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담낭 용종이란?
담낭 용종의 종류 및 분류
진단
복부초음파
담석증
담낭용종
담낭암
복부 CT
내시경 초음파
조영증강초음파/고해상초음파
기타 검사
복강경초음파
MRI
PET
종양표지자
치료
치료 시 고려할 점
언제 치료를 해야하나?
어떤 치료방법(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가?
담낭용종의 치료흐름도
개요
담낭 용종이란?
- 담낭 용종은 담낭벽의 점막층 표면에 융기된 병변들을 통칭하는 것
- 엄밀히 말하면 “담낭의 용종 병변”으로 부르는 것이 올바른 표현
담낭 용종의 종류 및 분류
담낭 용종의 조직학적 분류
Benign neoplastic polyps | Benign non-neoplastic polyp | Malignant polyp |
|
|
|
|
진단
복부초음파
- 담낭 용종의 진단에 있어 가장 유용한 검사
- 담낭 용종의 진단 및 추적검사는 초음파를 기본으로 시행
담석증
- 담낭내강에 강한 에코의 존재
- 강한 에코 후방의 음향음영
- 체위 변화에 따른 강한 에코의 이동
담낭용종
- 작은 에코 덩어리, 담낭벽과 유사한 에코(고에코)
- 후방에코(-)
- 체위의 변화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담낭암
- 담낭 내 종괴형성
- 국소적 혹은 미만성 담낭벽 비후
- 변연이 불규칙한 용종양 병변
- 담낭의 정상적인 완만한 윤곽이 소실되고 대신 파동형의 울퉁불퉁한 모양으로 대치되는 등의 소견
- 종괴가 간으로 침범한 소견
- 림프절종대, 혈관 침범, 간전이, 복수, 담관확장 등
복부 CT
- 초음파 검사상 악성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 ☞ 다음과 같은 목적위해 CT촬영가능
- 감별 진단
- 간으로의 침윤 여부, 간이나 타 장기로의 전이 혹은 림프절 전이여부
- 악성을 시사하는 CT 소견[^3]: 1-2 cm 크기의 용종 중
- 무경성이면서 경계가 불분명할수록
- 조영증강이 많을수록(hyperenhancement)
내시경 초음파
- 복부 초음파 검사로 선종 등의 종양성 병변을 감별하기 어려울 경우 EUS 시행가능
- 현재까지의 검사 방법 중 신생물 용종 진단의 민감도 및 특이도가 가장 높다.
조영증강초음파/고해상초음파
- 조영증강 초음파검사나 고해상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내시경 초음파검사를 대신하여 침윤 깊이에 대한 검사로 시행할 수 있다.
- Cholesterol polyp
- Gallbladder adenoma
- Cholesterol polyp
둘 다 round-shaped masses. 그러나 adenomas는 균질한 증강패턴(homogeneous enhancement)을 보이고 cholesterol polyps는 비균질한 증강패턴(heterogeneous enhancement)를 보인다.
기타 검사
복강경초음파
-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 담낭 용종성 병변의 담낭 벽 침윤 깊이를 판단하기 위해 시행가능
MRI
- 악성이 의심 되거나 담낭 선근종증이 의심될 때 감별진단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시행가능
PET
- 다른 선별검사를 시행한 후에도 악성 종양을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 담낭 용종의 수술 전 선별검사로서 시행가능
종양표지자
-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 CEA, CA 19-9 등을 시행가능
치료
치료 시 고려할 점
언제 치료를 해야하나?
- 담낭용종의 치료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종 혹은 선암의 가능성이다.
- 수술 치료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악성 위험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
악성 위험인자 | 한국간담췌외과학회 권고안 |
용종의 크기(장경) |
|
개수와 모양 |
|
진단 당시의 연령 |
|
담낭 담석 동반 유무 |
|
- 증상을 동반하는 담낭 용종의 경우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어떤 치료방법(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가?
- 현재 가장 추천되는 치료법은 복강경 담낭절제술
- 용종의 크기가 18 mm 이상이면 개복수술을 시행
담낭용종의 치료흐름도
- 우선 증상이 있는 담낭 용종은 크기에 관계없이 수술 시행
- 증상이 없는 경우 먼저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장경이 10 mm 이상인지 확인
- 10 mm 이상인 경우 ☞ 수술치료
- 10 mm 이하인 경우 ☞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수술 치료의 필요성 결정
|
- 어떻게, 언제까지 추적관찰할
것인가?
- 어떻게? 진단 후 처음 1년간은 3-6개월 간격, 그 이후에는 매년 초음파 검사 시행 추천, 6개월-1년 간격으로 시행
- 언제까지?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 10년 이상의 장기추적관찰 권고
참고자료
- Lee ES. Recent Updat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llbladder Polyps. Korean J Pancreatobiliary 2014;19(2):64-70
- 방승민. 담낭용종의 자연 경과 및 치료.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336–40.
- 한국간담체외과학회. 담낭 용종 진료 권고안. 2010;
- Gallahan WC, Conway JD.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llbladder polyp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0;39(2):359–367, x.
- Song ER, Chung WS, et al. CT differentiation of 1-2 cm gallbladder polyps: benign vs malignant. Abdominal imaging, 2014;39(2):334-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