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하지정맥류(varicose veins)란?
- 정맥이 비틀어지고 꼬불꼬불할 뿐만 아니라 확장되어 있는 질환
병태생리
- 선천적으로 취약한 연결조직을 갖고 태어난 경우 -> 임신, 운동부족, 과도한 운동, 직업상 오래 앉아서 혹은 서서 일해야 하는 경우 → 약화된 혈관벽이 중력을 향하는 정맥압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줄 수 없으면 점점 역류하면서 혈관이 팽창하고 악순환 반복
정맥류의 가장 큰 원인은 직립보행에 따른 중력의 영향입니다. 서있으면 발이 심장에서 멀어져 혈액이나 림프 등 체액이 다리에 오래 머물며 순환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내재적 요인의 원인(원발성 정맥류): 정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구성비가 비정상이어서 약해지게 되는 경우 | + | 외인적 요인(이차성 정맥류): 정맥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
|
|
|
정상적인 혈액순환 |
|
↓ |
|
질병 상태에서의 혈액순환 |
|
해부학적인 분류: 다음 네 가지 주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 복재정맥(두렁정맥, saphenous vein)의 정맥류 (Truncal varicosis)
- 소정맥 정맥류(Side-branch varicosis)
- 망상 정맥의 정맥류(Reticular varicosis)
- 모세혈관 확장증(Teleangiectasias)
- 망상 정맥의 정맥류(reticular varicosis) 및 모세혈관확장증(teleangiectasias)은 역류가 없으면 미용상의 문제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 복재정맥의 정맥류 (truncal varicosis)는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둘 경우, 특히 무릎 위 복재정맥역류를 방치하여 심부정맥혈전이 발생하면 합병증을 유발하고, 치명적인 폐동맥 색전증(pulmonary embolism)으로 발전하여, 돌연사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 시진만으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맥류진료경험이 많은 흉부외과, 혈관외과전문의, 혈관영상의학과전문의의 진단 기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임상양상 및 진단
주요 증상
- 무게감, 불편함, 피로감, 가려움증, 쥐가 자주 나고 다리가 붓는다.
- 통증: 둔한게 특징이며 누웠을 때나 이 른 아침에는 나타나지 않고 주로 오후나 오래 서있을 때에 발생. 심장보다 높게 다리를 올리거나 압박하여 주면 완화된다.
- 정맥혈의 역류, 저류로 인한 충혈, 피부변색, 피부염, 다리궤양 발생 가능
- Venous dilation, varicosity (C1,2)
- Edema (C3)
- Skin pigmentation (C4a)
- Lipodermatosclerosis (C4b)
- Venous ulceration (C5, C6)
CEAP 분류법
C : Clinical signs - 임상양상을 1기-6기(C1-6)로 분류
E : Etiology - Etiology 여부에 따른 분류: primary, secondary(Es,p)
A : Anatomy - 역류지점 Anatomy에 따른 분류: superficial, deep, perforator(As,d,p)
P : Pathophysiology - Pathology 기준에 따른 분류: reflux, obstruction(Pr,o)
Classification
C0: no visible or palpable signs of venous disease
C1: telangiectasies or reticular veins
C2: varicose veins
C3: edema
C4a: pigmentation or eczema
C4b: lipodermatosclerosis or atrophy blanche
C5: healed venous ulcer
C6: active venous ulcer
S: symptomatic
A: asymptomatic
Etiologic classification
Ec: congenital
Ep: primary
Es: secondary (post-thrombotic)
En: no venous cause identified
Anatomic classification
As: superficial veins
Ap: perforator veins
Ad: deep veins
An: no venous location identified
Pathophysiologic classification
Pr: reflux
Po: obstruction
Pr,o: reflux and obstruction
Pn: no venous pathophysiology identifiable
C1: telangiectasies or reticular veins | C2: varicose veins | C4a: pigmentation or eczema |
C4b: lipodermatosclerosis or atrophy blanche | C5: healed venous ulcer | C6: active venous ulcer |
- 병이 진행되면, 복재정맥 정맥역류 또는 심부정맥체계의 폐색 (예를 들어 DVT 심부정맥 혈전증) 등이 정맥 순환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맥질환들이 반드시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1기
- 정맥 질한의 전조 증상을 처음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즈음에는, 작고 어두운 파란색 망상 정맥들이 나타나는데, 전형적으로 발목의 안쪽(바깥쪽에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에 나타난다.
2기
- 정맥이 팽창하는 단계로 다리가 자주 피곤하고 저리고 쥐가 난다.
3기, 4기
- 병이 발전하면서, 이부위의 피부가 변색 되고 (착색) 습진 (eczema) 및 조직의 경화가 동반될 수 있다. 정체성 피부염이 나타난다.
5기, 6기
- 정맥 역류가 피부조직 파괴로 이어지고 다리에 궤양이 생성된다.
- 심각한 정맥류의 다른 합병증에는 다음과 같은 것 들이 있다:
- 정맥염(phlebitis)
- 부은 다리(swollen legs)
- 심부정맥 혈전증(deep-vein thrombosis), 폐동맥색전증(PE)
- 심부 정맥 체계의 기능 상실 (만성정맥질환)
- 복재 정맥 정맥류는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 즉 만성 정맥 부전의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반드시 치료 되어야 한다.
진단 검사
- 철저한 문진(Onset 질문 중요)
- 신체검사
- Inspection & percussion
- Cough test
- Brodie-Trendelenburg Test
- Inspection & percussion
| |||||||||
▼ | ▼ | ||||||||
tourniquet을 풀기 전에 역류: 종아리 안쪽 중간부분부터 정맥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 | tourniquet을 푼 후 역류: 복재-대퇴 연결부(saphenofemoral junction)에서의 역류에 의해 정맥이 충만되는 경우 | ||||||||
perforating vein incompetence 의미 (GSV는 묶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혈류는 perforating vein으로부터 역류한 것) | Superficial vein(Greator saphenous vein) incompetence 의미 (압박대를 풀면 GSV의 압박이 해제되면서 GSV의 역류혈류에 의해 충만해지는 것) |
d. Bracey Variation
e. Perthes’ test
3. 영상검사(전체 정맥류 정맥 경로 파악)
- 혈관초음파검사
- doppler ultrasound: Gold standard
- venous duplex ultrasound: new gold standard
- 3차원 하지정맥 CT
- 정맥촬영 등
venous duplex ultrasound
복재정맥 정맥류에서는 피부팽창된 정맥류 일부만 볼 수 있습니다. 방산의 일각만을 보는 것입니다. 나머지 감추어진 부분은 피하 조직에 있습니다. 소복재정맥의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혈관초음파검사 등을통 해 전체 정맥류 정맥 경로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치료
- 적극적인 치료: 수술, 혈관주사경화요법 (sclerotherapy) 등)
- 보존적인 치료: 압박스타킹, 정맥약물 경구치료 등
수술적 치료: 역류 지점을 찾아 고위결찰, 발거 혹은 폐쇄시키는 것
- 척추마취 혹은 전신마취 하에 역류부위 고위결찰 및 제거수술(발거술)을 하여 2-3일 입원하는 방법(High Ligation& Stripping)
- 광투시경을 이용하여 척추마취하 내시경식으로 지방흡입하듯이 정맥류 흡입술(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phlebectomy, TRIVEX법): 역류확인 시 역류지점의 결찰 및 발거술 필요
- 척추마취 혹은 국소마취 하에 고주파열로써 역류혈관을 폐쇄시키는 VNUS법 (Radio-frequency ablation, RFA)
- 국소마취하 역류 혈관 내 레이저시술법(Endovenous Laser Treatment, EVLT)
- Endovenous Thermal Ablation
비수술적 치료: 혈관주사경화요법(sclerotherapy)
- 혈관을 경화시키는 약물을 정맥류가 있는 부위의 정맥에 주입 -> 인위적으로 정맥의 화학적 염증 유도 → 정맥류 정맥의 반흔 형성 (cicatrisation) 또는 결합조직으로의 변형(transformation) 유발
- 거미상 정맥 및 망상 정맥치료에 있어 역류가 없는 경우에 매우 유용
비수술 보존적 치료
- 압박밴드 (Compression bandage)
- 압력정맥스타킹(external compression stocking)
- 물리적 울혈 제거 (Mechanical decongestion)
- 울혈 제거 운동 (Decongestion exercises)
- 다리 냉수욕
- 경구정맥약물(Venotonics) 요법
참고자료
- Kim HK. New Trend of the Varicose Vein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3;46(12):1097.
- 이정상. 하지정맥류의 진단과 치료. Korean J Fam Pract. 2016;6(5) Suppl: S57-S63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2판(2017). p1516-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