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존적 치료(Supportive care)
금식(NPO) & 수액보충
산소공급
통증조절
경비위배액
영양보충
항생제 투여
췌장효소 억제재
기타 약물투여
급성 췌장염의 평가 및 치료
주관적(subjective) 소견
객관적(objective) 소견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
평가(assessment)
치료계획(plan)
보존적 치료(Supportive care)
-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므로 췌장 분비를 줄이는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다.
금식(NPO) & 수액보충
- 조기에 다량의 수액보충 및 모니터링이 중요
- 수액보충
- 일본지침: 첫 24시간 내에 소변량 등을 지표로 60~160 ml/kg/day를 초기에 공급하고 이중 1/2~1/3을 첫 6시간 이내에 투여
- Pandol SJ (Gastroenterology, 2007): 수분결핍상태 500~1,000mL/hr 주입(수분결핍이 되지 않은 경우: 250~350mL/hr) → 이후 임상양상을 보고 1~4시간마다 수액 주입량 조정
- 모든 췌장염 환자에서 4 L 이상의 과도한 수액공급이 필요하지는 않다.
- 모니터링
- 지표: 생체징후, 소변량, 혈청 헤마토크릿 → 매 4-6시간 간격으로 측정할 것
- 초기 수액공급 기준(심혈관/신기능 유지 목적): 평균 혈압 65mmHg 이상, 소변량 > 0.5~1 ml/kg/hr
산소공급
- 첫 24~48시간 동안 투여, SpO2 95% 이상 유지
통증조절
- 마약성 진통제. 복통 조절이 치료 초기에 매우 중요
경비위배액
- 경증의 급성 췌장염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나 마비성 장폐쇄나 잦은 구토 등이 있을 때 필요
영양보충
- 경증: 자연적인 식이진행은 대부분 3~7일내 가능하므로 비경구 영양법이나 경장관 영양법(enteral nutrition)이 필요하지는 않다.
- 중증: 장마비 등이 없다면 경장관 영양법을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경정맥 영양법(intravenous hyperalimentation) 보다 우수
- 경장관 영양법: 경비공장 배액관(nasojejunal tube) > 경비위 배액관(nasogastric tube)
- 경구식이: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충분하고 지방이 전체 에너지 섭취의 30% 미만의 저지방 식이
항생제 투여
- 중증의 췌장염에서 감염과 연관된 합병증 빈도 감소를 목적으로 조직침투가 좋은 광범위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해 볼 수 있다.
- ciprofloxacin, ofloxacin, pefloxacine, imipenem
췌장효소 억제재
- 중증의 췌장염 환자에서 초기 합병증 빈도나 사망률 감소 목적으로 투여
- protease inhibitor, somatostatin, octreotide
기타 약물투여
- H2-blocker/PPI: 급성 위점막 병변이나 출혈성 궤양을 동반한 경우 투여가능
급성 췌장염의 평가 및 치료
주관적(subjective) 소견
- 통증 양상: 지속적이고 심한 급성 통증. 명치부위(epigastric). 등쪽으로 방사. 구역/ 구토 동반. 몸을 앞으로 숙이면 통증 경감
- 주요병력: 만성 알코올중독, 담석
객관적(objective) 소견
- 경증: 안절부절, 미열, 빈맥, 경한 명치통증
- 중증: 경증 소견에 더해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인다.
- 현저한 압통 및 근육보호(muscle guarding), 복부팽만, 장음소실 전신적 징후: 저혈압, 쇼크, 황달, 호흡기계소견(e.g. rales, pulmonary edema)
- 검사실 소견 : 혈중/요중 췌장효소 증가(e.g., amylase, lipase, CRP, trypsinogen activation peptide) 측정고려항목: Liver function tests, Ca, triglyceride, CBC, ABGA, glu
- 영상검사 : 초음파, 조영증강 CT 혹은 MRI (Cr수치가 높을 경우 고려), MRCP or ERCP: CBD stone이 크게 의심되는 경우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
- 급성 또는 만성 알코올 섭취, 담석질환, 소화성 궤양, 궤양천공, 충수염초기, 장폐쇄, 장허혈, 약, 고중성지질혈증, 고칼슘혈증, 감염, 외상후 손상, 임신, 호흡기질환, 신장질환, 심혈관질환
평가(assessment)
| Ranson’s Criteria | APACHE Ⅱ | CT Severity index |
경증 췌장염 | ≤3 | <8 | <7 |
중증 췌장염 | >3 | ≥8 | ≥7 |
치료계획(plan)
경한 췌장염의 치료 | 중증 췌장염의 치료 |
|
|
참고자료
- Stevens T, Parsi MA, Walsh RM. Acute pancreatitis: problems in adherence to guidelines. Cleve Clin J Med 2009;76(12):697–704.
- LEE TH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cute Pancreatitis: Initial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13;18(2):24-30
- Carroll JK, Herrick B, Gipson T, Lee SP. Acute pancreatitis: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07;75(10):15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