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의 원칙
※ 알코올 간질환 및 알코올 간염의 진단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알코올 간질환 | 알코올 간염 |
|
|
알코올 사용장애의 선별: 과음여부의 파악
※ 대한간학회 권고사항(2013년)
|
CAGE 설문검사
- 네 가지 항목의 설문으로 구성된 간단한 검사법
- 장점: ‘예/아니오’로만 응답하도록 단순화되어 있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단점: 알코올사용장애의 전 단계인 위험음주자를 선별하는 데에는 민감도가 떨어진다.
The CAGE 설문지
|
점수: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각각 0과 1점으로 계산된다. 점수가 높을 수도록 알코올 연관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총점이 2점 이상인 경우 임상적으로 의미있다. |
2. AUDIT
-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10개 문항의 설문지로 대부분 지역의 일차의료기관에서 시행하기 적합한 설문 방법
- AUDIT-C
- 음주 소비량과 관련된 AUDIT의 첫 세가지 문항만을 설문하는 축약형
- 단시간 내에 선별 검사를 끝낼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민감도, 특이도가 높다.
-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된 AUDIT-K 존재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K (AUDIT-K) 설문지
| 0 | 1 | 2 | 3 | 4 |
1 얼마나 자주 술을 마십니까? | 안마심 | 월 1회 이하 | 월 2-4회 | 주 2-3회 | 주 4회 이상 |
2 술을 마시면 한번에 몇 잔 정도 마십니까? | 소주 1-2잔 | 소주 3-4잔 | 소주 5-6잔 | 소주 7-9잔 | 소주 10잔 이상 |
3 한번에 소주 1병 또는 맥주 4병 이상 마시는 경우는 얼마나 자주 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4 지난 일년간 한번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었던 때가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5 지난 일년간 평소 같으면 할 수 있던 일을 음주 때문에 실패한 적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6 지난 일년간 술을 마신 다음날 일어나기 위해 해장술이 필요했던 적은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7 지난 일년간 음주 후에 죄책감이 든 적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8 지난 일년간 음주 때문에 전날 밤에 있었던 일이 기억나지 않았던 적이 얼마나 자주 있었습니까? | 없다 | 월 1회 미만 | 월1회 | 매주 | 거의 매일 |
9 음주로 인해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다친 적이 있습니까? | 없다 |
| 있지만, 지난 1년간 없음 |
| 지난 1년간 있음 |
10 친척이나 친구, 의사가 당신이 술 마시는 것을 걱정하거나 당신에게 술 끊기를 권유한 적이 있었습니까? | 없다 |
| 있지만, 지난 1년간 없음 |
| 지난 1년간 있음 |
평가기준
0-7점 | 8-11점 | 12-19점 | 20점 이상 |
정상음주자 | 상습적인 과음자로 주의를 요함 | 문제음주자 혹은 잠재적인 알코올의존자 | 알코올의존자로 분류 |
- AUDIT-C: 얼마나 자주 술을 마십니까? 술을 마시면 한번에 몇 잔 정도 마십니까? 한번에 소주 1병 또는 맥주 4병 이상 마시는 경우는 얼마나 자주 있습니까?
- 적정음주자: 남성, 9점 이하; 여성 5점 이하
- 위험음주자: 남성, 10~19점; 여성, 6~9 점
- 알코올사용장애 추정자: 남성, 20점 이상; 여성, 10점 이상
신체 검사
- 정상에서 간경변의 여러 소견까지 다양하며 ALD진단에 100% 민감하거나 특이소견은 없다.
- 알코올 간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 이하선(parotid gland) 비대, Dupuytrens's contracture 또는 유방비대증, 혈관확장, 고환위축 등 여성화에 관련된 여러소견 ☞ 비알코올 간질환에서보다 더 흔히 관찰된다
- 알코올 남용과 관련된 장기의 이상: 심근병증, 골격근 소모, 췌장기능저하, 알코올 관련 신경독성
진단적 검사
- 간경변이 없는 알코올 지방간이나 간염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소견은 다음과 같다.
검사실 검사
- 만성 음주력을 판단할 수 있는 혈액검사: 혈청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GGT), 평균적혈구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MCV), 탄수화물 결핍 트랜스페린(carbohydrate deficient transferrin, CDT)
- 어느 한 가지 지표보다 여러 가지를 종합하는 것이 판단에 도움이 된다
AST & ALT
- 혈청 AST/ALT치의 비가 1-3배 이상이며 70% 환자에서 2배 이상이고 3배 이상이면 강력히 의심할 수 있다.
- AST와 ALT의 절대수치 증가는 각각 500 IU/L 와 200 IU/L이상을 넘지 않지만 foamy degeneration이나 아세트아미노펜 과다복용 또는 복합적으로 다른 간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예외
GGT, bilirubin, ALP
- 비특이적. 특히 GGT는 알코올 간질환의 임상 상태나 지속적인 음주여부 또는 음주 후 검사시점에 따라 많은 변동을 보인다.
Carbohydrate-deficient transferring
- 많은 연구가 되었지만 진단의 민감도나 특이도가 낮다.
영상검사
- 유용성: ① 지방증 선별 ② 간질환의 진행 정도와 합병증 여부 평가 ③ 담도질환, 간종양 등 다른 원인 질환 배제
- 그러나 영상검사만으로 간질환의 원인이 알코올이라고 확진할 수 없다.
초음파
- 첫 검사로 흔히 시행
- 간이 30% 이상 지방으로 차 있는 경우 민감도/특이도 91%, 93%. 30%미만의 경우에는 민감도가 64% 정도
CT
- 간과 비장의 Hounsfield unit (HU) 차이를 구하여 10 HU 이상이면 지방간(30% 이상) 가능성↑
MRI
- in and out of phase technique: 지방간에 대한 민감도/특이도 95%/98%
기타 검사
- transient elastography: Controlled attenuation parameter (CAP)
- MRI: spectroscopy, elastography
예후 예측지표(Prognostic Scoring System)
- 알코올 간질환 특이적 예후 모델: Maddrey’s discriminant function (MDF), Glasgow alcoholic hepatitis score (GAHS), age-bilirubin-INR-creatinine score (ABIC), Lille model, model for alcoholic hepatitis to grade the severity in an Asian patient cohort (MAGIC)
- 알코올간염의 진단에서 중증환자의 조기 진단은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중요하다.
알코올 간염의 예후예측 지표(Prognostic Scoring Systems)
점수시스템 | 예측공식 |
|
|
| 나쁜 예후 |
Maddrey(modified) discriminant function | MDF=4.6(환자의 PT- 대조군 PT) + 총빌리루빈(mg/dl) | 나쁜 예후: 점수≥32 | |||
MELD 점수① | MELD 점수= 3.8 × log e (bilirubin in mg/dL) + 11.2 × log e (INR) + 9.6 × log e (creatinine mg/dL) + 6.4 | 나쁜 예후: 점수>18 | |||
Glasgow 알코올간염 점수(GAH score)
| 점수 | 1 | 2 | 3 | 나쁜 예후: 점수>8
|
나이 | <50 | ≥50 | -- | ||
WBC(109/L) | <15 | ≥15 | -- | ||
Urea(mmol/L) | <5 | ≥5 | -- | ||
PT ratio | <1.5 | 1.5-2.0 | >2.0 | ||
빌리루빈(mg/dl) | <7.3 | 7.3-14.6 | >14.6 |
① The MELD score는 90일 사망률 예측에도 사용된다. 온라인 계산기가 제공된다. / www.mayoclinic.org/meld/mayomodel7.html.
※ 대한간학회 권고사항(2013년)
|
참고자료
- 이헌주. 알코올성 간질환의 최신지견과 전망. 대한간학회지 2010;:23–44.
- 대한간학회. 2013 알코올 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 O’Shea RS, Dasarathy S, McCullough AJ. Alcoholic liver disease. Hepatology 2010;51(1):307–28.
- LEE TH. Diagno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 Invasive or Non-invasive? Postgraduate Course 2015: Fatty Liver Disease (ASH & N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