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출혈(gastrointestinal bleeding, GI bleeding): 개요


목차

위장관 출혈의 정의 및 종류

위장관 출혈은 출혈 속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발현 가능하다.

  • 위장관 출혈의 임상 양상들은 출혈의 정도와 속도, 시기, 그리고 동반된 질환이 있는지에 달려있다. 

현미경적 실혈(microscopic blood loss)

  • 철결핍빈혈 혹은 대변 잠혈

토혈(Hematemesis)

  • 선혈을 토하는 증상
  • 『커피가루(coffee-ground)가 섞인 듯한 구토』는 변성된 까만 피를 토하는 것을 말한다.

흑변(melena)

  • 타르같이 까만 변 (black tarry stools)
  • 흑색 변은 보통 식도, 위, 또는 십이지장으로부터의 출혈을 암시하나, 위장관 통과시간이 지연될 경우에는 공장, 회장, 심지어 상행결장의 병변도 흑색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토혈을 일으킬 정도의 출혈은 대개 흑색변을 초래하지만, 흑색변을 보이는 환자의 절반 이하에서만 토혈증상이 나타난다. 
  • 약 60 mL 정도의 출혈이 있으면 한 차례의 검은색 변을 보게 되며, 이보다 더 많은 양의 급성 출혈이 있으면 7일 이상 흑색 변을 보게 된다. 대변색이 정상으로 돌아온 후에도 잠혈 반응 검사를 시행하면 1주 이상 양성반응을 보인다. 출혈된 혈액은 염산과 반응한 후 헤마틴(hematin)을 생성하여 흑색을 띄게 되는데 타르 양상을 띠며 끈적거리고 특징적인 냄새가 있다. 

혈변(hematochezia)

  • 직장을 통해서 선혈이 나오는 증상으로 보통 하부위장관 출혈이 원인이 되지만 출혈량이 많을 경우 상부위장관 출혈로도 발생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treitz 인대 하방의 위장관에서 출혈하는 것을 의미한다. 
  • 그러나 흑색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혈액이 대략 8시간 정도 장관 내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식도, 위, 또는 십이지장으로부터의 대량출혈도 역시 혈변을 초래할 수 있다.

 



위장관 출혈의 분류

위장관 출혈은 위치, 원인에 따라 분류한다.

 위장관 출혈

출혈의 위치

출혈의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인 경우

출혈의 위치에 따라 내시경 접근 경로가 다르다. 

  1. 상부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
  2. 하부위장관 출혈(lower GI bleeding)

초기 약제 투여에 큰 차이를 보인다.

비정맥류 출혈(소화성 궤양 출혈): proton pump inhibitor 투여

정맥류 출혈: 소마토스타틴 유도체, 혈관 확장제(terlipressin)

 

 

위치에 따른 분류

 

상부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 UGIB)

하부위장관 출혈(lower GI bleeding, LGIB)

출혈양상 

  • hematemesis
  • "coffee ground" emesis 
  • melena
  • hematochezia

NG tube

  • frank blood or

coffee colored blood

  • food particles

비고

원인에 따라 

  1. 정맥류 출혈(variceal bleeding)
  2. 비정맥류 출혈(non-variceal bleeding)
  • UGIB과 달리 LGIB에 대한 내시경 접근은 장정결이라는 단계 포함 →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음
  • 소화관의 길이가 긴 만큼 배출에 시간이 걸려 출혈 속도 파악이 쉽지 않음(cf. 상부위장관 출혈: 비위관 배액으로 출혈 여부 즉각적인 파악 가능)

 

 

  • 하부장관 출혈(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을 어떻게 정의내릴 것인가? 

해부학적인 관점

임상적인 관점

  • Treitz 인대 원위부로부터 발생한 출혈
  • 생명을 위협할만한 혈변 혹은 치핵, 치열 등에 의한 항문출구출혈(anal outlet bleeding)
  • 증상이나 신체검사소견만 놓고 볼 때 출혈병소가 항상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 혈변을 보이면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출혈이 Treitz 인대 상방에서 기원한 것인지 하방에서 기원한 것인지는 쉽게 구별할 수 없다.
  • 하부 위장관출혈을 해부학적 관점에서 엄격하게 접근하는 것은 실제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원인에 따른 분류: 상부위장관 출혈

  • 상부위장관 출혈은 원인에 따라 정맥류 출혈과 비정맥류 출혈로 나누게 된다. → 정맥류 출혈 vs. 비정맥류 출혈
  • 치료법의 발달로 정맥류 출혈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현재 상부위장관 출혈 예의 대부분(80-90%)은 비정맥류 출혈이고 소화성 궤양이 가장 많다.

 

Overt (acute) vs occult (chronic) vs obscure

Overt GI bleeding

vs

Occult or chronic GI bleeding

vs

Obscure GI bleeding

급성 위장관 출혈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경우: hematemesis, “coffee-ground” emesis, melena, hematochezia

  • 육안적인 출혈소견이 없는 환자에서의 microscopic hemorrhage
  • 보통 2가지 형태로 발현
    1. fecal occult blood test (FOBT) with or without 
    2. iron deficiency anemia. 
  • 반복적인 출혈이 있지만 상부/하부 내시경 검사에도 불구하고 출혈부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 overt bleeding 혹은 occult bleeding 모두 가능

 

위장관 출혈은 단지 잠혈 반응 검사에서만 양성 반응을 보일지라도 심한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꼭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해야 합니다.

 



급성 위장관 출혈의 초기 접근

  • 급성위장관 출혈 환자를 평가할 때 중요한 점
    1. 얼마만큼 심각한 출혈이 얼마만큼 급하게 활동적으로 발생하는가?   
    2. 상부위장관 출혈인가? 하부위장관 출혈인가?   
    3. 정맥류에 의한 출혈인가 아닌가?    
    4. 응고장애가 있지는 않은가?

 

 

참고자료

  • Manning-Dimmitt LL, Dimmitt SG, Wilson GR.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adults. Am Fam Physician 2005;71(7):1339–46. 
  • Zuccaro G. Epidemiology of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08;22(2):225–32. 
  • Cappell MS, Friedel D. Initial management of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from initial evaluation up to gastrointestinal endoscopy. Med Clin North Am 2008;92(3):491–509, xi.
 
 
PC
화면
메모
+