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삼킴작용은 구강, 인두, 식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매우 다양한 질환이 삼킴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참고 삼킴곤란(dysphagia)과 연관된 용어
삼킬 때 가슴쓰림, 이물감 but 역류증상(-) → 염증질환 시사: 구조적 x, 기능성 x ※ 면역저하상태: ① Candida esophagitis ② HSV esophagitis |
삼킴곤란은
- 삼킴곤란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oropharyngeal dysphagia(입인두 삼킴곤란)과 esophageal dysphagia(식도 삼킴곤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oropharyngeal dysphagia은 식도쪽으로 음식물을 넘기지 못하는 상태의 dysphagia를 의미하고 esophageal dysphagia는 음식물이 일단 식도쪽으로는 넘어왔지만 식도 내에 머무르면서 위쪽으로 내려가지 못하는 상태의 dysphagia를 의미합니다.
- 삼킴곤란이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음식이 진행하는 통로의 구조적인 문제가 생긴 structural dysphagia와 음식물을 아래로 내려보내는 기능에 문제가 생긴 propulsive(motor) dysphagia로 나눌 수 있습니다.
| oropharyngeal dysphagia | esophageal dysphagia |
structural dysphagia (구조적 문제) |
|
|
propulsive (motor) dysphagia (기능적 문제) | 크게 Neurogenic causes와 Myogenic causes로 나눌 수 있다.
|
|
식도 삼킴곤란의 원인
structural dysphagia (구조적 문제) | |
|
|
propulsive(motor) dysphagia (기능적 문제) | |
|
|
구인두 삼킴곤란의 원인
structural dysphagia (구조적 문제) | |
|
|
propulsive(motor) dysphagia (기능적 문제) | |
|
|
참고자료
- Beom JW, Han TR. Treatment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J Korean Med Assoc 2013; 56(1): 7-15
- Cook IJ. Diagnostic evaluation of dysphagia. Nat Clin Pract Gastroenterol Hepatol 2008;5(7):393–403.
- 해리슨 20/e(2018). 40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