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진단


목차

임상양상

 

흔한 증상(symptom triad) – 모든 췌장암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님!

  1. 복통: 상복부, 등으로 방사, 앞으로 숙이면 호전
  2. 체중감소: 가장 흔한 증상
  3. 황달
    1. head cancer의 80%, body & tail cancer의 6%에서 발생
    2. 검은색 소변, 가려움증이 동반

 

기타 임상양상

  1. Glucose intolerance: 췌장암 진단 후 2년 이내 발생
  2. Courvoisier’s sign: 늘어난 무통성의 담낭이 만져짐
  3. Thrombophlebitis

Cf. Trousseau’s syndrome: 췌장암 + 말초정맥혈전증

 

발생위치에 따른 임상양상

 

head cancer

Body& tail cancer

빈도

70%

Body 20%, Tail 10%

임상증상

총담관 폐쇄 → 통증이 없는 진행성 황달

상복부 통증, 복부 종괴, 체중감소 등 통증이 더 심하다.(발견 시 크기가 큰 상태이기 때문)

증상 발현 당시 상태

 less advanced

more advanced

수술

pancreatiocoduodenectomy(whipple's procedure, PPPD)

distal subtotal pancreatectomy ± splenectomy

예후

poor

worse(증상이 늦게 나타나 전이가 많고 예후가 불량)

 



진단적 검사

 

Tumor marker

  • CA 19-9(carbohydrate antigen 19-9 or cancer-associated antigen 19-9)
    • 췌장암에서 가장 유용한 marker
    • 치료반응 및 추적 관찰에 유용(조직검사를 대체하진 못 함)
  • CEA: 췌장암에는 민감도가 다소 떨어진다.

 

영상의학 검사


복부 초음파

  • 폐쇄성 황달 환자의 screening에 유용

 

복부 CT

  • 복부 초음파보다 높은 민감도, 가장 유용한 검사
  • 소견
    1. 췌장 종괴 (저음영 병변)
    2. 췌관 확장 및 실질의 위축
    3. Head cancer에서는 담관, 십이지장의 확장도 관찰 가능
  • 췌장암이 의심되나 CT 소견이 불분명한 경우 EUS or ERCP를 시행한다.
  • 절제가능성 평가에도 가장 유용: 다중검출 CT

 

췌장암의 복부 CT

  • 저음영의 췌장 종괴가 관찰된다.
    이미지
  • 췌관 확장 및 주변 실질의 위축이 관찰된다.
    이미지

 

ERCP with pancreatic duct cytology

  • 작은 췌장질환들을 밝히고 췌관 또는 담관 협착이나 폐쇄를 인지 하는 데 유용하다.

 

MRCP

  • 담도와 췌관 확장의 위치와 정도를 정확하게 나타내주는 비침윤성 방법
  • Double duct sign: 담관과 췌관이 함께 확장

 

췌장암의 MRCP

이미지

총담관(흰색 화살표)과 췌관(검은색 화살표)의 확장이 동시에 관찰된다. MRCP 소견.


EUS

  • 3cm 이하의 종양을 인지하는 데 매우 민감(2cm 미만의 경우 CT보다 더 민감)
  • 혈관 침윤과 림프절 침범 등의 국소 병기 판단에 유용

 

조직검사(EUS/CT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 확진 방법
  •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수술 금기증에 해당할 때 시행(절제 가능한 경우 곧바로 수술)
  • 암을 퍼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

 

 


병기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eighth edition staging system for pancreatic cancer

Primary tumor (T)

Regional lymph nodes (N)

Distant metastases (M)

T1 Maximum tumor diameter ≤2 cm 

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M0 No distant metastasis

 

T2 Maximum tumor diameter >2 cm but ≤4 cm 

N1 Metastasis to 1-3 regional lymph nodes 

M1 Distant metastasis

 

T3 Maximum tumor diameter >4 cm 

N2 Metastasis to ≥4 regional lymph nodes

 

 

T4 Tumor involves the celiac axis or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unresectable primary tumor)

 

 

 

Stage

Stage IA 

T1 

N0

M0

Stage IB 

T2 

N0 

M0

Stage IIA 

T3 

N0 

M0

Stage IIB 

T1-T3 

N1 

M0

Stage III 

Any T 

N2 

M0

T4 

Any N 

M0

Stage IV 

Any T 

Any N 

M1


AJCC 8판

  • T병기와 N병기를 새로 분류
  • T병기: 기존의 T병기 분류에서 논란이 있었던 주변장기의 침윤 여부를 없애고 종양의 크기와 수술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핵심이 되는 주요 혈관의 침범유무에 따라 새로 분류
  • N병기: 종양세포가 침윤된 림프절의 개수에 따라 N병기를 3개로 세분화하여 각 병기에 따른 생존기간의 층화가 보다 명확해지도록 시도

실제 임상에서는 ‘절제 가능(resectable)’, ‘경계 절제 가능(borderline or marginal resectable)’, ‘국소진행(locally advanced)’, ‘원격전이(metastatic)’로 분류하는 방식이 보다 실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근치적 절제가 가능한 병기는 ‘절제 가능’과 ‘경계 절제 가능’ 단계의 췌장암입니다.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79장
  • Ducreux M, Cuhna AS, Caramella C, et al. Cancer of the pancreas: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Annals of Oncology 2015;26(suppl 5):v56–68.
  • Kamarajah SK, Burns WR, Frankel TL, Cho CS, Nathan H. Validation of the American JointCommission on Cancer (AJCC) 8th edition staging system for patients with pancreatic adenocarcinoma: a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analysis. Ann Surg Oncol 2017;24:2023-2030.
  • Park MY, Shin SH, Song KB, et al. Validation of the eighth edition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system and proposal of an improved staging system for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nals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2019;23(1):46–55.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