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간농양이란?
- 간은 세망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하나로서 인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실패하면서 간의 감염 병소에서 인체의 방어기전의 결과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간농양이다.
분류
-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성 간농양으로 나눌 수 있다.
| 화농성(pyogenic) 간농양 | 아메바(amebic) 간농양 |
감염 경로 |
|
|
원인균 |
|
|
임상양상 |
|
|
검사소견 |
|
|
진단 |
|
|
치료 |
|
|
화농성 간농양 (pyogenic liver abscess)
병태생리
간농양 발생의 위험인자(risk factor)
- 당뇨
- 간경변증
- 면역저하상태
- proton-pump inhibitor 투여
- 고령
- 남성
감염경로
- biliary tract infection(cholangitis)의 ascending infection 형태가 m/c
간농양의 발생경로
간농양이 발생하는 hepatic invasion 경로는 크게 4가지이다.
① biliary tree, ② portal vein, ③ hepatic artery, ④ direct extension from contiguous focus of infection
원인균
E. coli, Klebsiealla pneumoniae①
① 서양에서는 E. coli가 m/c이지만 최근 국내에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Klebsiella pneumoniae로 보고되어 서양과는 매우 다른 독특한 역학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한 국내 다기관 연구 조사에서 K. pneumoniae는 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 중 78.2%를 차지하였다.
진단
- 증상과 영상의학적 진단(CT, US) + 혈액검사상 감염소견, 농에서 균주 배양으로 확진
- 원인균 진단을 위해 가능한 한 항생제 치료 시작 전에 농양을 천자하는 것이 좋다.
임상양상①
- fever: m/c
- RUQ pain, guarding, tenderness
- 구역, 구토, 체중감소 등의 비특이적 증상도 가능
- 노인에서는 불명열(FUO)만 나타날 수도 있다.
① 50% 정도에서만 발열, 간 종대, 우상복부 압통, 황달 등의 전형적인 증상이 있고 나머지 절반은 간 질환을 의심할 만한 직접적인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검사실 검사
- LFT: 1) ALP ↑ : most reliable single lab finding 2) 50% 정도에서 bilirubin, aminotranferase(AST, ALT) 상승
- leukocytosis, anemia, hypoalbuminemia 동반 가능
| 증상/징후 | 발생빈도 |
증상
| Malaise | 89% |
Chills | 69% | |
Fever | 59-90% | |
Abdominal pain | 39-84% | |
Vomiting | 30-32% | |
Jaundice | 19-21% | |
징후
| Tachycardia | 52% |
Guarding | 14% | |
Hepatomegaly | 16-52% | |
Murphy’s sign | 16% | |
Ascites | 18-21% | |
검사소견
| C-reactive protein 상승 | 100% |
WBC 상승 | 74% | |
Bilirubin 상승 | 75% | |
GGT 상승 | 75% | |
ALT 상승 | 73% | |
AST 상승 | 67% | |
ALP 상승 | 71% |
영상검사
- 단순흉부촬영: 우측 횡경막의 상승과 우측 폐 기저부의 음영 증대, 우측 흉수 소견
- 단순복부촬영: 가스를 형성하는 균에 의한 경우 공기-액체 레벨을 보일 수 있다.
- 초음파: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저에코성 병변
- CT: 저밀도 병변 ± rim or septal enhancement
- rim(wall) enhancement, septal enhancement
- imaging signs: double target sign, cluster sign
간농양
- rim(wall) enhancement
- double target sign
치료
항균요법 | + | 적절한 배액 (mainstay) |
농을 형성했기 때문에 혐기균 커버필요 cefotaxime + metronidazole |
| 경피적 or 수술적 배농술 |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127장
-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0;42(6):323.
- Jun JB. Klebsiella pneumoniae Liver Abscess. Infect Chemother 2018;50(3):210–8.
- Mavilia MG, Molina M, Wu GY. The Evolving Nature of Hepatic Abscess: A Review. J Clin Transl Hepatol 2016;4(2):158–68.
- Bächler P, Baladron MJ, Menias C, et al. Multimodality Imaging of Liver Infections: Differential Diagnosis and Potential Pitfalls. RadioGraphics 2016;36(4):1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