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고려하는 요소
| |
↙ | ↘ |
정상 성인의 대변 | 설사 |
하루 200 g 이하이며, 배변 횟수는 매일 3회에서 주 3회로 다양 | ※ 대변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대변 배출의 빈도(>3회/일)와 대변의 양(>200g/일)이 증가하는 현상 ※ 실제 임상에서는 1일 3회 이상의 묽은 변 혹은 수액성 대변이거나 1회 이상의 혈성 대변으로 정의 |
보통 환자입장에는 주로 대변의 유동성이 증가할 때 설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기간에 따른 설사의 분류
- 기간에 따라 급성 설사, 만성설사로 분류할 수 있다.
| 급성 설사(Acute diarrhea) | 만성 설사(Chronic diarrhea) |
정의 | 2주 미만 지속 cf. 지속성 설사persistent diarrhea: 2주 이상 4주 미만 | 4주 이상 지속 |
원인 | 90%이상 감염성 원인 | 대부분 비감염성 원인 |
병태생리
- 급성 설사와 만성 설사는 원인이 다르고 그에 따라 접근 방법 및 치료 또한 상이하다.
설사의 발생기전 | |
↙ | ↘ |
급성 설사 | 만성 설사 |
|
|
이 중 급성 설사에서는 염증성(inflammatory)인지, 비염증성(non-inflammatory)인지가 중요합니다. 만성 설사에서는 삼투성 설사(osmotic diarrhea)와 분비성 설사(secretory diarrhea)가 특히 중요합니다. 해당 내용은 급성 설사, 만성 설사 각론에서 각각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참고자료
- Choi MG.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ronic Diarrhea. Korean J Med 2012;83:585-590
- Fine KD, Schiller LR. AGA technical review o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arrhea. Gastroenterology 1999;116(6):1464–86.
- 박영숙. 외래에서 보는 급성 설사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소화기연관 학회 Postgraduate course 2004;:20–32.
- DuPont HL. Guidelines on acute infectious diarrhea in adults. The Practice Parameters 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m J Gastroenterol 1997;92(11):1962–75.
- Pawlowski SW, Warren CA, Guerrant 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or persistent diarrhea. Gastroenterology 2009;136(6):1874–86.
- 해리슨 20/e(2018). 128장
- Kim HS. acute infectious diarrhea. J Korean Med Assoc 2004;:6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