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차성 고혈압
- 이차성 고혈압이란? 본태성 고혈압을 배제하고, 교정 가능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
-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 40세 이전에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당뇨병 등이 없이 고혈압이 발견된 경우 또는 청소년기 이전에 발생한 고혈압
- 갑자기 심한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혹은 3가지 이상 혈압약제를 최고 용량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조절이 불량한 경우
-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경우 해당 전문의에게 의뢰할 것
대표적 이차성 고혈압 원인질환의 임상양상 및 일차 선별검사 방법
원인질환 | 임상적 특징 | 일차 진단검사 | ||
임상증상 | 신체검사 | 검사소견 | ||
신장 질환 | 요로감염 혹은 협착의 과거력, 진통제 남용, 가족력, 혈뇨 동반 | 복부내 종양 촉진(다낭성 신장질환 경우) |
| 신장 초음파
|
신혈관성 고혈압 | 갑작스런 발병, 3가지 이상의 약제에도 반응하지 않은 저항성 고혈압 | 복부잡음 청진 | 복부 초음파상 두 신장 길이가 1.5 c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 신장 도플러 초음파 |
알도스테론증 | 근력감퇴, 조기 발병, 고혈압의 가족력, 40세 이전에 뇌졸중 과거력 | 부정맥(아주 심한 저칼륨혈증에서 발생) | 저칼륨혈증 | 레닌, 알도스테론 혈중 검사 (저칼륨혈증 교정 및 레닌-알도스테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 중단 이후) |
쿠싱 증후군 | 체중 증가, 다뇨, 다음 | 중심비만, 월상안, 자색선조, 다모증 | 고혈당 | 24시간 소변 코티솔
|
갈색세포종 | 두통, 심계항진, 발한, 창백, 심한 혈압의 변화 | 기립성 저혈압 | 부신우연종 | 24시간 소변 메타네프린, 혈중 유리 메타네프린 |
백의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 정의:진료실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면서 가정혈압 또는 평균 주간 활동혈압이 135/85 mmHg 미만인 경우
- 조치
- 대부분 생활요법을 권하고 주기적으로 혈압 측정을 권한다.
- 대사이상을 동반하거나 무증상장기손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 고려
참고자료
- 대한고혈압학회.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