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폐색전증의 진단
Two-level PE Wells score
임상 양상 | 점수 |
심부정맥혈전증의 임상적인 징후/증상 | 3 |
폐색전증 이외 가능성이 낮음 | 3 |
심박수 >100 | 1.5 |
지난 4주 이내 누워지내거나 수술을 받은 경우 | 1.5 |
심부정맥혈전증/폐색전증 병력 | 1.5 |
객혈 | 1 |
활동성 암(현재 치료를 받고 있거나 이전 6개월 이내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혹은 완화치료 중인 경우) | 1 |
|
|
임상가능성 평가표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 임상가능성 평가에서 PE 가능성이 있는 경우 다음 둘 중 하나를 시행
- 즉각적으로 가슴 CT(폐동맥혈관조영법) 시행
- 만약 즉각적으로 가슴 CT(폐동맥혈관조영법)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interim parenteral anticoagulant therapy를 시행한 후 가슴 CT(폐동맥혈관조영법) 시행
- 만약 가슴 CT(폐동맥혈관조영법) 검사는 음성이지만 DVT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proximal leg vein ultrasound 시행 고려
치료방침: 폐색전증
급성기 치료
- 비분획 heparin (unfractionated heparin, UFH) IV/SC, 저분자량 heparin (low-molecular-weight heparin, LMWH) 혹은 fondaparinux으로 치료해야 함
장기 치료
폐색전증의 항응고요법 기간(ACCP 9th & 10th)
적응증 | 출혈 위험도 | 권고안 | ||
낮음 | 중간 | 높음 | ||
수술에 의해 촉발된 초발 PE |
|
|
| 3개월 |
비수술적 요인에 의해 촉발된 초발 PE |
|
|
| 3개월 |
유발요인이 없는 PE |
|
|
| 최소 3개월 → 3개월 이후 치료지속여부를 위해 risk-benefit를 따져보아야 함 |
초발 PE
| O | O |
| 3개월 이상 치료 |
|
| O | 3개월 | |
두번째로 발생한 PE | O | O |
| 3개월 이상 치료 |
|
| O | 3개월 | |
PE + 활동성 암 | O | O |
| 3개월 이상 치료(recommend) |
|
| O | 3개월 이상 치료(suggest) |
참고자료
- Wells PS, Anderson DR, Rodger M, et al. Derivation of a simple clinical model to categorize patients probability of pulmonary embolism: increasing the models utility with the SimpliRED D-dimer. Thromb Haemost 2000;83(3):416–20.
- NICE clinical guideline 144.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s: the management of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s and the role of thrombophilia testing [Internet]. 2012. Available from: guidance.nice.org.uk/cg144
- Kearon C, Akl EA, Comerota AJ, et al. Antithrombotic therapy for VTE disease: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12;141(2 Suppl):e419S–94S.
- Kearon C, Akl EA, Ornelas J, et al. Antithrombotic Therapy for VTE Disease: 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Chest 2016;149(2):3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