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정의/기준
고혈압의 정의/기준: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이 개정되었는데, 고혈압의 진단기준을 130/80 mmHg 미만으로 낮춰서 지금까지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 이후 발표된 이후 유럽의 가이드라인(2018 ESC/ESH)이나 우리나라 가이드라인에서는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제시한 기준을 받아들이지 않고 여전히 종전의 140/90 mmHg 이상의 정의를 유지하고 있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고혈압의 정의를 변경한 것은 고혈압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탈피하여 심혈관계 위험성이 상승하는 점을 고혈압의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존 고혈압의 정의(고전적인 정의) | ↔ | ACC/AHA 2017 |
|
|
|
- 즉 기존에는 고혈압을 치료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면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은 고혈압이 미치는 위험성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SBP |
| DBP | JNC 7(2003) | KSH(2013) | ESH(2018) | KSH(2018) | ACC/AHA(2017) |
≥160 | or | ≥100 | HTN stage 2 | HTN stage 2 | ≥180/110: grade 3 160-179/100-109: grade 2 | HTN stage 2 | HTN stage 2 |
140-159 | or | 90-99 | HTN stage 1 | HTN stage 1 | grade 1 | HTN stage 1 | HTN stage 2 |
130-139 | or | 80-89 | prehypertension | prehypertension stage 1(DBP 85-99) | High normal(DBP 85-99) | prehypertension | HTN stage 1 |
120-129 | and | <80 | prehypertension | prehypertension stage 2(DBP 80-84) | Normal(DBP 80-84) | elevated(주의혈압)① | elevated |
<120 | and | <80 | normal | normal | Optimal | normal | normal |
① KSH 2013에서는 고혈압 전단계 1기로 명명했었는데 2018에서는 주의혈압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르면 기존 prehypertension(2018 대한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주의혈압"으로 명명)의 범주에 속하는 혈압이 HTN stage 1으로 고혈압에 해당하게 된다.
ACC/AHA 2017 | ↔︎ | 2018 ESC/ESH, 2018 KSH |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 = 고혈압의 1차적 치료목표 혈압’ |
|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 & 고혈압의 1차적 치료목표 혈압’ |
과거: 당뇨, 만성 신장질환이 동반된 고혈압 및 노인성 고혈압을 따로 분류하여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목표혈압을 달리 제시 → 변경: 고위험군들에서는 대다수에서 10년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0%가 넘어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목표혈압을 130/80 mmHg으로 수정 |
| 진단기준은 140/90 mmHg이지만 고위험군의 치료목표는 고혈압의 진단기준 혈압보다 더 낮은 혈압 설정(대부분 130/80 mmHg 이하) → 실질적으로는 진단기준이 130/80 mmHg로 낮아지는 것과 비슷한 효과 |
- 실질적으로는 거의 비슷한데 결국 130-139/80-89 범위의 혈압에 고혈압이라는 낙인을 찍느냐 아니냐(prehypertension)의 차이 같다.
ACC/AHA 2017 가이드라인의 특징
|
고혈압의 정의/기준: 2018년 대한고혈압학회
혈압 분류 | 수축기 혈압(mmHg) |
| 확장기 혈압 (mmHg) |
정상(normal) | <120 | 그리고 | <80 |
주의혈압 | 120~129 | 그리고 | <80 |
고혈압전단계 | 130-139 | 또는 | 80-89 |
고혈압 1기 | 140~159 | 또는 | 90~99 |
고혈압 2기 | ≥160 | 또는 | ≥100 |
수축기단독고혈압 | ≥140 | 그리고 | <90 |
2013년 가이드라인과 비교해서
2013년 |
| 2018년 |
고혈압전단계 1기 | SBP 120-129 그리고 DBP 80-84(<80) | 주의혈압 |
고혈압전단계 2기 | SBP 130-139 또는 DBP 85-89(80-89) | 고혈압전단계 |
볼드/밑줄: 2018년 기준
고혈압의 분류
- 혈압 자체는 변화가 많은 혈역학적 지표
- 혈압은 심장이 뛸 때마다, 아침과 저녁으로, 계절에 따라서, 잘 때와 깨어 있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상황에 따라 변화
- 특히 진료실 안과 밖에서 혈압 차이가 많이 남
☞ 24시간 활동혈압을 측정하거나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하면 고혈압의 진위와 조절 여부 확인 가능
진료실과 가정에서의(또는 24시간 활동혈압) 혈압 기준
- 진성 고혈압
- 수축기 고혈압
- 청소년수축기 고혈압
- 확장기 고혈압
-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
-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
- 활동성고혈압(isolated ambulatory hypertension)
일중변동에 따른 혈압 분류
- 아침고혈압
- Dipper or non-dipper 고혈압
기타
- 기립성 저혈압(postural or orthostatic)
- 저항성 고혈압(resistant hypertension)
진료실과 가정에서의(또는 24시간 활동혈압) 혈압을 기준으로 한 혈압 분류
진성고혈압(true hypertension)
수축기 고혈압
- SBP > 140 and DBP < 90
- 맥압과 SBP 증가는 심혈관 질환 위험도 높이고 치료 방향 결정하는데 중요
청소년 수축기 고혈압
- 청소년기 키가 갑자기 커지고, 혈관 탄성 좋아져 대동맥과 상완동맥 사이 맥압파 증가해 발생
- 대동맥 중심압은 정상
확장기 고혈압
- 젊은 성인에서 흔함. 수축기 고혈압에 비하여 비교적 예후 양호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
- 특징
- 진료실 혈압은 140/90이상, 주간 활동 혈압은 135/85미만
- 1기 고혈압 환자의 15~20% 정도가 해당
- 확인방법: 조용한 환경에서 14~20분 동안 여러 번 혈압 측정
- 예후: 양호
- 약물치료: 효과적이지 않음; 항고혈압 약물 투여 시 진료실 혈압은 떨어지지만 활동 중 혈압은 차이 보이지 않음
가면 고혈압(masked hypertension)
- 특징
- 진료실에서는 정상혈압, 진료실 이외에서의 주간혈압이 135/85이상
- 술, 담배, 카페인, 활동 등 생활습관에 의해 혈압이 올라갈 수 있음
- 강압제 복용중인 환자에서 더 잘 관찰
- 강압제의 복용에 의해 강압효과 최대 된 시점에서 외래 방문
- 예후 : (5년 추적 관찰 결과) 2.28배 심혈관 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음
일중 변동에 따른 혈압 분류
아침 고혈압
- 정의: 아침에 측정한 혈압이 135/85 mmHg 이상이면서 잠자리 들기 전에 측정한 혈압보다 높은 경우이다
- 특징
- 자가 혈압으로 측정가능
- 수면중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 non-dipper 혈압이 아침까지 지속되는 것일 수 있음
-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뇌졸중 발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 예후
- 뇌졸중 발생의 가장 강력한 독립인자
- 심비대, 경동맥 비대 등과도 연관성 있음
dipper
- 혈압은 주간에 높고 수면 중에는 낮아지는 경향: 정상적으로 야간혈압은 주간혈압에 비하여 10~20% 낮다(dipper).
non dipper
- 야간혈압이 10% 미만 감소하는 경우
- 정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혈관사고의 위험이 더 높다.
extreme dipper
- 야간혈압이 20% 이상 심하게 감소하는 경우
- 허혈성 뇌졸중과 동맥경화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riser
- 야간혈압이 주간혈압에 비해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
- 대개 자율신경 장애가 있으며, 출혈성 뇌졸중이 흔하다.
백의고혈압/가면고혈압
백의고혈압
- 5년 이내의 단기적인 임상 경과는 비교적 양호
- 장기적인 관찰에서 고혈압으로 진행하거나 심뇌혈관 질환이 발병할 위험↑
- 주기적인 혈압 측정과 관찰
가면고혈압
- 지속성고혈압과 예후 유사
- 약물치료 중인 고혈압 환자에서 가면고혈압은 백의고혈압보다 심근손상이 심하다.
참고자료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2013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