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고혈압제: 투여 원칙
- 약을 처음 투여할 때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 약효가 24시간 지속되어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선택한다.
-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 처방할 때는 가급적 최저/최대효과 비(trough/peakratio)가 0.5 이상인 약이 좋다.(→ 환자의 순응도를 높여주며 혈압변동을 최소화하여혈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
- 하루 1회 복용하여도 혈압이 안정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2회 이상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항고혈압제: 어떤 약물을 선택할 것인가?
- 일차 고혈압약으로 ACE억제제, 안지오텐신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이뇨제 중에서 선택하며 1차 치료제로 사용가능한 약물은 다음과 같다.
후보 약물군 | 약물종류 |
이뇨제 |
|
CCB |
|
ACEI |
|
ARB |
|
BB |
|
- 약물별 적응증 및 금기 사항, 환자의 동반 질환, 무증상장기손상 등을 고려하여 1차 치료제를 선택하면 된다.
약물에 대한 고려 : 약물에 따라 투여해야 할 상황(적응증), 투여하지 말아야할 상황(금기)이 다르다. | + | 환자에 대한 고려 : 환자의 특성, 동반질환에 따라 선호되는 항고혈압제가 다르다. |
▼ | ▼ | |
1차 치료제 선택 |
선택 원칙 (1) 약물에 대한 고려: 약물별 적응증 및 금기
- 각 약물별로 적극적으로 투여해야 할 적응증과 투여하지 말아야할 할 금기증이 다르다.
| 적극적 적용 | 적용가능 | 주의 요망 | 금기 |
ACE억제제/안지오텐신차단제 |
| - |
|
|
베타차단제 | 협심증 심근경색 |
|
|
|
칼슘차단제 | 노인 고혈압 수축기단독고혈압 협심증 | - |
|
|
이뇨제 | 심부전 수축기단독고혈압 | - |
|
|
선택원칙 (2) 환자에 대한 고려: 환자 특성/동반 질환
- 환자의 특성, 동반질환에 따라 선호되는 고혈압약이 다르다.
| ACEI/ARB | 베타차단제 | 칼슘차단제 | 이뇨제 |
심부전 | O | O |
| O |
좌심실 비대 | O |
| O |
|
관상동맥 질환 | O | O | O |
|
만성 콩팥병 | O |
|
|
|
뇌졸중 | O |
| O | O |
노인 수축기단독고혈압 | O |
| O | O |
심근경색 후 | O | O |
|
|
심방세동 예방 | O |
|
|
|
당뇨병 | O | O | O | O |
주요 가이드라인에 추천하는 항고혈압제 1차 항고혈압제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 ACEi/ARB(A), CCB(C), Diuretics(D)는 1차 치료제로 권고되는 반면 Beta blocker(B)는 포함되지 않는 가이드라인도 존재한다. 미국/일본/영국에서는 B는 제외되는 경향이 있고 우리나라/유럽에서는 B를 1차 치료제로 포함시키고 있다.
추천 병용요법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 ACEi/ARB(A), CCB(C), Diuretics(D)는 1차 치료제로 권고되는 반면 Beta blocker(B)는 포함되지 않는 가이드라인도 존재한다. 미국/일본/영국에서는 B는 제외되는 경향이 있고 우리나라/유럽에서는 B를 1차 치료제로 포함시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