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장관 출혈의 정의 및 종류
위장관 출혈은 출혈 속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발현 가능하다.
위장관 출혈의 분류
위치에 따른 분류
원인에 따른 분류: 상부위장관 출혈
Overt (acute) vs occult (chronic) vs obscure
급성 위장관 출혈의 초기 접근
위장관 출혈의 정의 및 종류
위장관 출혈은 출혈 속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발현 가능하다.
- 위장관 출혈의 임상 양상들은 출혈의 정도와 속도, 시기, 그리고 동반된 질환이 있는지에 달려있다.
현미경적 실혈(microscopic blood loss) |
|
토혈(Hematemesis) |
|
흑변(melena) |
|
혈변(hematochezia) |
|
위장관 출혈의 분류
위장관 출혈은 위치, 원인에 따라 분류한다.
위장관 출혈 | |
↙ | ↘ |
출혈의 위치 | 출혈의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인 경우 |
출혈의 위치에 따라 내시경 접근 경로가 다르다.
| 초기 약제 투여에 큰 차이를 보인다. 비정맥류 출혈(소화성 궤양 출혈): proton pump inhibitor 투여 정맥류 출혈: 소마토스타틴 유도체, 혈관 확장제(terlipressin) |
위치에 따른 분류
| 상부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 UGIB) | 하부위장관 출혈(lower GI bleeding, LGIB) |
출혈양상 |
|
|
NG tube |
coffee colored blood |
|
비고 | 원인에 따라
|
|
- 하부장관 출혈(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을 어떻게 정의내릴 것인가?
해부학적인 관점 | 임상적인 관점 |
|
|
|
원인에 따른 분류: 상부위장관 출혈
- 상부위장관 출혈은 원인에 따라 정맥류 출혈과 비정맥류 출혈로 나누게 된다. → 정맥류 출혈 vs. 비정맥류 출혈
- 치료법의 발달로 정맥류 출혈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현재 상부위장관 출혈 예의 대부분(80-90%)은 비정맥류 출혈이고 소화성 궤양이 가장 많다.
Overt (acute) vs occult (chronic) vs obscure
Overt GI bleeding | vs | Occult or chronic GI bleeding | vs | Obscure GI bleeding |
급성 위장관 출혈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경우: hematemesis, “coffee-ground” emesis, melena, hematochezia |
|
|
위장관 출혈은 단지 잠혈 반응 검사에서만 양성 반응을 보일지라도 심한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꼭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해야 합니다.
급성 위장관 출혈의 초기 접근
- 급성위장관 출혈 환자를 평가할 때 중요한 점
- 얼마만큼 심각한 출혈이 얼마만큼 급하게 활동적으로 발생하는가?
- 상부위장관 출혈인가? 하부위장관 출혈인가?
- 정맥류에 의한 출혈인가 아닌가?
- 응고장애가 있지는 않은가?
참고자료
- Manning-Dimmitt LL, Dimmitt SG, Wilson GR.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adults. Am Fam Physician 2005;71(7):1339–46.
- Zuccaro G. Epidemiology of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08;22(2):225–32.
- Cappell MS, Friedel D. Initial management of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from initial evaluation up to gastrointestinal endoscopy. Med Clin North Am 2008;92(3):491–509, 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