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황달(Jaundice)이란?
- 빌리루빈에 의해서 피부, 공막(sclera), 점막(mucous membrane)이 노랗게 착색되는 현상
- 황달의 고전적인 정의
- 피부와 공막이 노랗게 착색되는 임상 징후과 함께 혈청 빌리루빈(serum bilirubin)>2.5~3mg/dL인 경우.
- 대개 색깔변화 (discoloration)는 혈청 빌리루빈 >3mg/dL인 경우 발견된다.
- 성인에 있어 황달은 흔한 임상소견이 아님 → 나타나면 심각한 문제 시사
공막
- high elastin으로 구성된 조직으로 bilirubin과 친화력이 높다. → 공막이 노랗게 변하면 bilirubin이 >3.0 mg/dl 임을 의미
피부
- 감별진단 : carotenoderma, quinacrine, phenol 노출
- Carotenoderma: 카로틴 함유 채소, 과일 (당근, 호박, 복숭아, 오렌지) 등의 다량 섭취로 유발됨
- 감별점 : 몸 전체가 균일하게 변하지만 (특히 손/발바닥, nasolabial fold) 공막은 보존됨
- Quinacrine: 항말라리아약, 구충제로 4~37%에서 황달이 발생하며 공막도 변함
소변
- Conjugated bilirubin(수용성)이 신장으로 배출될 때 콜라색 소변으로 나옴
- Direct serum bilirubin의 비율이 상승했음 또는 간질환을 의미
병태생리
빌리루빈 대사(Bilirubin metabolism)
- 3가지 과정(phase)으로 이루어진다.
Prehepatic |
|
▼ |
|
Intrahepatic |
|
▼ |
|
Posthepatic |
|
- 황달은 위에서 살펴본 빌리루빈 대사의 3 과정 중 어디에든 문제가 생겨도 발생
- 감별진단도 원인이 1) prehepatic, 2) hepatic, 3) posthepatic 인지를 염두에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 Roche SP, Kobos R. Jaundice in the adult patient. Am Fam Physician 2004;69(2):299–304.
- Fabris L, Cadamuro M, Okolicsanyi L. The patient presenting with isolated hyperbilirubinemia. Dig Liver Dis 2009;41(6):375–81.
- Burroughs A, Dagher L. Acute jaundice. Clin Med 2001;1(4):2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