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특징
- 여자에서 더 호발(남성보다 3배 정도 더 흔하게 발생)
- 고령에서 많다.
- 주로 선암(90%), 주로 림프계를 통해 전이, 혈행성도 가능
수술 전에 담낭암으로 진단된 경우는 전체 담낭암 환자의 1/3 정도이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다양한 담낭 질환의 수술 후에 우연히 발견됩니다.
위험인자
- 담석: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담석 크기가 클수록 위험도↑(3cm 이상인 경우 10배의 상대위험도)
- 담낭용종: 크기가 가장 중요한 담낭암 예측인자 → 크기 10 mm 기준
- 담낭벽의 비후: 황색 육아종성 담낭염(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선근종증(adenomyomatosis)
- 담췌관 합류 이상(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 AUPBD)
- 석회화 담낭(porcelain gallbladder)
- 비만
- 만성 염증: 장티푸스 보균자, 일차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lerosing cholangitis, PSC)
- 유전 및 인종적 요인
- 나이: 담낭암의 중요 위험인자. 고령일 수록 호발(담낭암 발생의 중간 나이 67세)
진단
임상 양상
- 무증상: 담낭암의 일반적인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병이 진행할 때까지는 대개 무증상
- 그 외 증상: 우상복부 통증, 체중 감소 → 조기 담낭암에서 발견되는 빈도가 낮고 비특이적
담낭암의 조기 발견에 있어 임상증상의 역할이 크지 않습니다.
진단적 검사
종양표지자
- CA 19-9, CEA
- 주로 진행된 병기에서 상승하고 특이도가 낮아 담낭암 진단에 단독으로 사용되기는 어렵다.
영상 검사
- CT나 US와 같은 영상검사가 조기 담낭암을 발견하기 위한 가장 유력한
진단 도구이다.
- 초음파: 일반적으로 진단 정확도가 90%에 달하는 복부 US가 담낭을 촬영하는 첫 검사로 많이 이용된다.
- CT: 악성 용종이 의심될 때 수술 전 검사 및 주변 장기와 원격 전이 확인을 목적으로 시행
병기
원발종양(T)
| T1 | 종양이 고유판 또는 근육층까지 침범 |
T1a | 종양이 고유판을 침범 | |
T1b | 종양이 근육충까지 침범 | |
T2 | 종양이 근육층 주위 결체 조직으로 침범, 장막이나 간으로의 침범은 없음 | |
T3 | 종양이 장막을 통과 또는 간을 직접 침범, 그리고/또는 한 개의 주위 장기나 구조를 직접 침범(위, 십이지장, 대장, 췌장, 대망, 간외담관) | |
T4 | 종양이 주문맥 또는 간동맥 또는 두 개 이상의 간외장기나 구조를 침범 | |
국소 림프절(N) | N0 | 국소 림프절전이가 없음 |
N1 | 국소 림프절전이가 있음 | |
N2 | 복강동맥, 십이지장주위, 췌장주위, 상장간막동맥주위 림프절전이가 있음 | |
원격 전이(M) | M0 | 원격전이가 없음 |
M1 | 원격전이가 있음 |
치료
- 담낭암의 치료는 근육층을 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 담낭의 점막이나 근육층에 국한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조기담낭암에 해당하며 암침윤 깊이가 근육층을 뚫은 T2 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는 진행성 담낭암에 해당한다.
조기 담낭암 | 진행성 담낭암 |
T1a(점막 및 점막 하) 및 T1b(근육층 침범)①에 국한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암침윤 깊이가 근육층을 뚫은 T2②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
단순 담낭절제술 | 확대 담낭절제술(국소 림프절 침윤이 높아지므로) |
① 근육층까지 암 침윤이 있는 T1b 담낭암의 경우 광범위 담낭절제술을 주장하는 쪽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기담낭암의 경우 단순 담낭절제술을 시행한다.
② T2 병기의 경우 여전히 이견이 남아 있지만 현재는 확대 절제술이 대세이다. T2 병기에서 확대 절제술의 범위는 기본적으로 IVb+V 분절 절제 및 간십이지장인대림프절 곽청술이다.
참고자료
- Gourgiotis S, Kocher HM, Solaini L, Yarollahi A, Tsiambas E, Salemis NS. Gallbladder cancer. Am J Surg 2008;196: 252-264.
- Seong B, Song JY, Bae SY,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Stage Gallbladder Cancer.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8(2):161.
- Srivastava K, Srivastava A, Mittal B. Potential biomarkers in gallbladder cancer: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Biomarkers 2013;18:1-9.
- 김정룡. 소화기계 질환 3판(2011). P1015-1020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교과서(2011). p754-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