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진단기준
임상증상
진단적 검사
검사실 검사
CBC, CRP
간기능검사
alkaline phosphatase
Bilirubin
AST/ALT
GGT
Serum amylase
영상 검사
중증도 분류
Grade III (Severe) 급성 담관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관/계통의 기능부전(dysfunction)을 동반한 급성 담관염
Grade II (moderate) 급성 담관염: 다음 조건 중 2가지 이상 해당
Grade I (mild) 급성 담관염
진단기준
항목 |
| Threshold | |
1. 전신염증(systemic inflammation) | 1-1. 발열 and/or 오한(shaking chills) | BT | >38 |
1-2. 검사실 검사: 염증반응의 증거 | WBC | <4, 혹은 >10 | |
CRP | ≥1 | ||
2. 담즙정체(cholestasis)
| 2-1. 황달 | T-bil | ≥2(mg/dl) |
2-2. 검사실 검사: 간기능검사 이상 | ALP(IU) | >1.5 x STD | |
γGTP | >1.5 x STD | ||
AST | >1.5 x STD | ||
ALT | >1.5 x STD | ||
3. 영상소견 | 3-1. 담관확장(biliary dilatation) | - | - |
3-2. 원인(협착, 담석, 스텐트 등)을 추정할 수 있는 증거 | - | - | |
진단 의심: 항목 1중 1개 + 항목 2 혹은 3 중 한 개 진단 확실: 항목 1중 1개 + 항목 2 중 1개 + 항목 3 중 한 개 |
1-2: 백혈구 수(WBC) 이상, CRP 상승, 다른 염증을 시사하는 소견 2-2. 혈청 ALP, cGTP (GGT), AST/ALT 상승
|
임상증상
non-suppurative | → | suppurative(or toxic) |
Charcot’s triad① |
| Reynolds’s pentad② |
|
|
|
① Charcot's triad 3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50-70%이다.
② 3.5-3.7%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위중한 상태를 의미한다.
진단적 검사
검사실 검사
CBC, CRP
- 백혈구증가증: 흔하다
- CRP: 증가
간기능검사
alkaline phosphatase
- alkaline phosphatase 증가가 가장 특징적(90% 이상에서 상승)
Bilirubin
- 총빌리루빈은 폐쇄의 중증도 및 이환기간에 비례하여 상승한다. (악성폐쇄malignant obstruction에서 더 크게 상승)
AST/ALT
- 종종 1-2배 상승
GGT
- 상승
Serum amylase
- 환자의 40%에서 상승
영상 검사
- 담도 폐쇄 등 담관염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찾아내는 데 유용
급성 담관염이 의심될 경우 시행하는 영상검사
검사 | 장점 | 단점 |
복부 초음파 |
|
|
CT |
|
|
MRI |
|
|
내시경초음파 |
|
|
PTC |
|
|
ERCP |
|
|
중증도 분류
Grade III (Severe) 급성 담관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관/계통의 기능부전(dysfunction)을 동반한 급성 담관염
- Cardiovascular dysfunction
Hypotension requiring dopamine 5µg/kg/min, or any dose of norepinephrine - Neurological dysfunction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 Respiratory dysfunction
PaO2 /FiO2 ratio < 300 - Renal dysfunction
Oliguria, serum creatinine >2.0 mg/dl - Hepatic dysfunction
PT-INR > 1.5 - Hematological dysfunction
혈소판수<100,000/mm3
Grade II (moderate) 급성 담관염: 다음 조건 중 2가지 이상 해당
- Abnormal WBC count
>12,000/mm3, <4,000/mm3 - 고열
≥39℃ - 연령
≥75세 - 고빌리루빈혈증
총 빌리루빈≥5 mg/dL - 저알부민혈증
Grade I (mild) 급성 담관염
- 초기 진단 당시 Grade III 혹은 Grade II criteria에 해당하지 않는다.
- 조기 진단, 조기 담도배액술, 원인에 따른 치료, 항생제 투여가 치료의 근간을 이룬다. 초기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조기 담도배액술 혹은 원인에 따른 치료 시행
참고자료
- Yokoe M, Takada T, Strasberg SM, et al. TG13 diagnostic criteria and severity grading of acute cholecystitis (with video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3;20(1):35–46.
- Qureshi WA. Approach to the patient who has suspected acute bacterial cholangiti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06;35(2):409–23.
- Yusoff IF, Barkun JS, Barkun A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olecystitis and cholangiti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03;32(4):1145–68.
-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0;42(6):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