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hypertension): 개요


목차

고혈압의 정의/기준

 고혈압의 정의/기준: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이 개정되었는데, 고혈압의 진단기준을 130/80 mmHg 미만으로 낮춰서 지금까지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 이후 발표된 이후 유럽의 가이드라인(2018 ESC/ESH)이나 우리나라 가이드라인에서는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제시한 기준을 받아들이지 않고 여전히 종전의 140/90 mmHg 이상의 정의를 유지하고 있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고혈압의 정의를 변경한 것은 고혈압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탈피하여 심혈관계 위험성이 상승하는 점을 고혈압의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존 고혈압의 정의(고전적인 정의)

ACC/AHA 2017 

  • 약물치료를 했을 때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이 충분히 감소하여 치료의 득이 실보다 많은 혈압의 기준치

 

  • 혈압으로 인한 심혈관계 위험성이 상승하는 점을 고혈압의 기준으로 정의
  • Systolic Blood Pressure Intervention Trial (SPRINT) 결과에 의거

 

  • 즉 기존에는 고혈압을 치료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면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은 고혈압이 미치는 위험성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SBP

 

DBP

JNC 7(2003) 

KSH(2013)

ESH(2018)

KSH(2018)

ACC/AHA(2017)

≥160

or

≥100

HTN stage 2

HTN stage 2

≥180/110: grade 3

160-179/100-109: grade 2

HTN stage 2

HTN stage 2

140-159

or

90-99

HTN stage 1

HTN stage 1

grade 1

HTN stage 1

HTN stage 2

130-139

or

80-89

prehypertension

prehypertension stage 1(DBP 85-99)

High normal(DBP 85-99)

prehypertension

HTN stage 1

120-129

and

<80

prehypertension

prehypertension stage 2(DBP 80-84)

Normal(DBP 80-84)

elevated(주의혈압)

elevated

<120

and

<80

normal

normal

Optimal

normal

normal

① KSH 2013에서는 고혈압 전단계 1기로 명명했었는데 2018에서는 주의혈압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르면 기존 prehypertension(2018 대한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주의혈압"으로 명명)의 범주에 속하는 혈압이 HTN stage 1으로 고혈압에 해당하게 된다.

ACC/AHA 2017 

↔︎

2018 ESC/ESH, 2018 KSH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 = 고혈압의 1차적 치료목표 혈압’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 & 고혈압의 1차적 치료목표 혈압’

과거: 당뇨, 만성 신장질환이 동반된 고혈압 및 노인성 고혈압을 따로 분류하여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목표혈압을 달리 제시 → 변경: 고위험군들에서는 대다수에서 10년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0%가 넘어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목표혈압을 130/80 mmHg으로 수정

 

진단기준은 140/90 mmHg이지만 고위험군의 치료목표는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보다 더 낮은 혈압 설정(대부분 130/80 mmHg 이하) → 실질적으로는 진단기준이 130/80 mmHg로 낮아지는 것과 비슷한 효과

  • 실질적으로는 거의 비슷한데 결국 130-139/80-89 범위의 혈압에 고혈압이라는 낙인을 찍느냐 아니냐(prehypertension)의 차이 같다.

ACC/AHA 2017 가이드라인의 특징

  1. 고혈압 기준 변경: 140/90 mmHg에서 130/80 mmHg으로 하향 조정. 1기 고혈압 130-139/80-89 mmHg, 2기 고혈압 140/90 mmHg 이상
  2. 치료목표혈압: 당뇨병, 노인성 고혈압, 만성 신장질환의 목표혈압도 일괄적으로 130/80 mmHg으로 하향 조정
  3. 치료전략
    1. 이미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0% 이상인 1기 고혈압과 모든 2기 고혈압에서 약물치료의 적응이 된다고 권고
    2.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0% 미만인 1기 고혈압은 생활습관 조절과 적극적인 추적 관찰 권고


고혈압의 정의/기준: 2018년 대한고혈압학회

혈압 분류

수축기 혈압(mmHg)

 

확장기 혈압 (mmHg)

정상(normal)

<120

그리고

<80

주의혈압

120~129

그리고

<80

 고혈압전단계

130-139

또는

80-89

고혈압 1기

140~159

또는

90~99

고혈압 2기

≥160

또는

≥100

수축기단독고혈압

≥140

그리고

<90

 

2013년 가이드라인과 비교해서 

2013년

 

2018년

고혈압전단계 1기

SBP 120-129 그리고 DBP 80-84(<80)

주의혈압

고혈압전단계 2기

SBP 130-139 또는 DBP 85-89(80-89)

고혈압전단계 

볼드/밑줄: 2018년 기준

 

 

 

고혈압의 분류

  • 혈압 자체는 변화가 많은 혈역학적 지표 
  • 혈압은 심장이 뛸 때마다, 아침과 저녁으로, 계절에 따라서, 잘 때와 깨어 있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상황에 따라 변화 
  • 특히 진료실 안과 밖에서 혈압 차이가 많이 남
    ☞ 24시간 활동혈압을 측정하거나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하면 고혈압의 진위와 조절 여부 확인 가능

 

진료실과 가정에서의(또는 24시간 활동혈압) 혈압 기준

  • 진성 고혈압
    • 수축기 고혈압
    • 청소년수축기 고혈압
    • 확장기 고혈압
  •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
  •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
  • 활동성고혈압(isolated ambulatory hypertension)

 

일중변동에 따른 혈압 분류

  • 아침고혈압
  • Dipper or non-dipper 고혈압

 

기타

  • 기립성 저혈압(postural or orthostatic)
  • 저항성 고혈압(resistant hypertension)

 

진료실과 가정에서의(또는 24시간 활동혈압) 혈압을 기준으로 한 혈압 분류

진성고혈압(true hypertension) 

수축기 고혈압
  • SBP > 140 and DBP < 90
  • 맥압과 SBP 증가는 심혈관 질환 위험도 높이고 치료 방향 결정하는데 중요

 

청소년 수축기 고혈압
  • 청소년기 키가 갑자기 커지고, 혈관 탄성 좋아져 대동맥과 상완동맥 사이 맥압파 증가해 발생 
  • 대동맥 중심압은 정상

 

확장기 고혈압
  • 젊은 성인에서 흔함. 수축기 고혈압에 비하여 비교적 예후 양호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

  •  특징
    • 진료실 혈압은 140/90이상, 주간 활동 혈압은 135/85미만
    • 1기 고혈압 환자의 15~20% 정도가 해당
  • 확인방법: 조용한 환경에서 14~20분 동안 여러 번 혈압 측정 
  • 예후: 양호
  • 약물치료: 효과적이지 않음; 항고혈압 약물 투여 시 진료실 혈압은 떨어지지만 활동 중 혈압은 차이 보이지 않음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

  • 특징 
    • 진료실에서는 정상혈압, 진료실 이외에서의 주간혈압이 135/85이상
    • 술, 담배, 카페인, 활동 등 생활습관에 의해 혈압이 올라갈 수 있음
    • 강압제 복용중인 환자에서 더 잘 관찰
    • 강압제의 복용에 의해 강압효과 최대 된 시점에서 외래 방문
  • 예후 : (5년 추적 관찰 결과) 2.28배 심혈관 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음 

 

일중 변동에 따른 혈압 분류

아침 고혈압 

  • 정의: 아침에 측정한 혈압이 135/85 mmHg 이상이면서 잠자리 들기 전에 측정한 혈압보다 높은 경우이다 
  • 특징
    • 자가 혈압으로 측정가능
    • 수면중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 non-dipper 혈압이 아침까지 지속되는 것일 수 있음
    •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뇌졸중 발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 예후
    • 뇌졸중 발생의 가장 강력한 독립인자
    • 심비대, 경동맥 비대 등과도 연관성 있음

 

dipper

  • 혈압은 주간에 높고 수면 중에는 낮아지는 경향: 정상적으로 야간혈압은 주간혈압에 비하여 10~20% 낮다(dipper).

 

non dipper

  • 야간혈압이 10% 미만 감소하는 경우
  • 정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혈관사고의 위험이 더 높다.

 

extreme dipper

  • 야간혈압이 20% 이상 심하게 감소하는 경우
  • 허혈성 뇌졸중과 동맥경화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riser

  • 야간혈압이 주간혈압에 비해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
  • 대개 자율신경 장애가 있으며, 출혈성 뇌졸중이 흔하다.

 

백의고혈압/가면고혈압

백의고혈압

  • 5년 이내의 단기적인 임상 경과는 비교적 양호
  • 장기적인 관찰에서 고혈압으로 진행하거나 심뇌혈관 질환이 발병할 위험↑
  • 주기적인 혈압 측정과 관찰

 

가면고혈압

  • 지속성고혈압과 예후 유사
  • 약물치료 중인 고혈압 환자에서 가면고혈압은 백의고혈압보다 심근손상이 심하다.

참고자료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2013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2018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