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비 치료의 원칙
- 비약물적 치료(교육, 생활 양식의 변화, 식이섬유 섭취)에도 변비가 호전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를 시도한다.
- 배변을 할 수 없이 3~4일이 지나고 나면, 환자들이 불안해지고, 실제로 일주일 이상 되는 경우,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는 변이 굳어져서 대장에 stercoral ulcer나 심한 경우는 폐쇄를 일으켜 수술을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주일에 2회 이하로 변을 보게 된다면 약을 처방하여 변을 보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 약물(완화제) 사용 원칙
- 부피형성 완화제를 먼저 사용한다.
- 효과가 없으면 MgO, lactulose와 같은 삼투성 완화제로 바꾸거나 같이 사용한다.
- 자극성 완화제는 장기간의 변비나 심한 복부 팽만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일시적인 완화 목적으로 단기간 사용한다. 이때 관장과 병행할 수 있다. 사용할수록 그 요구량이 많아지고, 약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마지막으로 고려할 것
- 완화제는 최소 유효량을 투여하고, 가능한 횟수를 줄여 나가다가 투약을 완전히 중단한다.
- 하제 투여에도 반응이 없으면 대장통과 시간, 항문직장기능 검사, 배변 조영술 같은 대장 항문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기능성 변비의 아형에 따라 적절하게 치료를 시행한다.
- 낮은 수준의 신체활동은 만성 변비와 연관될 수 있다. → 운동 권유
|
약물치료 | |
식이섬유 |
|
부피형성 완하제 |
|
마그네슘염 |
|
비흡수성 다당류 |
|
폴리에틸렌 글리콜 | |
자극성 완하제 |
|
프로바이오틱스 |
|
Prucalopride |
|
Lubiprostone |
|
Linaclotide와 담즙산 수송체 억제제 |
|
국소 치료 - 관장 및 좌약 |
|
행동 치료 - 바이오피드백 치료 |
|
수술 치료 |
|
병태생리에 따른 변비의 치료
환자의 특성에 따른 약물요법
서행성 변비 환자의 약물치료
- 장의 운동이 저하되면서 변비 증상을 호소하게 되므로, 꼭 Prokinetics를 투여해야 한다.
- 대개 변이 굳은 것을 호소하게 되므로 Prokinetics에 더하여 Osmotic laxatives를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약들을 투여하는 경우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용량을 올려가면서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러한 약으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Stimulant laxatives를 고려한다.
- 원칙적으로는 약을 가능한 최소량을 사용하도록 권유(cf. 고령인 경우는 초기에 이런 약을 사용하여 변을 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 존재)
배출장애형 변비 환자의 약물치료
- 바이오피드백: 가장 중요한 치료법
- 약물요법
- 변의 굳기가 굳은 경우가 많으므로 대부분 Osmotic laxative 투여.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Prokinetics를 함께 투여
- 약물을 같이 투여하는 경우 배변의 성공률이 높아져서 성공적인 바이오피드백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해가면서 변을 보는 방법을 학습하게 되면 약 용량을 점차적으로 줄일 수 있는데 가능하면 약을 끊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복통성 변비 환자의 약물치료
- 원인: 장의 전반적인 수축이 원인인 경우가 많음. 진경제 투여가 중요한 치료
- 약물요법
- 주요 치료법: 진경제, Osmotic laxatives
- Stimulant laxatives를 사용하게 되면 복통을 매우 심하게 호소하여 응급실로 오게 되는 경우도 있다.
- 수면장애 등을 호소하는 경우 minor tranquilizer, SSRI 등 병용
변비와 실금이 교대로 있는 환자의 약물치료
- 특징: 대개 항문 괄약근 탄력 감소
- 치료원칙
- 변의 굳기에 따라 정상적인 변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약물 투여
- 약물치료 후 바이오피드백 치료 시행(항문 괄약근 탄력 개선)
참고자료
- Shin JE, Jung HK, Lee TH,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Korea, 2015 revised editio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6;22:384-411.
- Shin JE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Korea, 2015 Revised Edition. Korean J Med 2016;91:114-130
- 명승재. 변비의 내과적 치료: 어떤 약제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대한소화기학회지 2010;55(Suppl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