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온쓸개낭종(담관낭, choledochal cyst)란?
분류
Todani 분류
임상증상 및 합병증
임상증상: 발현되는 시기에 따라 영아형과 성인형으로 분류
합병증
진단
복부초음파
CT
MRCP
Cholangiography
치료
온쓸개낭종(담관낭, choledochal cyst)란?
간내담관 혹은 간외담관에 낭포성 팽대를 일으키는 질환
분류
Todani 분류
1형: 간 외담관에 국한된 담관의 확장, 확장된 낭종의 모양과 췌담관합류이상 동반 유무에 따라 3가지로 분류 | ||
Ia형: 췌담관합류이상(+), 간 외 담관의 낭성 확장 | Ib형: 췌담관합류이상(-), 간 외 담관의 일부만 확장 | Ic형: 췌담관합류이상(+), 간 외 담관 전체가 원주 모양cylindrical, diffuse 확장 |
II형: 췌담관합류이상은 없고 간 외 담관낭종이 게실과 같이 확장 | - | III형: 십이지장 내의 총담관 원위부에 낭이 있는 형태 |
- | ||
IV형: 여러 개의 낭종이 있는 경우 | V형: 간내담관에만 국한된 낭종, 췌담관합류이상(-) | |
IVa형: 간내담관과 간외담관에 낭종이 여려 개 같이 있는 경우 | IVb형: 간외담관에만 여러 개의 낭종이 있는 경우 | |
임상증상 및 합병증
임상증상: 발현되는 시기에 따라 영아형과 성인형으로 분류
영아형 | 성인형 |
|
|
① 실제 이 세 가지가 다 나타나는 경우는 20% 이하로 드물다.
합병증
- recurrent cholangitis
- 악성화 위험성: 담도계 악성종양: 3~26% 에서 발병, 일반인에 비하여 1,000 ~2,000 배 높은 발생률
진단
복부초음파
- 담관낭종이 의심되면 복부초음파를 우선적으로 시행
CT
- 담관낭의 크기, 형태와주위 조직과의 관계 규명에 필요
- 담관낭종에서 호발하는 악성종양을 조기에 진단
MRCP
- 담관낭의 진단 및 훼담관합류 이상을 진단하는데 일차 검사로서의 유용성 증가
Cholangiography
-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담관낭종 진단에 가장 예민도가 높은 검사
- 담관낭종 확진, 낭종의 해부학적 구조 파악, 췌담관합류이상 동반유무 평가
- PTC(percutaneous hepatic cholangiography)
치료
- 낭종 제거(cyst excision) + 담도장관문합술(biliary-enteric anastomosis)①
① =Roux-en-Y 담관-공장문합술(choledochojejunostomy) / =Roux-en-Y 간관-공장문합술(hepaticojejunostomy)
참고자료
-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3판(2011). P1002-1006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2011). P752-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