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빌리루빈혈증은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발생
- 빌리루빈의 과다 생성
- 빌리루빈의 흡수, 결합(conjugation)과 분비의 장애
- 손상된 간세포나 담관으로부터 비결합 또는 결합 빌리루빈의 역류 등
비결합 빌리루빈 | 결합 빌리루빈 |
|
|
황달(고빌리루빈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들
간세포성 질환들 | 담즙정체성 질환들 | |
간내 | 간외 | |
|
|
|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 결합 고빌리루빈혈증(Conjugated hyperbilirubinemia)이 우세한 경우 |
|
|
혈청 에서 포합형 빌리루빈과 비포합형 빌리루빈의 양을 파악해야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간실질 질환 및 담도 폐쇄성 질환을 2)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을 유발하는 유전적 질환 및 용혈성 질환들과 초기에 구별해 내기 위해서입니다.
비결합 고빌리루빈 혈증
용혈
- 혈관 내 용혈: PNH,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etc.
- 혈관 외 용혈: Hereditary spherocytosis, thalassemia, etc.
비효율적 적혈구조혈(Ineffective erythropoiesis)
- 골수 내에서 적혈구나 적혈구 전구체의 파괴가 증가하는 현상
- 원인질환: megaloblastic anemia, pernicious anemia, sideroblastic anemia, thalassemia major, IDA, lead poisoning, aplastic anemia, congenital erythropoietic porphyria, polycythemia vera, etc.
Gilbert’s syndrome
임상양상
- 20대 젊은 성인에서 m/c, mild hyperbilirubinemia의 흔한 원인(유병률 3~10%)
- 병인: glucuronosyl transferase 활성도↓
→ 정상의 10~35%
→ 빌리루빈 포합 장애
→ 일부에서는 간세포의 bile uptake & transport defect
- 유발인자: 금식, 스트레스, 감염, 수술, 심한운동, 과음
진단
- 24시간 금식 후 혈청 빌리루빈의 상승 (운동, 과음, 스트레스, 수술, 감염 후)
- 진단적 phenobarbital 투여 후 혈청 빌리루빈 감소 → Phenobarbital이 glucuronosyl transferase의 activity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기 때문
- 간기능검사나 USG, liver bx는 정상: 간세포의 손상은 없음
치료
- 경과관찰(예후 좋다.)
Crigler-Najjar syndrome
- Type 1 (Severe form) - 더 나쁘다.
- Glucuronosyl transferase가 완전히 결핍
- 치료: 광치료(phototherapy), 간이식
- Type 2 (Moderate form)
- Glucuronosyn transferase가 부분적 결핍
- 치료: phenobarbital
|
| Gilbert's syndrome | Crigler-Najjar syndrome II | Crigler-Najjar syndrome I |
개요 | 유전양식 | AR | AR | AR |
효소활성 | 저하(mild) | 부분 결핍(moderate) | 완전 결핍(severe) | |
임상양상 |
|
|
| |
검사소견 | bilirubin 농도 | 대개 < 3 mg/dL | <20 mg/dL | 20-50 mg/dL |
간기능검사(bilirubin 제외) | 정상 | 정상 | 정상 | |
phenobarbital에 대한 bilirubin 수치 변화① | 감소 | 약간 감소 | 변화없음 | |
간조직소견 | 정상 | 정상 | 정상 | |
치료 |
| 경과관찰 | phenobarbital | phototherapy, 간 이식 |
AR: autosomal recessive
결합 고빌리루빈혈증
Dubin-Johnson syndrome
- Biliary excretion의 장애, MRP2 gene mutation, AR 유전
- Chronic idiopathic jaundice이외 무증상, 다른 간기능 검사도 정상
- 악화인자: 다른 동반 질환, 경구 피임약, 임신 등
- Oral & IV cholecystography에서 GB & biliary tract이 보이지 않음
- 조직소견: “black liver”
암기tip black liver → “까만 듀빈”이라고 외우면 된다.
- 예후 양호, 특별한 치료 요하지 않음
Rotor syndrome
- AR 유전, Dubin-Johnson sydnrome보다 드물다
- Hepatic storage capacity의 장애를 보임
- Cholecystography에서 GB & biliary tract 잘 보임
- 조직소견은 정상
|
| Dubin-Johnson syndrome | Rotor syndrome |
개요 | 유전양식 | AR | AR |
발생기전 | biliary excretion 장애: Biliary transport deficiency of non-bile acid organic anions | hepatic storage capacity 장애: Defective hepatic storage of conjugated bilirubin | |
임상양상 | benign | benign | |
bilirubin 상승 유발요인 | Oral contraceptives, pregnancy, intercurrent illness | Oral contraceptives | |
검사소견 | bilirubin | Conjugated = unconjugated | Conjugated > unconjugated |
간기능검사 | 정상 | 정상 | |
조직검사 | Gross pathology: black liver, histology: lysosomal pigment | 정상 | |
치료 |
| 필요없음 | 필요없음 |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45장, 337장
- Sullivan JI, Rockey DC. Diagnosis and evaluation of hyperbilirubinemia. Curr Opin Gastroenterol 2017;33(3):16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