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력
- 자세하고 구조화된 병력청취는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검사를 줄인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
- 병력청취 시 중점포인트
복통 자체에 대한 상세한 평가 |
|
기타 병력 |
|
① 동반된 증상의 파악을 통해 감별진단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복통의 부위
- 복통의 위치로 연관 장기를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연관통의 가능성도 고려한다.
- 앞에서 언급한 「복통의 위치에 따른 감별진단」 참조/아래 「진단적 검사」 참조
연관통
우측 어깨 |
|
왼쪽 어깨 |
|
음낭/고환 |
|
2. 복통의 양상
급경련통(Colic, colicky pain)
|
원인에 따른 통증양상
|
통증양상에 따른 관련질환
|
복통의 흔한 원인별 비교
원인 | Onset | 위치 | 특징 | 양상 | 연관통 | 강도 |
충수염 | 점진적 | Periumbilical early; RLQ late | Diffuse early, localized late | Ache | None | ++ |
담낭염 | 급성 | RUQ | Localized | Constricting | Scapula | ++ |
췌장염 | 급성 | Epigastric, back | Localized | Blunt | Back | ++ ~ +++ |
게실염 | 점진적 | LLQ | Localized | Ache | None |
|
소화성 궤양 천공 | 갑작스런 발생 | Epigastric | Localized early, diffuse late | Burning sensation | None | +++ |
소장폐쇄 | 점진적 | Periumbilical | Diffuse | Cramping | None | ++ |
복부대동맥류 파열 | 갑작스런 발생 | Abdominal, back, flank | Diffuse | Tearing | None | +++ |
장간막허혈/경색 | 갑작스런 발생 | Periumbilical | Diffuse | Sharp | None | +++ |
위장염 | 점진적 | Periumbilical | Diffuse | Spasmodic | None | + ~ ++ |
골반염증 | 점진적 | LQ, pelvic | Localized | Blunt | Upper thigh | ++ |
자궁외임신 파열 | 갑작스런 발생 | LQ, pelvic | Localized | Sharp | None | ++ |
+ = mild; ++ = moderate; +++ = severe; LLQ = left lower quadrant; RLQ = right lower quadrant; RUQ = right upper quadrant
신체 검사
1. 전신 외양
- 환자의 병색과 자세가 위중한 급성 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전신외양관찰 후 복부시진
- 복막염 환자: 움직이지 않고 가만 있으려는 양상. 육안적으로 단단해 보이는 복부
- 신장 산통(renal colic): 가만히 있지 못하는 양상. 육안적으로 단단해 보이지 않는 복부
- 위장관염: 자주 자세를 변경하려 함
2. V/S
- 발열 → 감염 시사(cf. 발열이 없다고 해서 감염을 배제하지 못함(특히 고령 또는 면역약화자의 경우))
- 빈맥/기립 저혈압 -→ 저혈량(hypovolemia) 시사
3. 복부 검사
복부 시진/청진 |
|
복부 타진 |
|
복부 촉진 |
|
3. 직장수지검사
- 직장수지 검사를 통해 골반강 내 장기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
진단적 검사
- 초기 검사실검사 및 영상검사의 선택 → 일차평가에 의해 좁혀진 감별진단을 바탕으로 선택
검사실 검사
CBC |
|
LFT, Amylase, lipase |
|
U/A |
|
클라미디아/임질 검사 |
|
영상 검사
단순 복부 촬영
- 예전부터 우선적인 영상검사로 시행된 검사
- 장천공이나 장폐쇄가 의심되는 경우 초기 영상검사로 시행
- 촬영방법: (복부 단순촬영 시리즈) Supine/upright abdominal films + upright chest(or lateral decubitus abdomen)
복부 단층촬영(CT)
- 급성 복통 환자에서 초기 검사로 선호되는 영상검사
- 단순촬영이 진단적 정확도를 가지는 상황에서조차(예: 내장천공 혹은 소장폐쇄) 많은 임상의들은 초기영상검사로 CT를 시행하는 경향 존재
- 급성 복통의 거의 모든 원인에서 단순촬영보다 민감도/특이도 우수
복부 초음파
- 간담도계에서 기인한 복통이 의심되는 경우 초기영상검사로 고려할 것
- 담석 및 담도 확장의 발견에 있어 정확. 총담관 담석의 발견에는 덜 민감
복통의 부위에 따라 추천되는 영상검사
통증의 위치 | 영상검사 |
우상복부 | 초음파 |
좌상복부 | CT |
우하복부 | CT(조영제) |
좌하복부 | CT(조영제) |
치골상부 | 초음파 |
자기공명 영상촬영(MRI)
- 급성 복통의 진단에 있어 높은 정확도. 높은 비용/즉각적인 시행이 어려운 단점
복통의 평가 흐름도
- 임상평가를 통해 일차진료의는 적절한 중증도 분류(triage)를 시행해야 한다.
- 병력 및 신체검사를 통해 파악한 위험소견(red flag)뿐만 아니라 검사소견/영상소견 중에서도 위험소견을 파악해야 한다.
복통의 위험소견(red flags)
병력 | 신체검사 |
|
|
검사실 검사 | 영상검사 |
|
|
복통의 평가 흐름도
참고자료
- Flasar MH, Goldberg E. Acute abdominal pain. Med Clin North Am 2006;90(3):481–503.
- Flasar MH, Cross R, Goldberg E. Acute abdominal pain. Prim Care 2006;33(3):659–684, vi.
- Ryu HS, Choi SC. Diagnostic Approach to Abdominal Pain. Korean J Med 2012;83:553-561
- Cartwright SL, Knudson MP. Evaluation of acute abdominal pain in adults. Am Fam Physician 2008;77(7):971–8.
- Abdullah M, Firmansyah MA. Diagnostic approach and management of acute abdominal pain. Acta Med Indones 2012;44(4):34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