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설사: 진단적 접근


목차

급성설사 접근흐름도

  • 급성 설사의 90%이상이 감염성 설사이므로 감염성설사를 먼저 고려해보아야 한다.
  • 탈수정도, 설사 기간, 횟수, 설사 양상, 동반 증상(후중감, 발열, 복통, 구토, 의식변화, 전신 증상여부), 여행력, 섭취한 음식, 현재 치료 중인 질환유무 파악

 이미지

 

  •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한 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염증성 설사(inflammatory diarrhea)인지 비염증성 설사(non-inflammatory diarrhea)인지를 감별하는 것! 
  • 염증성 설사를 시사하는 경우: ① 육안상 혈변이거나 점액성 변인 경우; ② 대변에 백혈구가 있는 경우

 

 


병력

배변양상

  • 대변 내 백헐구가 보이지 않는 혈성 설사 → Shiga 독소를 생산하는 EHEC 감염
  • 다량의 흰색 변 → 흡수장애를 유발하는 소장질환
  • 심한 쌀뜨물 같은 설사 → 콜레라나 유사독소에 의한 질환

 

동반증상

복통

  • Shigella, Campylobacter 또는 괴사를 유발하는 독소에 의한 염증성 설사에서 더 심한 경향
  • 충수염 유사 증후군에서는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한 배양검사를 해야 함

후중감

  • Shigella, 아메바 감염과 같이 직장의 염증이 있는 경우(proctitis)에 발생

발열

  • 흔히 침습성 질환에서 발생


섭취한 음식

급성 감염성 설사에서 특정 음식과 관련된 원인 균주

닭고기

Salmonella, Campylobacter, Shigella

덜 익은 햄버거

장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 coli  (O157:H7)]

볶음밥, 재가열하여 섭취하는 음식

Bacillus cereus

마요네즈, 크림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계란

Salmonella

조리되지 않은 음식, 연한 치즈

Listeria

해산물(특히 날것일 경우)

Vibrio spp, Salmonella, 급성 A형 간염

 



진단적 검사

  • 대부분의 설사질환은 저절로 회복되거나 혹은 바이러스성이며, 거의 반수 이상에서 하루 이내 증상 호전
  • 설사 발생 24시간 이내인 경우 미생물검사는 대개 불필요: 예외) 탈수 또는 발열이 있는 경우, 대변 내 혈액 또는 고름(pus)이 있는 경우
  • 검사항목: 말초혈액검사, 생화학검사와 대변을 이용한 백혈구, 잠혈변, 적혈구, 기생충, 면역조직화학검사, 배양검사, 독소 검사 등

 

대변 배양/독소 검사

  • 결과를 얻는데 2~3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치료 시작 시점에 결정적 정보를 제공하지 못함
  • 대변채취는 설사기간 중, 가능한 한 증상발현 후 즉시 채취하거나, 항생제 투여전 채취(항생제를 투여한 경우 투여 후 48시간 이후)

 

적응증

  • 진단적 대변 검사 시행을 권장하는 경우: 발열, 혈성 설사, 후중감, 심한 탈수, HIV 감염자를 포함한 면역저하자, 최근 해외여행자 및 항생제 복용자 등

 

방법

지역사회, 여행자 및 병원 내 감염에 의한 설사인 경우

7일 이상의 지속적 설사인 경우

면역억제자인 경우

살모넬라, 이질, 캄필로박터, E. coli, C. difficile (항생제 복용력 있을 때) 검사

원충감염 검사

microsporidia, mycobacterium ovium, CMV 검사

 

대변 백혈구 검사

  •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 대변 배양검사 및 감염성 설사 진단의 양성 예측의 유용한 인자

검사 (+)

검사 (-)

장티푸스, 이질, 캄필로박터, C. difficile, 침습성 대장균

바이러스유발 설사, 콜레라, 비침습성 대장균, 원충감염

 

 

참고자료

  • Thielman NM, Guerrant RL. Clinical practice. Acute infectious diarrhea. N Engl J Med 2004;350(1):38–47.
  • Pawlowski SW, Warren CA, Guerrant 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or persistent diarrhea. Gastroenterology 2009;136(6):1874–86.
  • 해리슨 20/e(2018). 128장
  • Seo GS, Choi SC. Diarrhea(Based on acute infectious diarrhea). Korean J Med 2010;78(1):49–53.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