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형간염
- 수동면역(면역글로불린) 및 능동면역(사백신) 모두 이용가능
- 노출 후 예방
- 노출 후 주로 closed contact (가족, 성접촉, 기관내)가 노출 후 예방 대상임①
- 방법: IG 0.02ml/kg, 노출 직후 가능한 한 빨리 시행
① 통상적인 접촉자(사무실, 공장, 학교 또는 병원), 면역이 되어 있을 것 같은 대부분의 노인들, 혹은 혈청 내에 anti-HAV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 예방은 필요하지 않다.
B형 간염
노출 전 예방(pre-exposure prophylaxis)
- 예방접종 참조
노출 후 예방(post-exposure prophylaxis)
- Anit-HBs가 없는 사람이 HBV 함유 혈액 혹은 체액에 노출된 경우
일반원칙 | HBIG 혈청 내 anti-HBs 역가를 빠르게 상승시키기 위해 | + | B형간염 백신 오래 지속되는 면역의 획득과 노출 후 임상질환을 약화 시키는 효과를 위하여 |
임상상황별 | |||
수직 감염① |
| + |
|
경피적 혹은 점막노출② |
| + |
|
성접촉 |
| + |
|
① HBsAg 양성 산모에서 태어난 유아의 주산기 감염
② 예: 우발적 으로 주사침에 찔리거나 기타 점막침투 혹은 섭취
※ B형 백신과 HBIG를 함께 투여할 때에는 동시에 주는 것이 권장되지만 투여부위는 다른 부위를 선택하여 주사한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3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