발생
    • 영상소견: 심근손상의 증거, 새로 발견된 국소벽운동장애
    • 조영술 혹은 부검에서 관상동맥내 혈전 규명
  • 심장성 사망(cardiac death)
  • PCI나 CABG 관련 심근손상의 증거
  • stent thrombosis 
  •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
    • ECG: 병적 Q-파(비허혈성 원인이 없어야 하며, 증상 유무에는 상관없음)
    • 영상 증거: 생존심근의 소실로 심실벽운동의 소실이나 thinning((비허혈성 원인이 없어야 함)
    • 과거 심근경색증의 병리학적인 소견

 

 

① 심근허혈과 연관되는 증상을 보이면서 사망한 경우, ECG에서 심근허혈에 의한 변화 혹은 새로운 LBBB 발생하였지만 심장 생체표지자 검사를 시행하기 전 혹은 표지자 수치가 상승하기 전에 사망한 경우 Q-파는 인접유도에서 나타날 때 진단의 특이도가 높고, 비병적인 작은 Q-파는 동일한 유도에서 T-파의 음전이 있어야 prior MI의 가능성이 높다.

 

속발성 심근경색증(Recurrent MI)

  • 최초 심근경색증(incident MI): 평생 처음 경험하는 심근경색증
  • 속발성 심근경색증(recurrent MI): 최초 심근경색증 발병 28일 이후에 새로운 심근경색증이 발병하는 경우

 

재발성 심근경색증(Reinfarction)

  • 최초 심근경색증이나 속발성 심근경색증 발병 후 28일 이내에 나타나는 심근경색증
  • 재발성 심근경색증은 역학적으로 새로운 심근경색증의 발병으로 인정하지 않음(처음과 같은 부위의 심근경색증이 재발한 것으로 보기 때문)

 

무증상 심근경색증(Silent MI) 

  • 증상은 없으나 심전도의 Q-파와 영상검사에서 심근경색증의 증거가 있는 경우
  • 이 질환의 빈도가 9-37%로 높을 뿐만 아니라 사망률도 높아 면밀한 추적 필요

 

 

 

분류

  •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혈전성 폐색이 주된 발병 원인이지만 관상동맥의 다른 이상으로도 발생. 시술, 수술 관련 심근괴사도 2000년 심근경색증(peri-procedural MI)으로 분류하였고, 2007년 2차 개정과 2012년의 3차 개정된 전문가 합의서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의 한 형태로 정착되었음

분류

특징

자발성심근경색증(type 1)

  • 관상동맥 혈전성 폐색에 의한 경우

심근허혈의 불균형(ischemic imbal-ance)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증(type 2)

  • 관상동맥연축, 관상동맥협착에 의한 심근허혈불균형 등

심근효소의 증가가 확인되지 않은 채 사망하여 심근괴사의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심근경색증(type 3)

 

PCI-관련 심근경색증(type 4a)

  • PCI 관련 심근괴사: 정상이었던 cTn이 시술 후 3-6시간(추가로 12시간 후 재검-선택 사항)에 증가하는 경우 
  • PCI 후에 생긴 MI (type 4a): 시술 전 정상 cTn에서 시술 48시간 후 cTn >5x 99th percentile URL (upper reference limit)의 증가와 흉통, ECG 심근손상의 소견, 관상동맥조영상의 혈류장애의 소견 또는 영상 검사의 이상소견 중에서 하나가 증명되는 경우

stent 내 혈전에 의한 심근경색증(type 4b)

  • PCI 후 stent 내 혈전으로 발병한 MI (type 4b): 관상동맥조영술에서 stent 내 혈전이나 부검에서 혈전이 확인되는 경우
  • 혈전이 stent 안에 생기기 때문에 혈전성폐색에 의한 type 1 MI와 동일한 임상상, ECG 및 생체 표지자의 상승 소견을 보일 수 있지만 생체 표지자가 상승하기 전에 사망할 수 있어서 이를 진단 기준으로 삼지 않음

CABG와 관련된 심근경색증(type 5)

  • CABG 후의 심근괴사는 대개 미만성이고 심내막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음
  • 심근효소의 증가가 심근손상을 의미하지만 어느 정도의 상승이 임상적 의미가 있는지 아직 불명확하여 CABG 관련 MI를 정의하고 진단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음
  • 2012년 합동위원회 정의: 새로운 Q-파나 LBBB의 출현, 관상동맥조영술로 graft나 native 관상동맥에 폐색, 새로운 심근조직 손상을 나타내는 영상 검사 소견 등의 소견 중 하나가 있고, CABG 48시간 후 측정한 cTn가 정상 참고치의 99th percentile의 10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

 

 

 

병태생리 

  • Atherosclerotic plaque의 rupture에 의한 thrombus형성
    → Acute, complete obstruction of coronary blood flow
    → Transmural infarction에 의한 ST-elevation
    Cf. UA/NSTEMI의 경우 partial Occlusion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269장
  • Thygesen K, Alpert JS, Jaffe AS, et al,; Joint ESC/ACCF/AHA/WHF task force for universal 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Third universal 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2012;60:1581-159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