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암


목차

개요


특징

  1. 여자에서 더 호발(남성보다 3배 정도 더 흔하게 발생)
  2. 고령에서 많다.
  3. 주로 선암(90%), 주로 림프계를 통해 전이, 혈행성도 가능

수술 전에 담낭암으로 진단된 경우는 전체 담낭암 환자의 1/3 정도이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다양한 담낭 질환의 수술 후에 우연히 발견됩니다.

 

위험인자

  1. 담석: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담석 크기가 클수록 위험도↑(3cm 이상인 경우 10배의 상대위험도)
  2. 담낭용종: 크기가 가장 중요한 담낭암 예측인자 → 크기 10 mm 기준
  3. 담낭벽의 비후: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선근종증(adenomyomatosis)
  4. 담췌관 합류 이상(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 AUPBD)
  5. 석회화 담낭(porcelain gallbladder)
  6. 비만
  7. 만성 염증: 장티푸스 보균자, 일차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lerosing cholangitis, PSC)
  8. 유전 및 인종적 요인
  9. 나이: 담낭암의 중요 위험인자. 고령일 수록 호발(담낭암 발생의 중간 나이 67세)

 



진단

 

임상 양상

  • 무증상: 담낭암의 일반적인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병이 진행할 때까지는 대개 무증상
  • 그 외 증상: 우상복부 통증, 체중 감소 → 조기 담낭암에서 발견되는 빈도가 낮고 비특이적 

담낭암의 조기 발견에 있어 임상증상의 역할이 크지 않습니다.

 

진단적 검사

 

종양표지자

  • CA 19-9, CEA
  • 주로 진행된 병기에서 상승하고 특이도가 낮아 담낭암 진단에 단독으로 사용되기는 어렵다.

 

영상 검사

  • CT나 US와 같은 영상검사가 조기 담낭암을 발견하기 위한 가장 유력한 진단 도구이다.
    1. 초음파: 일반적으로 진단 정확도가 90%에 달하는 복부 US가 담낭을 촬영하는 첫 검사로 많이 이용된다.
    2. CT: 악성 용종이 의심될 때 수술 전 검사 및 주변 장기와 원격 전이 확인을 목적으로 시행

 

병기

원발종양(T) 


 

T1

종양이 고유판 또는 근육층까지 침범

T1a

종양이 고유판을 침범

T1b

종양이 근육충까지 침범

T2

종양이 근육층 주위 결체 조직으로 침범, 장막이나 간으로의 침범은 없음 

T3

종양이 장막을 통과 또는 간을 직접 침범, 그리고/또는 한 개의 주위 장기나 구조를 직접 침범(위, 십이지장, 대장, 췌장, 대망, 간외담관)

T4

종양이 주문맥 또는 간동맥 또는 두 개 이상의 간외장기나 구조를 침범 

국소 림프절(N)

N0

국소 림프절전이가 없음 

N1

국소 림프절전이가 있음 

N2

복강동맥, 십이지장주위, 췌장주위, 상장간막동맥주위 림프절전이가 있음 

원격 전이(M)

M0

원격전이가 없음 

M1

원격전이가 있음 

 

 


치료

  • 담낭암의 치료는 근육층을 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 담낭의 점막이나 근육층에 국한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조기담낭암에 해당하며 암침윤 깊이가 근육층을 뚫은 T2 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는 진행성 담낭암에 해당한다.

조기 담낭암

진행성 담낭암

T1a(점막 및 점막 하) 및 T1b(근육층 침범)에 국한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암침윤 깊이가 근육층을 뚫은 T2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단순 담낭절제술

확대 담낭절제술(국소 림프절 침윤이 높아지므로)

① 근육층까지 암 침윤이 있는 T1b 담낭암의 경우 광범위 담낭절제술을 주장하는 쪽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기담낭암의 경우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다. 

② T2 병기의 경우 여전히 이견이 남아 있지만 현재는 확대 절제술이 대세이다. T2 병기에서 확대 절제술의 범위는 기본적으로 IVb+V 분절 절제 및 간십이지장인대림프절 곽청술이다.

참고자료

  • Gourgiotis S, Kocher HM, Solaini L, Yarollahi A, Tsiambas E, Salemis NS. Gallbladder cancer. Am J Surg 2008;196: 252-264. 
  • Seong B, Song JY, Bae SY,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Stage Gallbladder Cancer.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8(2):161.
  • Srivastava K, Srivastava A, Mittal B. Potential biomarkers in gallbladder cancer: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Biomarkers 2013;18:1-9.
  •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3판(2011). P1015-1020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교과서(2011). p754-75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